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790&local_id=10012355
거세하는 어머니와 아버지 환상 - 루이-르네 데 포레의 "말꾼Le Bavard"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거세하는 어머니와 아버지 환상 - 루이-르네 데 포레의 "말꾼Le Bavard"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호식(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2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말꾼"에 등장하는 세 명의 인물-화자, 스페인 여자, 붉은 머리 사내-은 제각기 아들, 어머니, 아버지를 상징한다. 화자는 스페인 여자에게 즉각적인 사랑을 느낀다. 이 사실은 그의 원초적인 상태가 자기애적인 상태로서 스페인 여자와 화자의 관계는 즉각적 동일시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이는 스페인 여자가 웃음을 터뜨리자 이러한 자기애적 관계가 실패로 끝났음을 알게 된다. 아이가 처음으로 자의식을 획득하게 되는 계기가 되는 사건은 이처럼 자기애적 관계의 실패, 즉 환상에 뒤이어 환멸이 시작될 때이다. 자기애적 관계가 깨진 이후, 실패한 관계가 불러일으키는 죄의식은 특이하게 ‘거세 욕망’을 불러일으키며, 거세의 실패는 아버지 환상의 실패로 귀결된다. 실패의 경험은 영웅 드라마의 실패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실패한 성장의 원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으로 우리는 그가 자신의 모습을 타인의 시선을 통해, 타인의 반응을 통해 만들어가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특히 화자에게 제시되는 최초의 동일시의 대상이자 타인이 어머니라는 점에서 어머니에 의한 거세는 화자가 실패한 성장을 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으로 보인다. 어머니에 의한 자기 존재의 부정은 화자에게 수치심을 불러일으키고, 이에 따른 실망과 자기 징벌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우리는 화자가 맺고 있는 관계가 타인과의 동일성의 관계가 아니라 분화관계임을 지적할 수 있다. 자신의 이미지를 자신이 원하는 것과 일치시키지 않고 낯설게 함으로써, 자기 상실의 체험을 제시하는 것이 데 포레의 특징인 것이다. 그러한 관계가 바로 부재의 관계를 통해 제시되며, 그 부재는 반복적인 상황 속에서 감춰진 채 드러나고 있다.
  • 영문
  • LES TROIS PERSONNAGES PRESENTS DANS "LE BAVARD", C'EST-A-DIRE LE NARRATEUR, L'ESPAGNOLE ET LE ROUX REPRESENTENT RESPECTIVEMENT LE FILS, LA MERE ET LE PERE. LE NARRATEUR-ENFANT EPROUVE IMMEDIATEMENT DE L'AMOUR AUPRES DE LA MERE, CE QUI SIGNIFIE QU'IL EST EN PHASE DE L'AMOUR PROPRE. L'ENFANT PREND CONSCIENCE DE LUI-MEME LORSQUE LA MERE ECLATE LE RIRE. CE RIRE ENTAME LA FIN DE L'AMOUR PROPRE ET DECLENCHE LA DESILLUSION APRES L'ILLUSION EXQUISE. LA CULPABILITE PROVOQUE PAR CETTE DESILLUSION SE TRADUIT PAR LE DESIR DE CASTRATION. L'ENFANT VEUT QUE LE PERE LE FRAPPE (UNE SORTE DE CASTRATION). S'IL REUSSISSAIT DE MANIFESTER SON HEROISME, IL POURRAIT REPRENDRE SON ESTIME DE SOI. MAIS LE PERE S'ENFUIT AVANT QU'IL SOIT SUFFISAMMENT PUNI. DONC L'ECHEC DE LA CASTRATION ET L'ECHEC DE L'ILLUSION DU PERE. ALORS QUELLE EST LA RAISON DE CET ECHEC A NOTRE POINT DE VUE, C'EST QU'IL EST EN ETAT DE LA DEPENDANCE A L'AUTRUI : IL VEUT SE MODULER SELON LES REGARDS OU DES REACTIONS DES AUTRES. IL VEUT SE RECONNAITRE AVEC LA'APPROBATION DES AUTRES. MAIS PUISQUE SA MERE ETAIT SON PREMIER OBJET DE L'IDENTIFICATION, LA CASTRATION EFFECTUEE PAR ELLE N'A POUR EFFET QUE L'ECHEC. D'OU NOUS POURRONS PRECISER QUE LES RAPPORTS NOUES AVEC LUI-MEME NE SONT PLUS CEUX DE L'IDENTIFICATION AVEC AUTRUI, MAIS CEUX DE LA DIVISION. RENDRE ETRANGE SA PROPRE IMAGE DE SOI AU LIEU DE LA CORRESPONDRE A SON SOUHAIT ET PAR CONSEQUENT, PRESENTER L'EXPERIENCE DE LA PERTE DE SOI, C'EST UNE CARACTERISTIQUE DE DES FORETS. CE RAPPORT SE REVELE A TRAVERS SON HANTISE DE L'ABSENCE ; CETTE ABSENCE SE REVELE CACHEE DANS LES SITUATIONS REPETITIV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루이-르네 데 포레의 "말꾼"은 흔히 말과 침묵의 관계, 문학과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문학의 정수를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드라마는 화자-스페인여자-붉은머리의 삼각 구도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이 관계를 아들-어머니-아버지라는 가족 관계의 변형으로 상정하고,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거세 콤플렉스와 아버지 환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화자의 자기애(amour propre)와 어머니에 대한 욕망이 일차적으로 부각된다. 