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682&local_id=10012702
국제환경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제환경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병도(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6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제환경협약은 환경보호와 관련이 있는 국제법적 의무의 근원이다. 이러한 조약은 중앙집권적 입법권한이 없이 만들어진다. 즉 국제입법기능은 분권화되었고 파편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구적, 지역적 및 양자적 차원에서 발전된 국제환경법의 규칙들과 원칙들은 양자간 및 다자간의 법적 관계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국제사회는 국제입법과정의 한계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지역적 및 전지구적 차원에 특별한 기능을 할당하고, 지역적 및 전지구적 국제기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입법과정의 합리화를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고, 법적․제도적 파편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기하는데도 실패하였다.
    1972년 스톡홀름선언 이후 많은 국제환경협약이 체결되었지만 여전히 초국경적 및 생태적 환경파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메카니즘이 결여되어 있다. 현재의 국제환경입법방식은 너무 더디고, 비용이 많이 들고, 통합적이지 못하고, 불확실하다.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적 도전을 성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더 나은 입법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더 좋은 국제환경입법방식에 대하여 고민하지 않는다면 지구환경문제는 미래에도 파편성, 단속성(斷續性), 비체계성, 심지어 무작위성(random)을 면치 못할 것이다. 즉 지금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진정성이 있는 적절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그 노력의 결실로서 입법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국제환경법의 입법과정과 관련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지구환경문제 중 우선적으로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내용을 구체화하는 국제사회의 메카니즘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모든 행위자들(특히 개발도상국)이 국제환경협약의 협상, 이행, 검토 및 집행을 포함하여 입법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제환경협약에 의해 설립된 조직이나 기관을 포함하여 국제기구들간의 임무와 역할을 조정할 수 있는 보편적인을 국제기구를 창설하여 입법과정을 합리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최근에 다자간 국제환경협약들의 협상과 체결에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는 골격조약-의정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이러한 새로운 입법방식이 진정으로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도록 국제적 노력이 요구된다.

    주제어; 국제입법, 골격조약-의정서 방식, 지구공유물, 세대간공평이론 과학적 불확실성, NGO, 당근과 채찍정책
  • 영문
  • The existing methods to make international law for the environment are slow, cumbersome, expensive, uncoordinated and uncertain. Nearly thirty years after the Stockholm Declaration, we still lack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deal effectively with transboundary and biospheric environmental degradation.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does not attempt to resolve all substantive issues in a single set of negotiations. Rather, it segregates the negotiation of separate issues into separate agreements.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involves at least two separate enactments, one "convention" and one or more "protocols." States first adopt a framework convention that calls for cooperation in achieving broadly-stated environmental goals.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then negotiate separate protocols. The convention sets forth vague substantive provisions that serve mainly to acknowledge that the subject of the treaty is a matter worthy of serious further consideration. The convention includes procedural provisions that, in contrast to its substantive terms, are quite specific. The convention contemplates that one or more subsequent protocols will be created and administered largely under the procedures set forth in the convention. The protocols provide the substantive detail of the treaty regime.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to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is used in the mid-1970s and early 1980s, it was used in a series of regional agreements pertaining to pollution of shared water system. Th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i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and it has led to the creation under its procedural provisions of numerous detailed protocols.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as so far led to the creation of only one subsequent text, the Kyoto Protocol.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making proces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have to improve; to improve the mechanisms for identifying legislative priorities; to ensure that all relevant actors participate in the law-making process, including the negotiation, implementation, review and governance of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to rationalize the law-making process by improving co-ordination betwe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Keyword;
    international law-making, framework convention-protocol, global commons, theory of intergenerational equity, scientific uncertainty,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carrots and stic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existing methods to make international law for the environment are slow, cumbersome, expensive, uncoordinated and uncertain. Nearly thirty years after the Stockholm Declaration, we still lack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deal effectively with transboundary and biospheric environmental degradation.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does not attempt to resolve all substantive issues in a single set of negotiations. Rather, it segregates the negotiation of separate issues into separate agreements.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involves at least two separate enactments, one "convention" and one or more "protocols." States first adopt a framework convention that calls for cooperation in achieving broadly-stated environmental goals.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then negotiate separate protocols. The convention sets forth vague substantive provisions that serve mainly to acknowledge that the subject of the treaty is a matter worthy of serious further consideration. The convention includes procedural provisions that, in contrast to its substantive terms, are quite specific. The convention contemplates that one or more subsequent protocols will be created and administered largely under the procedures set forth in the convention. The protocols provide the substantive detail of the treaty regime.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to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is used in the mid-1970s and early 1980s, it was used in a series of regional agreements pertaining to pollution of shared water system. Th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i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protocol approach, and it has led to the creation under its procedural provisions of numerous detailed protocols.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as so far led to the creation of only one subsequent text, the Kyoto Protocol.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making proces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have to improve; to improve the mechanisms for identifying legislative priorities; to ensure that all relevant actors participate in the law-making process, including the negotiation, implementation, review and governance of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to rationalize the law-making process by improving co-ordination betwe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학문적 기대효과 - 국제환경협약의 실효적 이행확보를 위한 국제환경입법의 모델구축
    다양한 국제환경협약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국제입법제도를 모색함으로서 국제법의 법규범성 제고를 위한 이론적 체계를 정립할 수 있는 하나의 시도이고, 이 분야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사회적 기여도
    가. 국제환경법 분야 법률가들에게 조약협상의 수월성 제공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국제법률가들에게 국제환경협약의 체결과정에서 합의 도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협상기술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또한 국제법률가들에게 기존의 국제환경협약의 약점에 대응하여 바람직한 국제환경입법의 모델을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본다.

    나. 국내실무가에게 국제환경협약의 체결과정에서 협상을 주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 제공
    최근에 우리나라도 국제환경협약의 체결에 적극 참여 하고 있으나 대부분 소극적인 참여태도를 보였으나,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국제환경분야의 조약체결에 임하는 정부관계자들이 주도적으로 조약협상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국제입법, 골격조약-의정서 방식, 지구공유물, 세대간공평이론 과학적 불확실성, NGO, 당근과 채찍정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