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24&local_id=10011515
정보관리 및 서비스분야 직업간 직무 관련도 및 직업변화 동향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보관리 및 서비스분야 직업간 직무 관련도 및 직업변화 동향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안인자(동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0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직업 및 직무변화를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는 분야가 정보관리 및 서비스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관리 및 정보서비스분야 직업 8종의 직무분석을 기초로 하여, 직무간의 관련도를 밝히고, 직무중복도를 밝혔다. 이로서 직업 간의 직업이동 가능성을제시하고, 직업분류를 통하여 직업변화 동향을 밝혔다. KJ기법에 의한 분석결과 5개의 대분류항목이 제시되었고, 항목간의 관련업무를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field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service suffered seriously change of it's job and duties. In this study, inter-occupational relationship in job analysis is examined with 8 kinds of job analyses and verified the intimateness. As a consequence the capability of inter-occupational changing is suggested and trend of vocational change is studied through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re is five parts tasks within eight jobs with KJ techniques and affinity diagram within jobs are figured ou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직업 및 직무변화를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는 분야가 정보관리 및 서비스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관리 및 정보서비스분야 직업 8종의 직무분석을 기초로 하여, 직무간의 관련도를 밝히고, 직무중복도를 밝혔다. 이로서 직업 간의 직업이동 가능성을제시하고, 직업분류를 통하여 직업변화 동향을 밝혔다. KJ기법에 의한 분석결과 5개의 대분류항목이 제시되었고, 항목간의 관련업무를 제시하였다.
    결과 5개 류항목별 직업간 우선순위를 통하여 다음의 사항을 결론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1. 5개 책무간의 직업 간 우선관계, 근접관계에 따라 업무이동 및 업무팀 구성이 가능하다.
    2. 5개 책무간의 직업 간 우선관계, 근접관계에 따라 직업 간의 이동가능성이 추론된다.
    3. 5개 책무간의 직업 간 우선관계, 근접관계에 따라 복수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훈련,
    직업지도 연구, 교육매체개발에 협동화 및 분업화가 가능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8개 직종간의 직무분석과 20년 동안의 사서직무의 변천, 직업분류의 변천을 통하여 다음의 효과를 기대한다.
    1. 분석정보는 국가에서 수립하는 노동정책 기본정보로서 과학적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며, 노동시장에 경제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2. 직업연구가들은 미래의 직업시장의 변화를 알아서 예측하고, 직업안정서비스를 제안하는 기본자료가 된다.
    3. 직업간의 상관도를 추출함으로써 타 직업군의 관계성 연구에 이론적, 방법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을 타 직업군에 확대하여 적용하고 프로그램을 통하여 온라인화 할 경우 직업안내 및 교육과정 안내를 위한 좋은 정보가 될 것이다
    4. 상관도가 추출되면 교육과정, 교육매체개발에 협동화 및 분업화가 가능하여 학제적 연구의 기초가 될 것이다.
    5. 현재 기능수준을 기준하여 생산되어진 통계청의 「직업분류」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즉 통계청의 직업분류는 통계조사를 위한 국제기준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서 노동시장을 반영한 직업분석에 활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직업분류체계를 극복하고 보완하는 분석자료가 될 것이다.
    6. 노동부 중앙고용정보원의 「직업사전」, 또한 각각 개별직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자료가 수량화되어 있지 않아서 직업간 상호비교와 직업간의 이동가능성을 파악하기가 곤란하며 결과적으로 분석자료로 활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직업사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는 분석자료가 될 것이다.
    7. 문헌정보학 분야 전공자에게 관련 분야의 직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직무 담당, 직업간의 이동을 위한 교육 및 훈련정보제공, 전공분야의 정체성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정보서비스, 직무분석, 직업분류, 한국표준직업분류, KJ기법, 직업이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