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614&local_id=10011430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A00419 |
선정년도 |
2004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6년 05월 24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6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연극의 본고장인 영국에 올려진 최근 공연들 중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왕립셰익스피어극장의 2005년 『십이야』와 글로브 극장의 2005년 공연 3편--『겨울 이야기』, 『태풍』, 『페리클레스』--을 중심으로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이 자주 드러내는 주 ...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연극의 본고장인 영국에 올려진 최근 공연들 중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왕립셰익스피어극장의 2005년 『십이야』와 글로브 극장의 2005년 공연 3편--『겨울 이야기』, 『태풍』, 『페리클레스』--을 중심으로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이 자주 드러내는 주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글로브의 2005년 『겨울이야기』처럼 내용과 형식이 구태의연하여 셰익스피어 작품을 고리타분한 옛 유물로 만드는 것이다. 한편, 동년 RSC의 『십이야』에서처럼 참신한 표현양식을 구사하나 내용면에서 새로운 해석이나 의미 부여가 결여되어 공허한 외화내빈의 문제점도 발견된다. 더 나아가, 동년 글로브에서의 『태풍』 공연의 경우처럼 내용면에서 심층의미를 탐구하고 표현양식에 있어서 독창적 참신성을 보이나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의미전달에 실패하고 관객의 혼란을 야기하는 폐단도 나타난다.
글로브의 2005년 『페리클레스』는 앞에 언급한 공연들이 노출하는 전형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종합적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원작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작품해석의 지평을 넓힐 뿐 아니라 시대배경을 현대화시켜 그 의미의 현대적 관련성과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더 나아가 그 의미를 새로운 형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등장인물 설정, 연기 방식, 시간과 공간 활용 등에서 다양하고 참신한 표현기법을 구사하여 극적효과를 제고시키고 관객과의 혼연일치를 이루어낸다. 이 공연처럼 셰익스피어극에 새로운 피(의미)를 수혈하고, 새로운 옷(현대의상)을 입히며, 새로운 얼굴(표현양식)을 만들어내어 새로운 관객에게 선보이는 것이 셰익스피어 현대공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안이다. 더 나아가 이 공연처럼--『태풍』 공연과 달리--이 세 가지 요건이 유기적 관련을 맺고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작품의 재해석을 통해 부여된 새로운 의미가 시대배경의 현대화를 통해 현대적 관련성과 중요성이 제고되며 적절하고 참신한 표현기법 구사를 통해 흥미, 감동, 극적효과가 높게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페리클레스』 공연에 골고루 배합된 세 가지 요건 중 특히 새로운 의미 부여는 작품성을, 현대화는 대중성을, 새로운 표현양식 개발은 예술성을 각각 제고시킨다. 21세기의 셰익스피어 연극은 이처럼 작품성, 예술성, 대중성을 골고루 겸비한 공연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
영문
-
This paper seeks to find solutions for the various problems involving the modern production of Shakespearean plays, based on the recent Shakespearean productions in England: THE WINTER'S TALE, THE TEMPEST and PERICLES at the Globe Theatre as well as T ...
This paper seeks to find solutions for the various problems involving the modern production of Shakespearean plays, based on the recent Shakespearean productions in England: THE WINTER'S TALE, THE TEMPEST and PERICLES at the Globe Theatre as well as TWELFTH NIGHT at Royal Shakespeare Theatre (RST).
The most serious problem with the modern Shakespearean production is, as in the Globe's WINTER'S TALE, to make the bard's play an old-fashioned 'heritage theater.' Such a production is unnecessarily faithful to the play's historical background in setting and costume; moreover, it seeks to find neither new meanings nor novel devices of theatrical representation. Another problem is exemplified by TWELFTH NIGHT at RST which adds no new meanings to the play, although it modernizes the past as well as invents impressive theatrical devices. Still other problem is revealed by THE TEMPEST at the Globe which demonstrates all the three requirements--exploration of new meanings, modernization of the past, and exhibition of inventive theatrical devices--but confuses the audience by failing to coordinate the three.
PERICLES at the Globe in 2005 gives solutions to all the three problems listed above. It widens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the play by exploring the play's deep meanings, highlights the modern relevance and significance of those meanings to the audience by modernizing the setting, and delivers those meanings impressively by using a variety of effective dramatic devices in characterization, acting, and staging. Through all these means, this production succeeds to serve the needs of the contemporary audience by making them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y and benefitting from it to the highest degre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way of solving problems with the modern Shakespearean produ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005년 영국의 글로브 극장에서 공연된 『겨울 이야기』는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노출함으로써 미래의 셰익스피어 공연이 지향해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반면교사 역할을 한다. 이 공연은 마치 셰익스피어 당시의 공연 ...
2005년 영국의 글로브 극장에서 공연된 『겨울 이야기』는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셰익스피어극 현대공연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노출함으로써 미래의 셰익스피어 공연이 지향해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반면교사 역할을 한다. 이 공연은 마치 셰익스피어 당시의 공연을 재생이라도 한 듯한 구태의연한 모습을 보이며, 현대감각에 맞는 새롭고 다양한 표현양식을 전혀 시도하지 않은 복고풍 공연이다. 또한 텍스트의 피상적 내용에 충실할 뿐 작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거나 현대관객과의 관련성을 부각시키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관객은 이 공연을 통해 새로 얻는 것이 없으며 흥미와 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
피터 브룩은 글로브 극장의 2005년 『겨울 이야기』처럼 진부하고 고착화된 공연을 “죽은 연극”(deadly theatre)이라고 부르며 참신하고 시의적인 “산 연극”(living theatre)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셰익스피어 현대공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 공연의 경우처럼 연출가나 배우가 별 생각 없이 과거의 방식대로 주어진 텍스트를 전달할 뿐인 수동적 매너리즘이다. 셰익스피어 공연은 고정관념에 의한 타성적 관행에서 벗어나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생성 발전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같은 음식 재료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더 나은 조리법이 개발되듯이, 셰익스피어극도 현대관객의 필요와 취향과 감각에 맞게 항상 변화시키고 갱신해나가는 공연방식을 추구해야한다.
본 논문은 글로브의『겨울 이야기』 공연이 드러내는 근본적인 결함을 비롯한 셰익스피어 현대공연의 제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셰익스피어가 활동한 400년 전과 극장구조, 연극양식, 관객성향 등에서 판이하게 다른 21세기에 그의 연극을 공연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여 공연의 질과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타 내용은 '연구요약문'을 참조할 것)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극계의 셰익스피어극 공연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연출자료로 활용됨으로써 공연 시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보다 향상된 공연이 이루어지도록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국내 셰익스피어 학계에서 새로운 연구 ...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극계의 셰익스피어극 공연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연출자료로 활용됨으로써 공연 시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보다 향상된 공연이 이루어지도록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국내 셰익스피어 학계에서 새로운 연구분야로 주목받기 시작하는 공연비평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학계에는 공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극계에는 비평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비평과 공연의 접목이 이루어지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등의 교육현장에서 공연 이론과 실습을 통한 효율적인 셰익스피어(혹은 드라마 과목 전체) 교수법에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셰익스피어 (혹은 모든 드라마) 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에게 공연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이론을 가르치고 실습을 시킴으로써 강의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종합예술로서의 연극 장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셰익스피어 공연, 『십이야』,『겨울 이야기』, 『태풍』, 『페리클레스』, 글로브 극장, RSC, 작품성, 예술성, 대중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