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43&local_id=10010778
'동양의 미'인식을 위한 미술 교육 방법론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39;동양의 미& #39;인식을 위한 미술 교육 방법론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지순임(상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동양의 미 인식을 위한 미술교육방법론 연구론 상명대학교 교수

    본 연구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느라 마음의 여유가 적어진 청소년들에게 동양의 미 인식을 올바르게 하여 바람직한 정서를 갖게 하기위한 미술교과 교육 방법론을 제시한 내용이다.

    동양에 있어서 미란 외관의 감각적 현상의 미뿐만 아니라 인격적 정신이 내면현상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마음까지를 포함하는 미를 말하기 때문에, 동양의 미는 인격도야를 통하여 체득함을 강조한다. 이 아름다움은 中和, 中道, 相生과 같은 실천적 원리를 통해 이룰 수 있는데, 이 실천방안으로 미술교과수업을 통해 청소년들이 교육적인 미적체험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한 내용이다. 그리하여 인격을 중요시하는 교육내용의 하나로 동양회화와 결부된 학습을 통해 미적 체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동양회화에서 미적 판단은 기운생동으로 그 가치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기운생동은 화면상에서 그려진 부분 이외에 그려지지 않은 여백의 부분에서도 느껴질 수 있는 것이 동양회화의 특성이다. 이 화면상의 여백은 작가의 사유공간인 동시에 감상자들의 사유공간이기도 하며 또한 사물의 실공간인 유(有)를 포함한 총체로서 존재와 비존재의 통합이고, 미의 실천이념인 중화와 상생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동양의 미 인식을 도모하는데 실천이념을 함축하고 있는 여백은 동양회화에 있어서 표현형식상의 요체이기도하다.

    회화에서의 여백은 작가나 감상자 모두에게 창의적 사유공간이며 열린 개념이라는 점과 여백은 허 공간과 실 공간 모두를 포함한다는 점, 그리고 허공간과 실공간은 서로 상생관계라는 점을 동양적 미로 인식시키는 방안이다.
    제1 교육 방안에서는 회화의 화면이 변각 구도로 그려져 화면의 반 이상이 그려지지 않은 부분의 여백인데 이 여백은 사유의 공간이며 열린 개념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감상학습을 통해 미적 안목과 미적표현능력 및 문장력 사고력 협동심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으며 제2교육 방안은 실제는 水의 부분이지만 그리지 않고 여백으로 남겨 두어도 水로 느껴져 실제로는 허와 실의 공간이 하나로 통한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화감상학습인데, 예를 들면 시와 회화를 감상하며 동양적 인생의 멋에 관해 논의하여 음악, 자연, 그리고 국어교과등과 함께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제3 교육 방안은 그려진 실재의 부분과 그려지지 않은 여백부분이 서로 상반되는 성격으로 보여 지지만 서로 相生관계임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역시 감상활동에서 시작하여 황희 정승의 양시론에 대해 토론하게 하면서 스스로 사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미술교육방안들은 동양의 미 인식을 위한 연구로 기존에 행해지지 않았던 동양적 교육방법론의 시도라는데 의미를 두는 연구이다.
  • 영문
  • < Abstract>
    Art Methodology Research for Understanding Eastern Aesthetics
    Chee,, Soon-im
    Sangmyung University Professor

    This research offers art education methodologies for teaching young adults in a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y lack a peace of mind, trying to keep up with the ever-changing times.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Eastern aesthetics will encourage a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in them.

    Emphasize that beauty in Eastern aesthetics is acquired through the maturation of personality, because beauty is not just a visual and sensual phenomenon, but also incorporates the human mind that reflects the mental state. The research focuses on providing young adults with an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art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actual practice for achieving true beauty-neutralization (中和), moderation (中道), and inter-promotion (相生). Thu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offer a methodology of aesthetic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studying Eastern painting as part of an educational method emphasizing on individuality.

    The value of a Eastern painting is often determined by 'graceful liveliness,' and the works are unique for expressing 'graceful liveliness' even in empty spaces. The spacial emptiness is a space of thought for the artist and the viewer, a combination of existence and nothing for it is an embodiment of existence as an actual space for the object, incorporating the practical ideology for acquiring beauty: neutralization (中和) and inter-promotion (相生). Therefore, empty space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 style of Eastern painting, for it includes the practical ideology for promoting Eastern aesthetics.

