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39&local_id=10012773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의 전망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의 전망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혜숙(경상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3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더불어 지역여성정책도 변화하고 있으며 현 참여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설정하는 등 지방분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방분권이라는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지역여성들의 가능성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가 지방정부들은 양성평등과 성주류화를 실현할 수 있는 실천성을 가지고 있는가 지방분권화가 지역여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분권화의 구도하에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 글은 지방분권시대를 맞이하여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정책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지역여성의 자치역량과 참여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남지역 여성정책의 변화과정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의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여성의 성평등 의식 및 여성정책 욕구, 경남여성정책에 대한 지역여성들의 인지도 및 평가, 지방분권시대 지역여성정책의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지방분권화가 진행되면 여성정책의 자율성이 커지고 지역여성의 참여 부분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조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방분권과 지역여성과의 관계는 간단하지 않다. 지방분권화의 기본 구도 안에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틀을 짜야 하는데 이는 지역의 성의 정치의 역학관계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여성정책은 무엇보다 지역여성의 욕구를 반영해야 하고 지역여성의 참여가 있어야 한다.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의 전망은 이러한 지역여성정책을 둘러싼 지방정부와 지역여성의 역량에 달려있을 것이며 지역여성의 의식과 욕구, 지역여성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평가에 대한 검토는 이러한 작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Korean local governments started to adopt the gender-sensitive approaches in their women's policies, largely motiv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gender equality agenda and local decentralization.
    With the local autonomous system, local government was empower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promote and establish policies, going beyond its original role as administrative bodies that simply executed them. Some of the local leaders, directly elected in 1995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initiated the new women's policy approach. However, it is hard to firmly identify a certain positive relation between local decentralization and the extension of women's empowerment.
    With the case of Gyeongnam province,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polic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and to investigate the prospect of local women in relation to local decentralization
    Questions are follows. What are present conditions of women in Gyeongnam province Who were the main actors that initiated and intervened in the local community in relation to women's issues How did the transformation process take place What prospect could be taken for local women in these days of local decentralization
    Using survey,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the degree of gender-sensitive perspective in local women in Gyeongnam province and to explore their ideas of women's social status and gender role. As for the differences among women, most female officials and women who take part in the women's movement se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gender mainstream policies. However, in case of ordinary women, their knowledge of those terms turned out to be very low.
    In conclusion, the women's policies in Gyeongnam province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s among women. The empowerment of women depends on the progressive style of local government and the capabilities of local women such as women's network and the power of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더불어 지역여성정책도 변화하고 있으며 현 참여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설정하는 등 지방분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방분권이라는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지역여성들의 가능성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가 지방정부들은 양성평등과 성주류화를 실현할 수 있는 실천성을 가지고 있는가 지방분권화가 지역여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분권화의 구도하에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 글은 지방분권시대를 맞이하여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정책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지역여성의 자치역량과 참여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에 대한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남지역 여성정책의 변화과정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지방분권과 지역여성의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여성의 성평등 의식 및 여성정책 욕구, 경남여성정책에 대한 지역여성들의 인지도 및 평가, 지방분권시대 지역여성정책의 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는 지역여성연구의 활성화, 지역여성운동의 방향설정, 지역여성의 욕구파악으로 지역여성정책의 수립, 지역여성정책의 변화과정에 대한 역동적 이해와 다학문적 연구축적에 기여한다는 측면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여성 전반에 대한 조사연구로 기존의 중앙중심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다수의 학부생들을 연구보조원과 조사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지역여성, 지역여성정책, 여성정책, 지역여성운동, 지방분권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