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58&local_id=10011285
정보통신 기술(ICT)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예비 교사 준비 교육프로그램 모형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보통신 기술& #40;ICT& #41;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예비 교사 준비 교육프로그램 모형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임철일(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1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안내하여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ICT 활용 교육이 현직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이나 교직과정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모형은 미국의 PT3(Preparing Tomorrow's Teachers to Use Technology Program) 프로그램의 기본 아이디어와 수업 기술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티칭 접근 방법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교생실습을 전후로 하여 대학에서의 ICT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과 그에 기반한 모의 수업의 실시 및 수업에 대한 동영상 촬영과 비판적 성찰 등이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개발된 웹 기반 지원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자신의 수업 준비 및 실행 과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된다. 실습 중에는 대학에서 학습한 ICT 활용 수업의 원리와 모형을 적용하게 되는데, 현장 교사의 조언과 피드백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도 예비 교사의 수업 과정을 촬영하여 웹 기반 지원 시스템에 업로드하게 되며, 동료 예비교사 및 현장 교사의 피드백을 받게 된다. 실습 종료 후 대학에 다시 돌아와서 전체적으로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ICT 활용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게 된다.

    제안된 모형에 따라서 2005년 교생실습을 하게 되는 31명의 학생들이 본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단계별 예비교사들의 성찰 보고서와 토론 자료, 현장 교사와의 면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개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적 측면으로 확인된 것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가지이다. 첫째, 교생 실습 전의 준비 활동으로 제안된 웹 기반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ICT 활용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체계적 기회를 제공받았다. 둘째, 현장교사의 지도가 효과적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ICT활용을 준비하여 실시하는 예비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사전에 현장 교사에게 공지하면서 웹 기반 지원 체제를 활용한 피드백 등을 요청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장 교사들은 다른 일반 교생 실습에서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예비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셋째, 앞에서 언급한 웹 기반 지원 체제가 전체적으로 예비교사의 ICT 활용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핵심적 특징은 단순히 강좌 혹은 대학 교수 혹은 현장 교사와 같은 개별 요소들의 지원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에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 제안된 웹기반 지원체제는 전체적으로 예비교사의 ICT활용 교육을 안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개선점으로 확인된 것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이다. 첫째, 웹 기반 지원체제 중 ICT 활용 교수 모형과 이론 등에 대한 자원으로서의 기능 부분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관련된 자료의 링크 수준이나 안내 등에 불과하나 향후 이 부분에 대한 독자적인 자원 제공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강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이크로 티칭의 가능성에 비추어 볼 때 교생실습에 참여하는 모든 예비교사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업을 촬영하고 그에 대하여 다른 동료 예비교사 및 현장교사의 피드백과 자신의 성찰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일부분의 예비교사의 수업 장면 촬영에 제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수업이 어떤 조건에서 효과적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연구 결과 및 현장 적용 과정에서 확인된 원칙 등을 중심으로 명세화할 필요가 있다.
  • 영문
  •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model for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ir teaching. Education with ICT has been emphasiz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since 2000, and many types of programs and projects for the in-service teachers have been launch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throughout the nation. However the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to use ICT in their teaching have not been quite developed. Each college and university provides their courses regarding the methods of utilizing ICT for education without any systematic guidance and supports such as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with ICT.

    A new and comprehensive program model for help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ICT in their teaching has been suggested. It consists of three phases: before, during and after "pre-service teacher teaching practicum". The preparation for using ICT should be focused on the teaching reality: school-based teaching. Therefore, the program intends to provide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chances for using ICT in the field after they finish their practices by campus-based courses. And as they finish their practicum in shool, they share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and ideas on using ICT in the field.

    The program model is based on two ideas: one is that web-based support system should play a key role in terms of providing a systematic chance for each phase of the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s can use this system as they prepare their material, analyze the cases and examples with ICT, criticize and reflect on teaching practices video clips. The other idea is to utilize the micro teaching approach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can have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analyze other teaching practices as well as their own.