    The plan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Eastern aesthetics through the concept of empty space in painting as a creative field for both the artist and the viewer, and an open concept including both the non-existing and existing space, and that both spaces are in an inter-promotional relationship.
    The 1st education plan concerns the empty space of a painting which nothing painted on the entire half portion of the surface, and is intended to promote aesthetic vision, artistic expression, aesthetic writing skills, contemplative ability, and team work through appreciating art and understanding that the empty space is a space for thought and an open concept. The 2nd education plan is an art appreciation study to understand that the spaces of nonexistence and existence are one through the example of the depiction of water in painting by painting nothing on where the water should be, yet still expresses water. The students will discuss the idea of stylishness in Eastern life and combine it with music, n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The 3rd education plan allows the students to think for themselves while discussing the ‘all is right’ idea of Minister Hwang Hui, and understand that the painted and un-painted sections of a painting appear to contradict each other, but actually are in an inter-promotional relationship.
    The above-mentioned art education plans are significant as a first-time attempt on its field based on Eastern education methodolog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느라 마음의 여유가 적어진 청소년들에게 동양의 미 인식을 올바르게 하여 바람직한 정서를 갖게 하기위한 미술교과 교육 방법론을 제시한 내용이다.

    동양에 있어서 미란 외관의 감각적 현상의 미뿐만 아니라 인격적 정신이 내면현상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마음까지를 포함하는 미를 말하기 때문에, 동양의 미는 인격도야를 통하여 체득함을 강조한다. 이 아름다움은 中和, 中道, 相生과 같은 실천적 원리를 통해 이룰 수 있는데, 이 실천방안으로 미술교과수업을 통해 청소년들이 교육적인 미적체험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한 내용이다. 그리하여 인격을 중요시하는 교육내용의 하나로 동양회화와 결부된 학습을 통해 미적 체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동양회화에서 미적 판단은 기운생동으로 그 가치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기운생동은 화면상에서 그려진 부분 이외에 그려지지 않은 여백의 부분에서도 느껴질 수 있는 것이 동양회화의 특성이다. 이 화면상의 여백은 작가의 사유공간인 동시에 감상자들의 사유공간이기도 하며 또한 사물의 실공간인 유(有)를 포함한 총체로서 존재와 비존재의 통합이고, 미의 실천이념인 중화와 상생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동양의 미 인식을 도모하는데 실천이념을 함축하고 있는 여백은 동양회화에 있어서 표현형식상의 요체이기도하다.

    회화에서의 여백은 작가나 감상자 모두에게 창의적 사유공간이며 열린 개념이라는 점과 여백은 허 공간과 실 공간 모두를 포함한다는 점, 그리고 허공간과 실공간은 서로 상생관계라는 점을 동양적 미로 인식시키는 방안이다.
    제1 교육 방안에서는 회화의 화면이 변각 구도로 그려져 화면의 반 이상이 그려지지 않은 부분의 여백인데 이 여백은 사유의 공간이며 열린 개념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감상학습을 통해 미적 안목과 미적표현능력 및 문장력 사고력 협동심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으며 제2교육 방안은 실제는 水의 부분이지만 그리지 않고 여백으로 남겨 두어도 水로 느껴져 실제로는 허와 실의 공간이 하나로 통한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화감상학습인데, 예를 들면 시와 회화를 감상하며 동양적 인생의 멋에 관해 논의하여 음악, 자연, 그리고 국어교과등과 함께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제3 교육 방안은 그려진 실재의 부분과 그려지지 않은 여백부분이 서로 상반되는 성격으로 보여 지지만 서로 相生관계임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역시 감상활동에서 시작하여 황희 정승의 양시론에 대해 토론하게 하면서 스스로 사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미술교육방안들은 동양의 미 인식을 위한 연구로 기존에 행해지지 않았던 동양적 교육방법론의 시도라는데 의미를 두는 연구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느라 마음의 여유가 적어진 청소년들에게 동양의 미 인식을 올바르게 하여 바람직한 정서를 갖게 하기위한 미술교과 교육 방법론을 제시한 내용이다. 동양에 있어서 미란 외관의 감각적 현상의 미뿐만 아니라 인격적 정신이 내면현상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마음까지를 포함하는 미를 말하기 때문에, 동양의 미는 인격도야를 통하여 체득함을 강조한다. 이 아름다움은 儒家의 中和, 佛家의 中道, 道家의 虛實相生과 같은 실천적 원리를 통해 이룰 수 있는데, 이 실천방안으로 동양회화의 여백을 통해 동양의 미를 바르게 이해시키는 미술교과수업을 통해 청소년들이 교육적인 체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제시하는 연구내용이다. 그리하여 좋은 인성을 함양하여 생활 속에서 여유를 발견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초점을 맞춘 세유형의 여백인식 학습을 통해 미적 체험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실제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수준에 맞추어 활용하기가 용이한 방법론이다.
  • 색인어
  • 중화 중도 허실상생 미상 신우 물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