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612&local_id=10010396
영어 대화에서의 말차례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의 담화 조직적 자질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어 대화에서의 말차례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의 담화 조직적 자질 분석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규현(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15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대화분석의 시각에서 말차례단위의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의 담화조직적 자질을 대화참여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 가까이에서 조성되는 이러한 쉼간격은 현 말차례 단위뿐만 아니라 현재 담화 전체를 조율하는 특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그러한 쉼간걱이 현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을 넘어서 다음 말차례 단위가 계속 발화될 것임을 예비적으로 투사한다는 점에서 보여진다. 이는 대화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 패턴의 분석을 통해 관찰되는데, 화자는 쉼간격 후에 말차례 단위를 마친 후에도 and나 but 같은 접속사를 발화하여 새로운 말차례 단위가 따라 나올 것임을 보이고, 청자도 쉼간격 후에 완결되는 말차례 단위 자체에 대해서는 빠르고 간단한 '중간단계의' 협조적 반응만을 보이고, 그 다음에 따라 나오는 새로운 말차례 단위에 대해서는 보다 본격적으로 반응을 하는 뚜렷한 경향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뒤이어 나오는 새로운 말차례 단위가 현 담화의 요점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은 현 담화의 요점이 곧 발화될 것임을 청자로 하여금 미리 예측하게 하는 담화조직적 자질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담화조성 과정에서 쉼간격 주변에 상대방의 동의를 전제하는 you know와 같은 담화표지가 많이 발견되고, 또한 쉼간격 후에 상대방이나 제삼자의 체면을 위협할 소지가 있는 '예민한' 표현이 발화되는 경향이 많고 이를 완화시키는 장치로서 and so forth 등과 같은 완화표현이 오는 경향이 있음을 보임으로써, 청자로부터 '중간단계의' 협조적 반응만을 이끌어 내고 곧장 다음 말차례 단위로 나아가고는 하는 화자의 전략적 측면과 쉼관격이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쉼간격의 특성은 이야기 맥락에서도 관찰되었는데, 화자가 이야기의 주요 부분으로 나아가기 이전에, 이야기의 배경적 정보나 등장 인물을 소개하는 지점에서도 쉼간격이 관찰되고, 이 지점에서 청자는 다음에 나올 주 이야기 부분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제반 사항에 대한 이해확인이나 수정 등을 시도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이야기 맥락에서도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은 현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올 이야기의 주요 부분까지도 투사하는 담화조직적 자질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영문
  •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actional import of pauses before TCU completion (hereafter PBTCs) as an object of analysis that is demonstrably oriented to by the participants in conversation. PBTCs have interactional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CU in which they are found but also for shaping the turn (and discourse) by way of projecting an additional TCU (or sets of TCUs). PBTCs project not only the TCU-final component, which is formulated as a 'mid-point' designed to solicit only a mildly collaborative uptake, but also an additional TCU (or a set of TCUs), which is produced as a more upshot-relevant unit that warrants an upgraded, more fully collaborative (or confrontational) uptake by the recipient. It is proposed that this interactionally motivated structural feature of PBTCs furnishes the speakers with the resource for using them as a place where they can plant an expression with delicate or face-threatening content and present it as something that is designedly to be taken up only briefly in passing by the recipient. It is shown that the discourse-organizational pattern involving PBTCs, with the TCU-final component serving as a mid-point in the turn being unfolded, is also relevant to story-telling contexts where TCUs containing a PBTC are oriented to by the story-recipient as a place furnishing a pre-upshot stage in which such actions as repair or clarification can be relevantly initiated and pursued before the speaker moves on to the main segment of the sto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actional import of pauses before TCU completion (hereafter PBTCs) as an object of analysis that is demonstrably oriented to by the participants in conversation. PBTCs have interactional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CU in which they are found but also for shaping the turn (and discourse) by way of projecting an additional TCU (or sets of TCUs). PBTCs project not only the TCU-final component, which is formulated as a 'mid-point' designed to solicit only a mildly collaborative uptake, but also an additional TCU (or a set of TCUs), which is produced as a more upshot-relevant unit that warrants an upgraded, more fully collaborative (or confrontational) uptake by the recipient. It is proposed that this interactionally motivated structural feature of PBTCs furnishes the speakers with the resource for using them as a place where they can plant an expression with delicate or face-threatening content and present it as something that is designedly to be taken up only briefly in passing by the recipient. It is shown that the discourse-organizational pattern involving PBTCs, with the TCU-final component serving as a mid-point in the turn being unfolded, is also relevant to story-telling contexts where TCUs containing a PBTC are oriented to by the story-recipient as a place furnishing a pre-upshot stage in which such actions as repair or clarification can be relevantly initiated and pursued before the speaker moves on to the main segment of the stor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서 일상 영어대화에서 말차례단위의 완결점을 투사하는 쉼간격이 무질서하게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말차례 단위의 완결점을 넘어서 다음 말차례 단위까지를 예비적으로 투사하는 체계적인 담화적 자질이 있음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음 말차례 단위는 현 담화의 요점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고, 화자뿐만 아니라 청자도 그러한 점에 유의하고 그러한 말차례 구성과정에 정향적으로 반응함을 대화순차의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지 못한 영어원어민의 일상대화의 대화분석 연구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쉼간격의 분석과 연관지어 논의된 영어의 담화표지 등 영어의 담화적 특성에 대한 화용적 분석이 보다 심화적으로 시도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또한 영어의 다단위 말차례 단위로 구성되는 말차례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대해서도 청자의 협조적 반응 및 화자의 반응 유도 등의 측면에서 흥미있는 후속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pauses, turn-constructional unit (TCU), recipient uptak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