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91&local_id=10012615
영어의 중주어구문에 관한 연구: 처소구도치구문과 출현허사구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어의 중주어구문에 관한 연구: 처소구도치구문과 출현허사구문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선웅(광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0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영어의 처소구도치구문(Locative Inversion Construction: LI구문)의 통사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 구문의 이중주어구문(double subject construction)적 성격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분석은 전형적인 LI구문은 아래 (1)의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1) [PP Down the hill] EXP rolled the man from India.
    여기서 EXP는 편의상 영허사(null expletive)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이처럼 분석한다면, 결국 LI구문은 처소구가 문장의 앞으로 전치된 형태의 출현허사구문으로 분석된다. (1)의 Lyle and Gamon(1997)이 분석하고 있는 처소구전치 수동허사구문(passive expletive construction)과 매우 유사한 어순을 가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PP Over the river] there was built a bridge.
    (2)는 수동허사구문에서 처소구 전치가 일어난 구문인데, Lyle and Gamon(1997)은 이를 영어의 이중 혹은 다중주어구문(multiple subject construction)으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들의 분석이 (1)의 분석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영어의 LI구문은 영허사를 갖는 출현허사구문이며, 이는 또 다시 Lyle and Gamon(1997)이 주장하는 영어의 이중주어구문임을 논증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전치된 처소구와 영허사가 모두 비논항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포착하고 이 모든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도출적 절구조를 제안하였다.
  • 영문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what is the subject of LIC and to propose a derivational analysis of clausal architecture of LIC with reference to the dual properties of the fronted PP and the null expletive. What is meant by the dual properties is that they have both subject (A-property) and non-subject (A' property) at the same time. It will be claimed in this paper that the properties can be derivationally captured under the proposed clausal structure. This paper discusses the similarity between LIC and PTC and concludes that they belong to the same type construction, that is, the MSC, in that both LIC and PTC (with its locative PP fronted) go in tandem with PEC (with its locative PP fronted), which is analyzed as an example of MSC (L&G 1997).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fronted PP and the (null) expletive are both subject and non-subject at the same time, and proposes that a structure that can derivationally incorporate their dual nature. Through the discussion, the null expletive will be justified in LIC and its A' property will be more discussed. This paper leaves the analysis of the post-verbal logical subject in LIC intact. The promising track to pursue would be to deal with this on the same way with the fronted PP and the expletive. In other words, its nature as both a subject and a non-subject (but as a focus) would be a result of movement from an A-position to an A'-posi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영어의 처소구도치구문(Locative Inversion Construction: LI구문)의 통사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 구문의 이중주어구문(double subject construction)적 성격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한국어나 일본어, 아이스랜드어 등에 존재하는 이중주어구문은 일반적으로 영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Lyle and Gamon(1997)의 연구를 확장하여 영어의 LI구문은 이중주어구문으로 분석되어야 할 통사적 증거들이 있음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의 주 대상이 되는 자료는 다음과 같은 문장들이다.
    (1) a. The man from India rolled [PP down the hill].
    b. [PP Down the hill] rolled the man from India.
    c. There rolled the man from India [PP down the hill].
    d. [PP Down the hill] there rolled the man from India.
    (1a)는 S-V-PP의 어순을 유지하고 있는 기본 문장이고, (1b)는 처소구 PP가 문장의 앞으로 나가면서 주어 동사가 도치되어 있는 전형적인 LI구문이다. (1c)는 한정적 명사구(definite NP)가 관련명사구(associate NP)로 나타난 소위 출현허사구문(presentation there construction: PE구문) 이며, (1d)는 출현허사구문에서 또 다시 처소구가 문장의 앞으로 전치되어 있는 문장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1b)와 (1d)의 대조이다. 이 둘은 후자의 경우 허사 there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표면적으로 다른 듯 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분석은 전형적인 LI구문인 (1b)는 (2)의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2) [PP Down the hill] EXP rolled the man from India.
    여기서 EXP는 편의상 영허사(null expletive)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1b)를 (2)처럼 분석한다면, 결국 LI구문은 처소구가 문장의 앞으로 전치된 형태의 출현허사구문으로 분석된다.
    (2)의 구조는 Lyle and Gamon(1997)이 분석하고 있는 처소구전치 수동허사구문(passive expletive construction)과 매우 유사한 어순을 가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a. [PP Over the river] was bulit a bridge.
    b. [PP Over the river] there was built a bridge.
    c. *[PP Over the river] there was a bridge built.
    (3a)는 수동문에서 처소구 전치가 일어난 구문이고 (3b)는 수동허사구문에서 처소구 전치가 일어난 구문인데, Lyle and Gamon(1997)은 (3b)를 비문법적인 (3c)와 구분하여 영어의 이중 혹은 다중주어구문(multiple subject construction)으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들의 분석이 (2)의 분석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영어의 LI구문은 영허사를 갖는 출현허사구문이며, 이는 또 다시 Lyle and Gamon(1997)이 주장하는 영어의 이중주어구문임을 논증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전치된 처소구와 영허사가 모두 비논항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포착하고 이 모든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도출적 절구조를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집약적으로 요약하자면 궁극적으로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시도이다.

    (1) a. 영어 처소구도치구문의 통사적 성격은 무엇인가
    b. 영어 출현허사구문과 처소구도치구문의 통사적 연관성은 무엇인가
    c. 영어에 이중주어구문은 존재하는가
    d. 영어에서 처소구도치구문, 출현허사구문, 이중주어구문의 통사적 연관성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영어나 아이슬랜딕어어 같은 개별 언어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심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보편문법의 구현에 이바지 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영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던 이중주어구문의 존재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보다 꽤 만연되어 있음을 밝히게 될 것이다. 또한 별개의 구문으로 분석되었거나, 부분적 유사성만이 관심의 대상이었던 처소구도치구문과 출현허사구문은 결국 동일한 구문임을 증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그동안 처소구도치구문의 원초적 의문점이었던 전치된 처소구의 주어-비주어적 성격의 공존에 관한 원리있는 설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종료된다면, 이는 숨겨진 유사성을 찾아내는 과학적 발견 절차를 통하여 최소주의 통사론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간의 언어능력의 규명에 한걸음 나아가는 중요한 이론적 기여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처소구도치구문, 출현허사구문, 다중주어구문, 주제, 주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