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44&local_id=10012604
통합교육에 대한 한국 문화적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합교육에 대한 한국 문화적 분석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용석(진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75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통합교육 장면에 대한 선택과정과 결과를 한국문화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여기에서의 한국문화는 중국, 일본의 문화와 공유되는 집합주의적이고 조화를 강조하는 문화적 속성을 의미한다. 통합교육 선택과정에서 한국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서 ‘특정도형 선호도 평가과제’와 ‘특정도형 선택과제’가 구성되었으며, ‘특정도형 선호도 평가과제’는 3차례에 걸쳐 조사되었다. 통합교육 결과에 한국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질문과제가 구성되었다. 만들어진 질문과제는 통합교육을 선호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을 제시한 다음 4문항으로 이뤄진 명제적 진술을 제공하였으며 이에 대해 참여자들에게 동의정도에 따라 5점척도로 반응하도록 요구하였다. 질문과제의 내용은 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2문항은 통합교육의 결과를 한국 문화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는 정도를 밝히기 위해, 그리고 다른 2문항은 통합교육이 특정교육장면에 대한 수혜의 정도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한 인식론적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서는 ‘특정과제 선호도 평가’에서는 한국문화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정과제 선택하기’ 과제에서는 한국문화의 집단주의적 특성에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질문과제에 대한 결과분석에서는 통합교육이 인식론적이라기보다는 한국문화의 측면에서 보다 유의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의 선택과정과 결과에 집합주의적 한국문화의 속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으로, 한국문화의 관점에서 보면 통합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영문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selecting process and selected result of inclusive class through Korean culture with conformity or harmony. In this study, Korean culture was defined as collective culture such as conformity or harmony shared by East Asian countries.
    Two instruments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measure Korean cultural factors, which were perceptual tasks and questionnaires. Perceptual tasks consisted of both preperance tests of specific subfigures, and selecting specific subfigures. Questionnaires tasks four items divided into two groups, korean cultural factor and epistemological factor.
    Conclusions from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cultural foctor had important role in selecting inclusive settings. Results in selecting subfigu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Korean collective cultures such as harmony or conformit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cultural factor had significant role in resulting in inclusive class, such as harmony or conformity.
    Conclusion recommended that we had to have more inclusive setting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Korea.

    key words: inclusion, korean culture, conformity or harmony, collective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통합교육 장면에 대한 선택과정과 결과를 한국문화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여기에서의 한국문화는 중국, 일본의 문화와 공유되는 집합주의적이고 조화를 강조하는 문화적 속성을 의미한다. 통합교육 선택과정에서 한국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서 ‘특정도형 선호도 평가과제’와 ‘특정도형 선택과제’가 구성되었으며, ‘특정도형 선호도 평가과제’는 3차례에 걸쳐 조사되었다. 통합교육 결과에 한국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질문과제가 구성되었다. 만들어진 질문과제는 통합교육을 선호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을 제시한 다음 4문항으로 이뤄진 명제적 진술을 제공하였으며 이에 대해 참여자들에게 동의정도에 따라 5점척도로 반응하도록 요구하였다. 