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42&local_id=10011521
한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 분석과 모델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 분석과 모델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승희(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7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연구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 조사연구에서 밝혀진 사실과 쟁점에 대한 제안과 통합교육 실행과 관련된 문헌들에서 추출한 내용 그리고 연계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경험적 전문성을 지닌 현장 실무자들과의 협의회와 또 다른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를 통해 제공된 제안들을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의 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0년대 말 이후에 실제로 특수학교들이 직면하는 도전은 분리교육 환경의 문제를 극복하는 것과 교육의 질 제고 압력에 대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맥락에서 1990년대 말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특수학교의 기존의 역할과 기능의 재고 필요성을 제기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었고 그 이후 국가의 특수교육정책의 통합교육의 지속적 강조에 힘을 입어 전국 특수학교들에서 산발적이지만 주변 일반학교들과의 일종의 교류 프로그램들이 초보적이지만 시작되게 되었고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에 대한 구체적 지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으로 다음과 같이 5가지 요소와 시간적으로는 3 단계로 진행되는 모형을 제시하게 되었다. 1 단계에는 (1)연계 프로그램 목표 설정; (2)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3)연계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 2단계에는 (4)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3단계에는 (5)연계 프로그램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의 5가지 요소들의 처음 3가지인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설정과 프로그램 계획 및 프로그램 내용 개발은 상호 역동적으로 작용하면서 같은 단계에서 수립되고 결정될 수 있다.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의 목표가 수립되고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계획이 구안되고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체화되면, 그 후 실제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고, 프로그램 실행 후에는 평가 단계를 밝게 되는 모형이다. 첫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고 명시화하는 것이다. 주요 고려사항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가 합의할 수 있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3가지 주요목표가 제시되었다. 두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세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이 계획 단계 시에 고려하여야 할 6가지 요소들은: (1)대상학교 선정; (2)대상학생 선정; (3)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의 사전 협의회 실시; (4)사전연수 실시; (5)학부모 협조; (6)프로그램 편성 시간 및 횟수 결정를 포함한다. 세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이다.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에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업시간의 성격을 어떻게(예: 교과시간 혹은 비교과 시간 등)정하였는가에 따라서 내용 선정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연계 프로그램 내용 개발 전략의 하나로 연계 프로그램 내용 유형을 4가지로 판별해 냈다: (1)특정교과 수업; (2)특별활동 혹은 동아리활동; (3)현장체험학습; (4)학교 주요행사.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 유형을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으로 먼저 결정한 후에 참여학생들에게 적합한 연계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 개발 단계로 진입하는 것이다. 구체적 활동 내용은 참여하는 학생들의 연령, 능력, 장애 특성, 흥미 및 요구와 담당교사의 특기 활용성을 고려하여 이차로 고안한다. 네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 실행과 관련된 요소가 된다.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들은 물론 학교관리자, 교사들, 보조인력, 교육기자재, 활동을 위한 교재와 소모품, 그리고 특수학교의 학교버스가 동원될 수도 있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이다.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4가지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공정한 역할 분담과 협력; (2)학교관리자의 역할과 지원; (3)인적 지원; (4)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 다섯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이다. 평가영역으로는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 및 운영의 적절성, 학생의 태도 및 수행변화, 교사의 수업실행 능력, 참여자의 만족도를 포함한다. 연계 프로그램 평가결과 자료는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달성 정도 측정자료와 다음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은 전국에 보다 질 높고 체계적인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와 자료를 제시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components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Currently, link programs between two school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year 2000 due to contant emphasis on inclusive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delineate a framework of components for a link program through suggestions provided from the first national survey on the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and literature review on inclusive education and ideas collected from the meetings of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s in implementing link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A framework for components of link program includes 5 components and 3 stages. First 3 components comprising first stage is to develop a goal of a link program and making a plan of the link program and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link program. Second stage is to implement a link program and third stage is to evaluate a link program. The first component is to establish a goal of the link program. It is very important that establishment of commom goals which can be agreed by both special school and ordinary schools. The second component is to plan a link program. Planning a link program requires 6 factors: (1)deciding a school; (2)deciding participating students; (3)pre-planning meeting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4)providing in-service education; (5)parents' supports for link programs; (6)deciding the timetable of sessions of link programs. The third component is to develop the contents of link programs. A strategy for developing contents of link program is first to decide the types of the contents and secondly to specify the activities winthin the type. 4 types of the contents include: (1)specific curriculum subjects; (2)extra-curricula activities; (3)field trip experiences; (4)school events. Specific activity contents are determined by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age, abilities, interests, limitations imposed by disabilities, needs, and teachers' specific talents. Fourth component means factors needed for implementing link programs. 4 factors needed to be consid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 include: (1)fair division of roles and collaborations b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2)roles and supports of school administrators; (3)personnel supports; (4)administrative and finantial supports. Fifth component is evaluation of link programs. Specific evaluation areas embody in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and performances, teachers' teaching abilities,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s of link programs. The evaluation data of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link program can be used for guides for improving the future link program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ing a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of link program present useful information and data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implmenting, and expanding a quality link program between nationwide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실태를 조사한 1차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에 대한 한 모형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연구결과와 통합교육 실행에 관한 문헌연구 그리고 연계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경험적 전문성을 지닌 현장 실무자와의 협의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를 통해 제공된 제안들을 기초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의 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0년대 말 이후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통합교육의 정책 하에서 특수학교들은 새로운 변화를 요청받는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도전은 특수학교가 분리교육 환경이란 점을 극복하여야 하는 점과 교육 전반에서 요청하는 교육의 질 제고 압력에 대해 적합한 반응을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 요청 맥락에서 1990년대 말 이후 본격적으로 특수학교의 기존의 역할과 기능의 재고 필요성을 제기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었고 이후 전국 특수학교들에서 산발적이지만 주변 일반학교들과 일종의 교류 프로그램을 초보적이지만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고 이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에 대한 정보의 요청 요구가 높아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시 제시하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모형은 5가지 구성요건의 3단계로 진행되는 것이다. 1단계는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설정, 연계 프로그램 계획 및 연계 프로그램 내용 개발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이 3가지는 상호 역동적으로 작용하면서 같은 시간 대에서 수립되고 결정될 수 있다. 2단계는 실제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고, 프로그램 실행 후에는 3단계로서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단계로서 적합한 평가대상 영역들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는 단계를 밝게 된다. 첫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고 명시하는 것이다. 주요 고려사항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가 합의할 수 있는 공동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두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세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그 계획단계의 6가지 고려 요소는 (1)대상학교 선정; (2)대상학생 선정; (3)일반교사 및 특수교서의 사전협의회 실시; (4)사전연수 실시; (5)학부모 협조; (6)프로그램 편성시간 및 횟수 결정. 세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 내용개발이다. 내용개발 전략으로 연계 프로그램 내용 유형을 4가지로 판별하였고, 이 유형을 먼저 결정한 후 참여학생과 담당교사의 배경정보에 따라서 구체적 내용을 이차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4가지 유형은 (1)특정교과수업; (2)특별활동 혹은 동아리 활동; (3)현장체험학습; (4)학교주요행사. 네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 실행 관련요소들이다.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고려사항은: (1)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공정한 역할 분담과 협력; (2)학교관리자의 역할과 지원; (3)인적 지원; (4)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 다섯번째 구성요건은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이다. 평가영역으로는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및 운영의 적절성, 학생의 태도 및 수행변화, 교사의 수업실행 능력, 참여자의 만족도를 포함한다. 평가결과는 프로그램 목표달성 정도 측정자료와 다음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처음 제시하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모형은 통합교육 강조 추세에서 분리교육 환경인 한국 특수학교의 재구조화와 특수학교의 기존의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발전시켜나가는 데에 한 자극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는 이미 실시된 연계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운영 적절성과 프로그램의 질 점검을 위한 하나의 평가요목 체계 혹은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어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이고 질 높은 것으로 확산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I.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은 다음과 같이 5가지 하위 영역과 시간적으로는 3 단계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1 단계에는 (1)연계 프로그램 목표 설정; (2)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3)연계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 2단계에는 (4)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3단계에는 (5)연계 프로그램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1.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 수립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의 다양한 형태의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데 있어서 우선은 그 연계 프로그램의 분명한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로는 다음의 3가지가 제안된다. 이러한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 기획 및 실시에 가장 우선적인 것이 이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 및 평가 기간 동안 내내 참여자 모두에게 이 목표를 분명히 공지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1)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공동 학습경험 제공
    2)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기회의 제공
    3)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교육의 전반적 질 제고의 한 방안