    The program model was implemented in the real field as 31 pre-service students involved in the study last 2005 spring semester. They went through each phase of the program as they utilized some functions of "Web-based support system" such as reflected on teaching cases and examples of using ICT for instruction. Participants' reflective notes and gro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model and to suggest future improveme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pre-service students have been provided the chances to analyze the cases, to prepare their material, and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practices of video clips through "Web-based support system". Second, the feedback and advice by in-service teachers were critical to make the pre-service teachers to teach with confidence. Their guidance makes the pre-service teacher to focus on the effects of ICT rather than just using ICT. Finally, the "Web-based support system" played a key role in managing the whole process of helping the pre-service teachers to use ICT in their teaching. Suggestion for future improvements were made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more instructional models, theories, and cases with ICT as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and provided as the pre-service teachers demand them when they're asked to design their lesson plans. Second, the chances for videotaping their teaching with ICT should be provided for the whole participants. The confidence and interest in using ICT can be increased as each participant has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teaching. Finally, the relevant conditions for using ICT to teach should be clarified and specified as a knowledge base regarding education with I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안내하여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ICT 활용 교육이 현직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이나 교직과정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모형은 미국의 PT3(Preparing Tomorrow's Teachers to Use Technology Program) 프로그램의 기본 아이디어와 수업 기술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티칭 접근 방법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교생실습을 전후로 하여 대학에서의 ICT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과 그에 기반한 모의 수업의 실시 및 수업에 대한 동영상 촬영과 비판적 성찰 등이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개발된 웹 기반 지원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자신의 수업 준비 및 실행 과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된다. 실습 중에는 대학에서 학습한 ICT 활용 수업의 원리와 모형을 적용하게 되는데, 현장 교사의 조언과 피드백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도 예비 교사의 수업 과정을 촬영하여 웹 기반 지원 시스템에 업로드하게 되며, 동료 예비교사 및 현장 교사의 피드백을 받게 된다. 실습 종료 후 대학에 다시 돌아와서 전체적으로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서 ICT 활용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게 된다.

    제안된 모형에 따라서 2005년 교생실습을 하게 되는 31명의 학생들이 본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단계별 예비교사들의 성찰 보고서와 토론 자료, 현장 교사와의 면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개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적 측면으로 확인된 것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가지이다. 첫째, 교생 실습 전의 준비 활동으로 제안된 웹 기반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ICT 활용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고, 성찰하는 체계적 기회를 제공받았다. 둘째, 현장교사의 지도가 효과적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ICT활용을 준비하여 실시하는 예비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사전에 현장 교사에게 공지하면서 웹 기반 지원 체제를 활용한 피드백 등을 요청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장 교사들은 다른 일반 교생 실습에서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예비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셋째, 앞에서 언급한 웹 기반 지원 체제가 전체적으로 예비교사의 ICT 활용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핵심적 특징은 단순히 강좌 혹은 대학 교수 혹은 현장 교사와 같은 개별 요소들의 지원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에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 제안된 웹기반 지원체제는 전체적으로 예비교사의 ICT활용 교육을 안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개선점으로 확인된 것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이다. 첫째, 웹 기반 지원체제 중 ICT 활용 교수 모형과 이론 등에 대한 자원으로서의 기능 부분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현재는 관련된 자료의 링크 수준이나 안내 등에 불과하나 향후 이 부분에 대한 독자적인 자원 제공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강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이크로 티칭의 가능성에 비추어 볼 때 교생실습에 참여하는 모든 예비교사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업을 촬영하고 그에 대하여 다른 동료 예비교사 및 현장교사의 피드백과 자신의 성찰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일부분의 예비교사의 수업 장면 촬영에 제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수업이 어떤 조건에서 효과적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연구 결과 및 현장 적용 과정에서 확인된 원칙 등을 중심으로 명세화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예비교사의 ICT활용 교육을 안내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종합적인 형태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및 웹기반 지원 시스템의 개발.
    예비교사의 반응 및 현장교사의 조언을 중심으로 향후 개선 방향의 제시.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에 있어서 ICT 활용교육 활동을 안내하여 줄 수 있는 모형으로서 활용
    웹기반지원체제를 활용하여 ICT활용 교육을 촉진할 수 있음.
  • 색인어
  • ICT 활용 교육,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웹 기반 지원 체제, 교수설계, 교수모형, ICT교수모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