질문과제의 내용은 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2문항은 통합교육의 결과를 한국 문화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는 정도를 밝히기 위해, 그리고 다른 2문항은 통합교육이 특정교육장면에 대한 수혜의 정도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한 인식론적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서는 ‘특정과제 선호도 평가’에서는 한국문화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특정과제 선택하기’ 과제에서는 한국문화의 집단주의적 특성에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질문과제에 대한 결과분석에서는 통합교육이 인식론적이라기보다는 한국문화의 측면에서 보다 유의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의 선택과정과 결과에 집합주의적 한국문화의 속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으로, 한국문화의 관점에서 보면 통합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통합교육에 대한 선호도를 집합주의적인 한국문화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통합교육 장면을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결과 이 두 가지로 한정하였다. 통합교육의 선택과정과 관련한 통합교육의 한국문화적 관점을 측정하는 과제로는 ‘특정도형 선호도 평가과제’와 ‘특정도형 선택과제’가 선정되었다. 통합교육 결과를 한국문화적 관점에서 조사하기 위하여 ‘질문과제’가 고안되었다. 질문과제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동의가 인식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가를 밝히기 위한 과제가 또한 포함되었다. 집단간 변인으로는 교사집단과 학부모집단, 자녀재학형태별 학부모 집단, 담당학급(교)별 교사집단 등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을 선택하는 과정에 집합주의적 한국문화가 영향을 미친다. 특수교육 장소의 선택과정은 학부모와 사회와의 상호작용이며, 이 과정에서 학부모는 사회적 상황과 분리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특정도형의 선택을 회피한다는 결과는 통합교육을 선택하는 과정에 한국문화의 집합주의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지각과제에 대한 반응결과는 특정과제에 대한 선호도가 일반과제에 대한 선호도보다 낮다는 결과로 유도되지 않은 반면에 특정과제에 대한 선호도는 특정 과제의 위치, 특정과제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과제와 일반과제의 이탈거리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수아동을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 등의 일반장소와는 다른 특정장소에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가 특정장소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인, 즉 지원조건의 열악함에 기인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둘째, 통합교육의 결과는 인식론적이라기보다는 집합주의적 한국문화적 요인에 기인한다. 설문참여자들은 통합교육에 동의하는 이유로서 일반학급이나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배치되면 특수학교에 배치된 아동에 비해 더많은 혜택을 받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은 자신의 자녀가 다른 아동들과 똑같이 사회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좋아한다거나 일반아동과 다른 특별한 장소에서 따로 공부하는 것을 사회구성원들은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반응하였다. 인식론과 관련된 질문에서, 참여자들은 특수학교와 비교해 볼 때 일반학급의 특수학급이 일반학급보다 더 많은 혜택을 입는다고 반응하였다. 통합교육 장면에 배치를 선호하는 이유에서 특수학급에 자녀가 재학중인 집단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학부모 집단에 비해 집합주의적 속성, 특히 사회속에서 통합되어 더불어 사는 것을 좋아한다는 항목에서 반응점수가 높았다. 이것은 통합교육을 추진하게 한 상당한 요인이 집합주의적이고 자아의존적인 한국문화의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시사한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향후 특수교육학의 전개과정이나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은 집합주의 문화인 한국문화에서는 선택이 아닌 당위적인 것이어야 한다. 한국의 집합주의 관점에서 볼 때, 전체교육 체제에서 특수교육을 따로 떼어내어 전개하는 것은 특수아동 및 이들의 부모에 대한 차별로 유도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리하여, 현재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를 한국 민속형이상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고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리된 특수교육 장면에 대한 지원수준을 질적 양적으로 확장해야 한다. 특수교육은 선 통합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어쩔 수 없는 분리된 특수교육 장면을 가지게 될 경우 이에 대한 혜택이나 지원수준을 높여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보면 특정도형에 대한 선호도는 분리된 특정도형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달랐다. 이것은 분리된 특수교육 장면에 대한 지원수준이나 혜택을 강화함으로서 집합주의적 문화로 인한 차별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의 통합교육을 한국의 학적 전통, 한국문화 등 한국의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도출해 내고 고민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서구의 신지식을 한국 사회나 한국문화에 이식시키는데 익숙하다. 그러나, 한국은 한국 나름의 독특한 민족 형이상학이 있으며, 이것은 통합교육 등을 비롯한 한국 특수교육학의 중요한 논제들이 한국의 문화, 한국의 학교, 한국의 특수아동, 한국의 지식전통 등 한국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정의되고 다듬어져 서구와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야할 당위성를 제공한다.
  • 색인어
  • 통합교육, 한국문화, 집합주의 문화, 조화 또는 순응, 인식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