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48&local_id=10012624
대한제국 시절 군악대의 공연양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한제국 시절 군악대의 공연양상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송방송(한국예술종합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증보문헌비고의 악고에 전하는 양악대 연주의 무도곡은 프란츠 에케르트가 당시 서양에서 연주되는 춤의 반주곡이었음은 분명하지만, 그 반주곡이 어떤 춤의 반주곡인지에 대한 고찰이 본고의 연구목적이었음. 우리나라 최초의 양악대가 어떻게 창설되었고, 초기 악기편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하여 첫째 소항목에서 거론하였고, 둘째 소항목에서는 양악대의 공연종목을 점검함. 양악대의 공연종목을 각국의 애국가와 국만가 및 각국의 행진곡, 그리고 각국의 무도곡 및 기타로 나누어 고찰함.
    양악대가 연주한 외국의 국가는 그 당시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던 일본, 영국, 미국, 불란서, 독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벨지움, 이태리의 국가였으며, 서양의 가곡과 성가 및 ;결혼 관련의 노래들도 연주되었다.
    양악대가 연주한 여러 무도곡 중에서 회전무곡은 왈츠(waltz)의 반주곡으로, 반전무곡은 폴카(polka)의 반주곡으로, 소여전약무곡은 살타렐로(saltarello)의 반주곡으로, 완무곡은 사라반드(sarabande)의 반주곡으로, 그리고 도무곡은 에버트리 스??(ever three stpe)이나 미뉴에트(menuett)의 반주곡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창흥무곡이나 여흥무곡과 같은 곡목은 서양의 어떤 춤의 반주곡이었을지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음.
    결론에서 양악대의 음악사적 의의는 초기 양악의 기악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사실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강조함.
  • 영문
  • With the advant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Choson Dynasty became exposed to waves of rapic change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t was during the period of Imperial Korea(1897-1910) that Western military band was established in 1901 by a foreign musician, Franz Eckert (1852-1916), as the band instructor.
    According to the literary source, Chungbo munhon pigo 증보문헌비고 (Expanded Edition of the Korean Encyclopedia of Documents and Institutions), the Western military band performed four kinds of music.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four kinds of music performed by the Western military band. This study contains the following sections: 1. Introduction, 2. Establish-ment and Instrumentation of Western Military Band, 3.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Repertories by the Western Military Band, 4.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author gives the following statement. Among the four kinds of music performed by the Western military band, the first was national anthems of allied countries including Japan, England, America, France, Russia, Belgium, and Italy. Secondly, the Western military band played popular songs, hymns, gospel music, wedding songs, and some opera buffa. Thirdly, they performed music for dancing, such as waltz, polka, bouree, saltarello, galliard, menuett, sarabande, and courante. Lastly, there was some ceremonial music of unknkown character.
    The activities of the Western military band in Korea are historically significant for two important reasons. First, the Western military band contributged to the development of Western instrumental music in Korea through its brass band. Second, the band instructor trained military musicians who in tur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nd distributing the new music. In short, the first Western military band in Korea paved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ic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한제국 시절의 1900년(광무 4) 고종황제의 칙령 제59호(군악대설치령)에 의하여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dert 1852-1916)가 초빙되었고, 1901년에 창설된 서양식 군악대 곧 양악대는 한국근대음악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양악대의 창설배경, 예산, 복장제도, 악기편성, 연주곡목, 처우 등에 대한 개괄적 검토는 이미 1950년대 발표됐지만, 그 당시 외교관계를 맺었던 국가와 행진곡을 비롯하여 각국의 가곡과 무도곡 같은 연주곡목에 대한 해석은 음악학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의 하나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성과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초기 한국양악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보고자 함에 있다.
    양악대가 연주한 무도곡의 한문명은 하나도 중국문헌이나 일본문헌에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춤곡인지에 대한 해석이 어려웠다. 그러나 춤동작을 묘사한 것으로 보이는 도무곡, 회전무곡, 전약무곡, 소여전약무곡, 반전무곡, 완무곡, 대무곡 등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회전무곡은 독일의 대표적인 왈츠(waltz)의 반주곡일 것으로 보았고, 반만 회전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반전무곡은 폴란드나 체코에서 많이 추는 폴카(polka)에 해당하는 춤의 반주곡으로 추정하였다. 빙글빙글 돌면서 도약하는 춤사위를 묘사한 전약무곡과 소여전약무곡은 동일 계통의 춤곡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도약의 춤사위를 묘사한 소여전약무곡은 이태리의 살타렐로(saltarello)라는 춤의 반주곡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살타렐로라는 말이 작은 도약을 뜻하기 때문이다.
    느린 춤이라는 뜻의 완무곡은 스페인에서 유래한 느린 풍의 사라반드(sarabande)를 반주하는 곡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어로 스??(step)을 뜻하는 도무곡은 에버 트리 스??(ever three step)나 미뉴에트 (minuett)의 반주곡일지 모른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춤곡 이외 흥겨운 분위기의 무곡으로 보이는 창흥무곡이나 즐겁게 논다는 의미를 지닌 여흥무곡과 같은 춤의 반주곡이 어떠한 것인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겨두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한국양악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하나의 디딤돌을 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대한제국, 군악대, 양악대, 무도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