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643&local_id=10012717
관용주제로서 [블리크 하우스]에서의 형평법원과 디킨즈의 독창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관용주제로서 [블리크 하우스]에서의 형평법원과 디킨즈의 독창성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윤혜준(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4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디킨즈의 대표작인 [블리크 하우스]의 독창성을 당대에 널려 퍼져있던 형평법원(Chancery)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팜플렛들과의 직접 문헌 비교를 통해 검토해본 결과, 둘 간의 관계는 흔히 인식하는 것보다 더 밀접하고 유기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고 해서 디킨즈의 독창성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학 및 소설의 고유한 몫이 무엇인지를 당대 시사적 문제와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지 않은 디킨즈 문학을 통해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계제가 되었다. 소설은 팜플렛들을 '자료'로 삼아 터킹혼이라는 구체적인 인물 및 나아가 법원을 중심에 둔 런던 중심지 자체를 하나의 '인물'로 형상하하여 형평법원 비판에 담긴 다양한 입장들을 통합하고 있는 것이다.
  • 영문
  • When read in the company of various anti-Chancery pamphlets [Bleak House] certainly lose its aura of uniqueness, for there are numerous channels through which the novel communicates with them, not only reflecting the ideas contained in those preceding its publication but also triggering later pamphlets using the novel itself as a topos. Such comparative study, while modify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autonomy of a literary work, nonetheless allows us to locat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author's novelistic intervention: the topoi circulating among the pamphlets are brought together in the portrayal of Tulkinghorn and in the city itself which is depicted as a demonic character interacting destructively with various human destin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디킨즈의 대표작인 [블리크 하우스]의 독창성을 당대에 널려 퍼져있던 형평법원(Chancery)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팜플렛들과의 직접 문헌 비교를 통해 검토해본 결과, 둘 간의 관계는 흔히 인식하는 것보다 더 밀접하고 유기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고 해서 디킨즈의 독창성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학 및 소설의 고유한 몫이 무엇인지를 당대 시사적 문제와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지 않은 디킨즈 문학을 통해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계제가 되었다. 소설은 팜플렛들을 '자료'로 삼아 터킹혼이라는 구체적인 인물 및 나아가 법원을 중심에 둔 런던 중심지 자체를 하나의 '인물'로 형상하하여 형평법원 비판에 담긴 다양한 입장들을 통합하고 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단순히 2차 자료의 조합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국내외의 19세기 영국소설 연구자들에게 쓸모 있는 새로운 1차 자료들을 발굴하여 다루고 있기에, 요긴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디킨즈, [블리크 하우스], 형법법원, 독창성, 시사팜플렛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