    2.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연계 프로그램은 세심한 계획을 바탕으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그 계획 단계 시에 고려하여야 할 요소들을 다음의 6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1)대상학교 선정; (2)대상학생 선정; (3)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의 사전 협의회 실시; (4)사전연수 실시; (5)학부모 협조; (6)프로그램 편성 시간 및 횟수 결정.

    3. 연계 프로그램 내용 개발
    연계 프로그램 실시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모두에게 유익하고 흥미있는 공동 학습의 경험이 되도록 내용을 선정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학업적인 교과시간 통합이 아닌 경우에 현장체험학습이나 여가오락활동을 고안해낼 때 일반학생과 장애학생들 사이의 인지적 및 신체적 능력의 차이가 덜 문제가 되는 활동들을 선정하여 모든 학생들이 같은 활동에 참여하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중요한다. 상술한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에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업시간의 성격을 어떻게(예: 교과시간 혹은 비교과 시간 등)정하였는가에 따라서 내용 선정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연계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의 4가지 유형을 판별해 냈다: (1)특정교과 수업; (2)특별활동 혹은 동아리활동; (3)현장체험학슴; (4)학교 주요행사. 내용개발 전략으로 우선은 내용의 유형을 결정하고, 참여학생과 담당교사의 배경정보를 고려하여 이차적으로 구체적 활동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4. 연계 프로그램 실행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들은 물론 학교관리자, 교사들, 보조인력, 교육기자재, 활동을 위한 교재와 소모품, 그리고 특수학교의 학교버스가 동원될 수도 있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이다. 연계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의 4가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1)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공정한 역할 분담과 협력; (2)학교관리자의 역할과 지원; (3)인적 지원; (4)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

    5. 연계 프로그램 평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후에는 마지막으로는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평가는 실행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평가결과가 다음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정보가 되기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초점을 두어 평가할 수 있는 하위 영역 혹은 주제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연계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운영의 적절성(예: 연계 프로그램 목적의 명시성; 연계 프로그램 내용의 적절성; 연계 프로그램 실시장소의 물리적 여건의 적절성 등); (2)참여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태도와 수행정도의 변화; (3)연계 프로그램 담당교사들의 수업실행 능력; (4)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예: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들과 학교관리자들의 만족도;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부모 만족도).

    II. 활용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및 평가의 구성요건에 대한 한 가지 지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들에게는 현재 실시 중인 연계 프로그램의 각 단계와 요소들을 평가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며 그 평가 결과는 다음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구성요건 모형은 전국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체계적이고 질 높은 연계 프로그램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통합교류 프로그램, 통합교육,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특수학교 재구조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