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36&local_id=10011288
문제중심학습(PBL)이 예비교사와 교사의 지식 획득, 문제해결 전략의 선택,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문제중심학습& #40;PBL& #41;이 예비교사와 교사의 지식 획득, 문제해결 전략의 선택,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길양숙(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0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지식의 습득,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1개의 실험반(41명)과 1개의 비교반(63명)에게 처음 반학기는 기초개념의 수업을, 중간 고사 이후에는 2주에 한 번씩 문제해결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하였다. 지식의 획득정도는 중간고사를 사전검사로,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하여 그 차이를 t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의 변화정도는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날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8문항에 대한 자기보고의 형식을 빌어서 측정하였고, 실험 사전 사후의 문항별 점수 차이, 전체 점수의 차이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 학기 정도의 훈련, 문제 3-5개 정도의 훈련으로는 지식,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두번째 분석은 문제해결과정에서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문제해결전략 혹은 이 연구에서 정의한 대로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는 앞서 실험에 참여한 실험과 비교집단 외에도 100명의 교직수강자를 더 참여시키고, 아울러 대학원에석 공부하며 교직경력이 2년에서30년에 이르는 5명의 교사를 전문가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교직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그 특징을 찾아내었다. 이 문제는 질적연구, 기술적 연구의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해결과정을 관찰하고, 이들이 내린 진단-처방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학부 상급생이 코더로 참여하였고,이들과 연구자의 코딩의 일치도는 각각80%가 1명, 70%가 3명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와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특히 예비교사가 심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사는 진단과 처방에서 인과의 논리적 연결, 아이디어의 다양성,구체성, 맥략의 고려정도, 실천 가능성, 효율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의 필요한 자료가 부족했고, 표준해결방법이 없어 성취감, 문제해결능력의 평가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것들이 다음 연구의 성공을 위해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지적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problem based learning on knowledge acqui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one experimental group(41) and one control group(61). Concept teaching using direct instruction was done for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and group problem solving session was arranged once in every two weeks for the second half of the sememster. After each problem solving session, classroom discussion was arranged. Acquision of knowledge was assessed with mid-term examination as pre-test and final examination as post tes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ssessed with a self reported survey consisted of 8 items. T-test was used to test effects. The results was that the effects of PBL on knowledge acquision and problem solivng process was none and in some case negative.
    Next,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diagnosis and prescription on educational problems were examined. For this analysis, 100 more preservice teachers and five experienced teachers were recruited as subjects in addition to the on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asked to report their diagnosis and prescription on each problem. Four student coders classified causes and prescriptions made b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ach coder was agreeded with the researcher 80% in one case and 70% in three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n defining problems, specially the students. Secondl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ere different in terms of cause-effect connection, richness of ideas, concreteness of diagnosis and prescription, consideration of contexts, realizability, effectiveness. Thirdly, lack of appropriate readinging list , professional knowledge, and standardized problem solving process was the problem for the students to feel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measur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hose were considered to be the tasks to be solved for futher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지식의 습득, 문제해결능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1개의 실험반(41명)과 1개의 비교반(63명)에게 처음 반학기는 기초개념의 수업을, 중간 고사 이후에는 2주에 한 번씩 문제해결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하였다. 지식의 획득정도는 중간고사를 사전검사로,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하여 그 차이를 t 검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의 변화정도는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날 학생들의 행동과 태도를 8문항에 대한 자기보고의 형식을 빌어서 측정하였고, 실험 사전 사후의 문항별 점수 차이, 전체 점수의 차이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 학기 정도의 훈련, 문제 3-5개 정도의 훈련으로는 지식,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만들어 내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두번째 분석은 문제해결과정에서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문제해결전략 혹은 이 연구에서 정의한 대로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는 앞서 실험에 참여한 실험과 비교집단 외에도 100명의 교직수강자를 더 참여시키고, 아울러 대학원에석 공부하며 교직경력이 2년에서30년에 이르는 5명의 교사를 전문가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교직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다르게 하는지 그 특징을 찾아내었다. 이 문제는 질적연구, 기술적 연구의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해결과정을 관찰하고, 이들이 내린 진단-처방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학부 상급생이 코더로 참여하였고,이들과 연구자의 코딩의 일치도는 각각80%가 1명, 70%가 3명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와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정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현상은 특히 예비교사가 심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사는 진단과 처방에서 인과의 논리적 연결, 아이디어의 다양성,구체성, 맥략의 고려정도, 실천 가능성, 효율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문제해결의 필요한 자료가 부족했고, 표준해결방법이 없어 성취감, 문제해결능력의 평가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것들이 다음 연구의 성공을 위해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지적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교육에서의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줄이는 방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의 한가지 모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은 하나의 강좌에서 부분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며, 보다 집중적인 코스, 혹은 교직과목 전체에서 실시하는 방안을 고안해야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려면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 토의하는 과정에 튜터를 배치하여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문제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지도, 예컨대, 다양한 진단과 처방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최적의 진단과 처방은 무엇인지, 더 학습할 부분은 무엇인지, 다양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하고, 최적의 판단을 어떤 기준에서 해야할 것인지 논의하게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연습이 효과를 얻으려면 교육문제에 대한 표준화된 해결책을 어떤 식으로든 구하고 시작해야할 것이다. 그래야 성취감과 학습효과를 극대화화 할 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것들은 앞으로 연구해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실천을 위해서도 노력할 사전조건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비록 실험에서는 기대한 효과는 얻지 못하였으나 이런 점을 발견한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문제해결 능력, 지식, 예비교사, 교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