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43&local_id=10011437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이 통합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경도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이 통합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경도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방명애(우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7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이 통합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경도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발히느 것이었다. 연구는 2개의 실험연구로 구성되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이었다.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은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으로서 자기결정기술의 9개의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지역사회 활용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및 스트레스 해소기술을 포함한다. 측정도구는 프로그램에 기초한 180문항의 자기결정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1점(무응답 또는 지원제공시에도 부적절한 수행), 2점(지원 지공시 부분적 수행), 3점(지원 지공시 적절한 수행), 4점(독립적 수행)으로 평가하였다. 첫 번째 실험연구는 36회기에 결쳐 경도장애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36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및 스트레스 해소기술에 있어서 프로그램 저겨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에,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지역사회 활용기술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첫 번째 실험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된 프로그램의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48개 상황으로 구성된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두 번째 실험연구에서는 48회기에 걸쳐 10명의 경도 또는 중등도 정신지체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9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지받ㄴ역할놀이 상황에서의 적응행동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두 연구의 결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변인들에 의해 설명되어 질 수 있겠다: (1) 통합환경과 특수학교의 교수환경의 차이, (2) 연구대상 집단의 특성, (3) 첫 번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48개 상황의 역할놀이 중심의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두 번째 실험연구에서 적용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질 차이, (4) 프로그램을 적용한 회기수의 차이 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이며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student-directed transition-planning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oject was composed of 2 experimental studies. The research design of both studies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skills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 Matched pair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es. The scale is composed of 180 items, 20 items for each sub-skill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In the first study, the program composed of 36 sessions was implemented for 10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eterminatino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skills such a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kills, choice-making skills, social skills, cooperative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skills wer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the program. On the contrary, self-advocacy skills, support networking skills, and community use skills were not improved statistically by the program. In the second study, after implementing the role-play based self-determination activity program composed of 48 situations for 10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intellecual disabilities, all 9 sub-skill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adaptive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fter implementing the role-play based self-determination activity program. The following variables can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resuls of the first study and that of the second study: (1) difference between an integr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gregated educational environemtn, (2)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d each study, (3)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he program used for each study, (4)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essions of each study. In conclusion, a systematic and intensive role-playbased self-determination activity program was found to be great benefit to hgih function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results implied that a long-term comprehensive program is neded for improving certain subskill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이 통합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경도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이었다. 학생주도적 전이계획 프로그램은 역할놀이 중심의 활동프로그램으로서 각 역할놀이에 자기결정기술의 9개의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지역사회활용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및 스트레스해소기술 중 관련되는 기술을 최대한 포함시켜 구성하였다. 측정도구로 사용된 자기결정척도는 각 하위영역당 프로그램에 기초한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총 180문항이었으며, 1점(무응답 또는 부적절한 수행), 2점(촉진 제공시 부분적 수행), 3점(촉진제공시 적절한 수행), 4점(독립적인 수행)으로 평가되었다. 첫 번째 실험연구는 통합된 경도 정신지체를 가진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36회기 실시하였으며,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및 스트레스해소기술 영역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에,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및 지역사회활용기술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 실험연구는 첫번째 실험연구에서 개발된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48개의 역할놀이 상황을 구성하여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 학생 10명에게 4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 실험연구와 마찬가지로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도 프로그램에 기초한 자기결정 척도 180문항을 적용하여 자기결정기술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적용 후 9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두 연구의 결과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은 변인때문인 것을 간주된다: (1) 통합환경과 특수학교의 교수환경의 차이, (2) 연구대상 집단의 특성 차이, (3) 첫 번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프로그램의 단점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두 번재 실험연구에서 사용, (4) 프로그램을 적용한 회기수의 차이 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포괄적이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결과는 2005년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The 1st Asia-Pacific Regional Congress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cientific Study of Intellectual Disabilities(IASSID)가 열렸던 대만에서 발표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 연구결과는 국내 전문학술지에 등재 신청 중에 있다. 즉, 학술지를 통해 학계와 교육현장에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구체적인 활동프로그램을 소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본 연구의 역할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번역하여 참고하였던 Wehmeyer의 Who's future is it anyway를 출판하여 선진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이계획프로그램을 출판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자기결정기술,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지역사회활용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스트레스해소기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