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40&local_id=10012357
3-5세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3-5세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소현(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7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장애 유아 통합교육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하나의 거스를 수 없는 동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통합교육의 활성화로 많은 장애를 지닌 유아들이 공사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 등의 교육 환경에 배치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특별한 도움이 없이도 잘 적응하는 유아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장애를 지닌 유아들은 교육과정 수정 등의 프로그램 운영적 측면에서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 통합교육의 주 운영자인 교사들은 성공적인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커다란 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통한 진정한 교육적 성과는 물리적인 배치만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이들의 교육적 경험을 최대한으로 지원하는 구조적 요소와 교육과정적 요소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이와 같은 구조적 및 과정적 지원의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앞으로의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장애 유아 통합교육은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충분한 계획과 준비가 없이는 그 성과를 보장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사전 계획과 준비 없이 시작된 통합 프로그램의 교사들은 종종 장애 아동을 어떻게 가르치고 돌보아야 하는지 알지 못하여 당황하기도 하고, 아동은 보육 일과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로 아무런 교육적 혜택도 없이 방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질적으로 우수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장애 유아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큰 지원 없이도 일과에 잘 적응하며 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과 그렇지 않은 프로그램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일까 이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 지원 체계와 틀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통합교육의 질적 구성요소들을 추출하고 현재까지 최상의 실제로 제시되고 있는 통합 프로그램 운영 방법론을 고찰하여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질적 구성요소들을 기본 틀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질적 기본요소들을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지원의 틀을 기반으로 장애 유아의 통합교육의 지원 프로그램 중 가장 시급하게 그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e inclusion is now widely accepted as the best way to educat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on brings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to public and private preschools and childcare centers. Although som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be easily absorbed into the existing framework without significant modifications, mo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quire at least some revision of teaching modalities, curriculum, environment, and personnel. However, many teachers are overwhelmed by the impact that inclusion has had on their ability to run a successful inclusive program. Educational achievem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etermined not from the placing them in inclusive environments but from the quality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program. Process quality represents the experience of the children in educational settings, such as the interactions that they have with their teachers and the activities and materials with which they are engaged. Structural quality is the aspec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rea affected by a variety of influences, such as government regulations, preschool policies, and economic climate.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system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preschools with professional support to maximize the structure and process qual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and designed to enhance the process aspect which is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heoretical model of the system to support the quality inclusiv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odel of the support system, the implementing model for emerg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lso develop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장애 유아 통합교육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하나의 거스를 수 없는 동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통한 진정한 교육적 성과는 물리적인 배치만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이들의 교육적 경험을 최대한으로 지원하는 구조적 요소와 교육과정적 요소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이와 같은 구조적 및 과정적 지원의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앞으로의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 유아의 통합교육의 지원 프로그램 중 가장 시급하게 그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검토한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장애 유아들은 대체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나 통합된 환경에서나 비슷한 발달상의 성취를 보이고 교육적인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들 중에는 통합 환경에서 발달적 진보와 사회적 능력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유아들도 있다. 장애 유아가 통합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발달상의 진보나 교육적 혜택은 통합이라는 배치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램의 질적인 부분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적인 요소들이 먼저 충족되었는가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질적으로 우수한 일반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개별 장애 유아를 위하여 계획되고 준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장애 유아가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는 동일 연령의 또래들과 함께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이상의 세 가지 기본적인 원칙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장애 유아 통합교육프로그램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중심의 이론적 배경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운영 원리를 포함해야 한다.

    ⊙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가족 중심이어야 한다.
    ⊙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 간의 초학문적 협력을 통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개별 장애 유아의 교육적 욕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장애 유아가 일반교육과정에 참여하여 개별적인 교수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장애 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장애 유아의 행동 지도를 위하여 긍정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기본적인 운영의 체계와 틀을 확보하여 운영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기본적인 운영의 틀에 따른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일과 및 연간 교육과정 운영 일정을 중심으로 이러한 운영의 원리와 틀이 반영된 양질의 지원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은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유아교육 현장의 시설과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해서 무상교육의 대상이 되고는 있으나 교육 수혜율이 아직도 매우 저조한 3-5세 장애 유아들의 교육 수혜율을 증진시킬 것이며,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이론적 당위성을 넘어서서 교육 현장의 실행적 측면에서의 바람직한 여건 조성에 기여하고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그 활성화를 촉진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 통합은 되어 있으나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로 방치되고 있는 장애 유아들에게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장애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촉진할 수 있으며, 특히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실행하면서도 방법론적 난제에 부딪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현장의 욕구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유아교사들이 주도하는 장애 유아 통합교육 실행의 질적 향상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과정 내에서의 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의 책임을 지닌 특수교사들에게 적절한 지원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과 유아교육 간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상의 모든 기여는 궁극적으로 통합 현장의 장애 유아 및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장애 유아(children with disabilities) 통합교육(inclusion, inclusive education) 지원 프로그램(supportive progra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