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786&local_id=10011873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 결정요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 결정요인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웅섭(가톨릭관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2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진료비 청구실적이 있는 우리나라 의원 전수를 대상으로 빈도수 1% 미만의 전문과목은 제외하고 건강보험진료비, 환자수 등 개인의원의 특성을 수집하였고, 사회경제적 자료는 통계청과 지방단체 연보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진료비와 진료환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등 각 의료보조인력 수가 독립변수이며 혼란변수는 수요와 공급측면으로 나누어 개원지역, 인구수, 병상수, 지역의원수, 노인인구분율을 수요관련 혼란변수로, 대표 의사의 성 및 연령, 운영병상수 그리고 진료과목을 공급관련 혼란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변량 분석, 상관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탄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원의 의료보조인력은 건강보험진료비와 진료환자수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가 이에 해당한다. 방사선사는 진료환자수에서만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의사수, 지역노인인구분율과 또한 건강보험진료비와 환자수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대표자의 연령, 지역의 의원수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표자 성별이 여성인 경우와 개원지역이 대도시인 경우가 남성이 대표자인 경우와 중소도시 또는 군지역인 경우보다 진료비와 환자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수들과 의원의 일반적 특성을 회귀모형으로 통제한 결과, 간호사수, 간호조무사수, 임상병리사는 진료비 및 진료환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각각의 진료비와 환자수에 대한 탄력도를 산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정책 수립 시에 의료보조인력 생산성에 관한 기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hysician's assistants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enue and number of patients in clinic.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1999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That was complete enumeration. Productivity was measu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enue and number of patients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ported physician's assistants that the number of nurse, nurse-aid, technologist of clinical laboratory, physical therapist and radiologist in clinic. Confounding variables were classified by demand (region, number of inhabitants, number of clinics, number of bed per a hundred thousand persons) and supply (sex and age of representative, number of bed, subjective of medical treatment). Bivariate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revenue and number of patients in 17,743 clinics had application to this study.
    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physician's assistants that nurse, nurse-aid, technologist of clinical laboratory and physical therapi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roductivity. But radiologi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revenue. Male representative and metropolitan are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roductivity.
    This study could be used to basic material about productivity of physician's assistants and contributed to making a medical poli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진료비 청구실적이 있는 우리나라 의원 전수를 대상으로 빈도수 1% 미만의 전문과목은 제외하고 건강보험진료비, 환자수 등 개인의원의 특성을 수집하였고, 사회경제적 자료는 통계청과 지방단체 연보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진료비와 진료환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등 각 의료보조인력 수가 독립변수이며 혼란변수는 수요와 공급측면으로 나누어 개원지역, 인구수, 병상수, 지역의원수, 노인인구분율을 수요관련 혼란변수로, 대표 의사의 성 및 연령, 운영병상수 그리고 진료과목을 공급관련 혼란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변량 분석, 상관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탄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원의 의료보조인력은 건강보험진료비와 진료환자수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가 이에 해당한다. 방사선사는 진료환자수에서만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의사수, 지역노인인구분율과 또한 건강보험진료비와 환자수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대표자의 연령, 지역의 의원수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표자 성별이 여성인 경우와 개원지역이 대도시인 경우가 남성이 대표자인 경우와 중소도시 또는 군지역인 경우보다 진료비와 환자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O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수들과 의원의 일반적 특성을 회귀모형으로 통제한 결과, 간호사수, 간호조무사수, 임상병리사는 진료비 및 진료환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각각의 진료비와 환자수에 대한 탄력도를 산출할 수 있었음
    O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 고급진료의 선호현상과 같은 비정책적 요인과 수가인상, 의약분업과 같은 정책요인들로 인하여 국민의료비와 건강보험의 재정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의 정책들은 근원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현재 가시화된 문제점을 한시적으로만 보완해 왔음. 그러나 건강보험 재정위기를 겪은 후 학계와 정부당국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고자 하고 있으나 정책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전수조사와 같이 대표성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 연구에서 전수를 이용한 보조인력의 생산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임
    O 특히 보건의료서비스는 인력, 실물자본, 중간재의 3대 생산요소 가운데 병원비용의 40~60% 정도가 인건비로 지출되고 있어 보건의료 인력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보건의료사업의 성패가 좌우되고 있음.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의사들의 생산성에 대한 분석만 이루어져 있으며, 임상병리사, 방사선기사, 재활치료사 등과 같은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에 대한 통합적 연구는 아직 보고된바 없음, 따라서 이들 의료보조인력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보완과 보건정책 수립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O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의료시장에서 의료기관들은 합리적인 의료보조인력의 배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의료보조인력들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었음.
    - 따라서 우리나라 의료기관 전수를 조사된 이 연구결과물은 의료보조인력의 합리적 배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색인어
  • 의료보조인력, 생산성, 의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