그러나 거세가 아버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반해 이 작품에서는 어머니에 의해 이루어지는 점이 독특하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욕망이 거절된 데에 대해 화자가 수치심을 느끼고 수치심에서 벗어나기 위해 거세(당하고자 하는) 욕망을 추구한다는 점도 다른 작품과 차이가 있다. 거세자로서 아버지를 선택하고 자의로 폭행당하기를 원하지만 아버지에 의한 거세 실패는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있던 화자로서는 치유의 실패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폭력을 참아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영웅의 모습을 획득하리라 기대했던 영웅의 드라마의 실패로 드러난다. 이러한 해석은 비록 전형적인 정신분석과는 다르지만 정신분석학의 방법론 틀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이 작품이 정신분석의 틀을 생산적으로 넘어서는 부분은 이러한 가족 드라마를 '수다'라고 하는 말의 드라마가 둘러싸고 있다는 사실이다. 말이 아버지의 권위를 상징한다고 하면 수다는 적극적으로 말-언표의 능력을 화자가 소유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화자는 육체적으로 실패한 자기 구원의 행위를 말-글쓰기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의 행위도 말이 대화자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그 구원은 타인이 자신의 말을 들을 때에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속적 구원인 셈이다. 데포레는 글쓰기가 구원의 행위일 수 있지만 그것은 절대적인 구원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며, 바로 그러한 점에서 말하기-글쓰기는 실패의 체험이고 무한히 반복될 수 밖에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우리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데 포레의 "말꾼"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프랑스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도 대부분 언어와 문학에 대한 비판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거세하는 어머니와 아버지 환상’이라는 주제는 작가의 원초적인 체험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전개도리 데 포레에 관한 연구에 의미있는 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국내 프랑스 문학 연구에서 아직 많은 관심을 끌고 있지 못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조금이나마 관심의 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현대 프랑스 문학의 경우, 최근 다양한 방법론이 도입되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데 포레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문학사적으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작가들이 상당수가 있다. 사실 데 포레의 "말꾼"처럼, 화자가 전면에 등장하여 말하기를 통해 한 인물의 삶을 구체화시키는 작품은 유르스나르의 "알렉시", 카뮈의 "전락", 레리스의 "A cor et à cri" 등이 대표적인데, 카뮈를 제외하면 이 경향의 작품에 대한 연구 성과는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프랑스 현대 문학 연구를 좀더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신분석학이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는데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쳐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론만으로 연구되거나 아니면 암시적으로만 분석의 도구로 이용되어 온 경향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신분석에서 얻은 성과물을 문학텍스트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좋은 예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어머니에 의한 거세와 거세 욕망이라는 차원을 부각시켜 실패한 성장의 원초적 이유를 밝힘으로써 앞으로 데 포레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위해서는 정신분석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 준비 작업만으로도 교양 강의와 전공 강의를 위한 기본적인 토대는 충분히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구체적인 예들을 더 수집함으로써 정신분석에 근거한 강의 개발에도 원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루이-르네 데포레, 거세, 아버지 환상, 정신분석학, 말하기, 글쓰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