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46&local_id=10011910
축제체험속성 모형개발: 문화적 합의이론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축제체험속성 모형개발: 문화적 합의이론을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훈(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1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축제는 양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이제 이러한 진전과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측면에 대한 문제제기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축제관련 연구가 서비스 관점에서 주로 접근하는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축제의 체험자체에 집중하는 본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과제로 ‘체험속성의 개념적 구성요소’와 ‘축제체험의 구성관계 및 체계화’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구성관계와 체계화를 위해서는 심리적 접근으로 내재적 동기와 내재적 보상으로서 축제체험 개념을 정리하였다. 사회학적 이론체계를 통해서는 실존적 진정성의 개념에 입각하여 경험과정에서 형성되는 감정에 집중하며, 한편으로 참여자의 개별체험과 사회적 관계에 의한 체험 및 이에 상호영향을 주는 구조에 대하여 개념화 하였다.
    체험속성은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우선 일탈성은 비일상성을 경험하고 무질서와 카오스 상태를 체험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놀이성은 놀이의 질적 차원으로 자발성, 자기결정성, 합목적성을 통한 즐거움, 재미, 흥분 등으로 개념화 하였다. 신성성은 제의 양식으로 인한 엄숙함, 경외감, 진지함을 포함한 것으로 제시하였고, 대동성은 축제 공간 속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일체감의 형성과 함께 즐김으로서 더 즐거워지는 질적 측면으로 개념화 하였다. 장소성(placeness)은 장소(place)에 정체성(identity)과 애착(attachment)와 같은 감정적 요소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들과 이론적 체계를 결합하여, 축제체험 중 일탈성, 놀이성, 신성성은 심리적 분류체계에서 활동지향적 체험에 해당되고, 대동성은 사회지향적 체험에 관련되며, 장소성은 자연지향적 체험에 적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축제 체험개념은 내재적 동기에 대한 체험적 보상에 해당되며, 상호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이런 체험은 후속 행동태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개별적 차원의 체험은 구조 및 사회관계에 의해 열린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그림 3).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을 통해 축제체험의 내용과 관계를 체계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형 Fex-M을 구성하였다.
    축제가 지역주민의 여가공간이 되고 관광매력이 되기 위해서는 질적 발전이 모색되어야 한다. 질적 측면은 축제라는 독특한 분위기와 체험으로서 ‘축제성’을 의미하며, 내용과 형식에서 축제다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축제현장에서는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실제로 어떤 체험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축제체험의 다섯 가지 속성과 그 구성관계는 축제기획의 방향과 축제콘텐츠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축제체험의 실존적 본질을 찾아내고 축제체험모형의 구체화를 위해 질적․양적 방법에 의한 검증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 영문
  • This study was to analyze experiential festival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in order to make the conceptual model of festival experience. First, this article studied former festival research and experiential festival attributes. Then, the relations of festival experience was addressed in the view of psychological theories related to internal motivations and rewards. In terms of sociological perspectives, festival experience was discussed by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 And also, five elements of festival attributes which are escape, association, sanctification, playfulness, placeness were suggested. The structure system model of festival experience, Fex-M, was constructed with the research propositions. It was recommended to confirm the model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was to analyze experiential festival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in order to make the conceptual model of festival experience. First, this article studied former festival research and experiential festival attributes. Then, the relations of festival experience was addressed in the view of psychological theories related to internal motivations and rewards. In terms of sociological perspectives, festival experience was discussed by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 And also, five elements of festival attributes which are escape, association, sanctification, playfulness, placeness were suggested. The structure system model of festival experience, Fex-M, was constructed with the research propositions. It was recommended to confirm the model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체계
    심리학적 측면에서 제시하듯이 축제참가는 여가로서 자기결정성과 합목적성을 갖는 내재적 동기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재적 동기는 내재적 보상을 얻고자 하며 축제에서는 축제체험을 의미한다. 축제체험은 축제를 위해 참여하기보다는 축제에서 얻어지는 체험내용, 즉 ‘축제다움’을 느끼고자 하는 것이다. 여가체험은 세 가지 구상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는데(성영신․고동우․정준호, 1996), 이는 여가로서의 축제체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축제체험의 다섯 가지 개념을 특성과 내용에 따라 여가체험 구성요소에 대응시킬 수 있는데, 우선 활동지향적 체험에는 일탈성, 놀이성, 신성성이 포함된다. 사회지향적 체험은 교류와 어울림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동성’에 대응할 수 있다. 환경지향적 체험은 주변 자연 또는 환경과의 반응을 체험하는 것으로 ‘장소성’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내재적 보상을 인지적 체험과 정서적 체험으로 나누고 있는데, 축제체험으로 제시된 다섯 가지 개념은 실제로 복합적 체험속성을 가지고 있어 구별하기에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신성성은 개막식, 폐막식 또는 의례 등에 대한 인지적 체험과 그로부터 야기되는 장엄함, 엄숙함, 경건함, 또는 왜소함이나 위축감 등의 정서적 체험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놀이성의 경우도 규칙이 내재되어 있어 규칙에 대한 인지와 이로 인한 긴장과 이완 그리고 재미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사회학적 관점에서도 장소성(placeness)은 객관적 진정성이라는 인지적 측면(place)을 강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애착(attachment)이라는 정서를 포함한 실존적 진정성을 포함하고 있다. 신성성의 경우도 본래의 제(祭) 양식이 아니라 의식과 의례에 의한 상징과 이미지로부터(구성적 진정성) 실존적 진정성을 얻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체험의 복합성은 다섯 가지 개념이 심리적 개념 차원이외에 인류학, 민속학 등 통합적․의미적 차원에서 개념화되고 이를 심리적 개념체계와 결합하였기에 나타나는 분류개념의 모호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는 체험개념의 전체적 구성요소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더 세밀한 분류와 차별화는 다음과제에서 고려하고자 한다. 한편, 축제체험의 결과는 다시 축제체험에 대한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주는 순환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개별적 행위의 심리적 개념체계는 구조와 환경과 관계를 갖는다. 사회학적 시각에서 제시된 구조와 행위관계에서와 같이 실제로 행위의 심리적 체험도 구조․환경적 영향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규정된다. 즉, 각 개인의 심리적 구성체계는 개별 참여자 자체의 심리적 상태와 변화 뿐 만아니라 개인과 개인의 관계, 개인과 집단의 교류관계 그리고 경제, 사회, 문화, 정치를 포함한 구조관계에 의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개별적 체험은 구조의 관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축제체험의 개념구성과 과정을 모형으로 구성하면 Fex-M(The Structure System Model of Lived Festival Experience)의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축제체험 구성모형(Fex-M: The Structure System Model of Lived Festival Experience)

    2. 결론 및 향후연구방향

    축제가 지역주민의 여가공간이 되고 관광매력이 되기 위해서는 질적 발전이 모색되어야 한다. 질적 측면은 축제라는 독특한 분위기와 체험으로서 ‘축제성’을 의미하며, 내용과 형식에서 축제다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축제현장에서는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실제로 어떤 체험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축제체험의 다섯 가지 속성과 그 구성관계는 축제기획의 방향과 축제콘텐츠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축제체험의 실존적 본질을 찾아내고 축제체험모형의 구체화를 위해 질적․양적 방법에 의한 검증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 색인어
  • 축제체험모형, 체험속성, 일탈성, 놀이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