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65&local_id=10012084
중등학교 문학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과정용어 선정 및 범주화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등학교 문학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과정용어 선정 및 범주화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지현(서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9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북미 지역의 문학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개관하고,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을 추출하여 어떤 이론적, 교육적 관점에서 이 용어들이 선정되었고, 어떤 성격과 방향의 문학교육을 수행하도록 범주화되었는지를 살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각기 두 개의 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같은 주제의 계속 연구(2차년도 연구)로서 이미 전년도 연구를 통해 문학교육과정용어의 분석틀을 이론화하였기 때문에, 해당 주 교육과정을 분석함에 있어서도 같은 분석틀을 따랐다.
    연구 결과 문학교육과정용어의 선정 및 범주화와 관련하여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들 교육과정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독립 운영되는 문학교육과정보다는 영어과 교육과정으로서의 문학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영어과 교육과정은 상급 학년으로 올라가면서 문학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심화되고 있었으며, 따라서 문학교육과정은 영어과 교육과정과 중층적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셋째,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은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목록화되어 있었다. 넷째, 저학년에서부터 내용은 평이하지만 개념은 명확하게 용어 사용을 하도록 조직되어 있었다. 끝으로 다섯째,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은 내용 기준뿐 아니라 교수 전략과 학습 활동을 기술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 가운데 문학 중심 교육과정 운영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고 평가되었다. 아울러 내용 기준이 성취 기준과 다르다는 측면에서 이 둘을 아울러 설명할 수 있도록 문학교육과정용어의 선정과 범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literary curriculum of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extracting the educational terms for literary curriculum to explain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position and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four representative state of state English standards(California/USA, Massachusetts/USA, British Columbia/Canada, Ontario/Canada).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ome peculiarity in relation to fixing and categorizing of curriculum terms as follows;
    First, literary curriculum is managed as not a separated course, but the english language arts curriculum.
    Second, content standards of higher grades in English language arts require students to turn their attention to the accurate literary knowledges and ample literary appreciation. So it can be called as a literary-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terms for literary curriculum are obviously categorizing as a curriculum terms in English language arts.
    Fourth, at the lower grades, the terms are easily comprehensive for the students, but organized to be used as the definite conceptions.
    And Fifth, the terms help to describe not only the content standards bu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ing activ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북미 지역의 문학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개관하고,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을 추출하여 어떤 이론적, 교육적 관점에서 이 용어들이 선정되었고, 어떤 성격과 방향의 문학교육을 수행하도록 범주화되었는지를 살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각기 두 개의 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같은 주제의 계속 연구(2차년도 연구)로서 이미 전년도 연구를 통해 문학교육과정용어의 분석틀을 이론화하였기 때문에, 해당 주 교육과정을 분석함에 있어서도 같은 분석틀을 따랐다.
    연구 결과 문학교육과정용어의 선정 및 범주화와 관련하여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들 교육과정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독립 운영되는 문학교육과정보다는 영어과 교육과정으로서의 문학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영어과 교육과정은 상급 학년으로 올라가면서 문학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심화되고 있었으며, 따라서 문학교육과정은 영어과 교육과정과 중층적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셋째,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은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목록화되어 있었다. 넷째, 저학년에서부터 내용은 평이하지만 개념은 명확하게 용어 사용을 하도록 조직되어 있었다. 끝으로 다섯째, 문학교육과정용어들은 내용 기준뿐 아니라 교수 전략과 학습 활동을 기술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 가운데 문학 중심 교육과정 운영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고 평가되었다. 아울러 내용 기준이 성취 기준과 다르다는 측면에서 이 둘을 아울러 설명할 수 있도록 문학교육과정용어의 선정과 범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교육과정 개발 :
    1차년도 연구(최지현, 2005)와 더불어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수준 결정, 내용 기준과 성취 기준의 판단, 내용 요소의 계열화 등에 유용한 판단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며, 아울러 교육 용어의 선정과 적용의 적합성을 평가할 이론적 기초를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실천
    학습자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 요소들을 분류하고 계열화하며 제한하는 일은 (문학)교육의 범위 포괄성 확보와 함께 중요한 교육 실천적 고려 요인이 된다. 이 연구는 이론 층위의 정합성과 최소 요구 수준의 다양성 측면에서, 그리고 목표 및 내용 체계상의 일관성과 최소 요구 수준의 중층성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필수적 학습 용어이자, 문학 교사들에게는 필수적인 교육 용어로서 수업 과정에 투입되어야 할 문학교육과정용어의 목록을 제안한다. 이 용어 목록은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서 동질의 학습 내용이 교수․학습될 수 있게 하는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문학교육 연구
    문학교육과정용어에 대한 체계적인 목록화와 범주화는 문학교육 연구 영역에서 시급하고 중요한 연구 내용을 선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향후 교육과정 연구와 관련하여 부진한 연구 방향과 심급을 조절하고 활성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문학교육과정, 문학교육과정용어, 문학 용어, 문학 중심 교육과정, 문학교육, 국어과 교육, 교육과정 개발, 문학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기준 중심 문학교육과정, 다문화주의 기반 문학교육과정, 이원적 심화 교육과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