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50&local_id=10013863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성 검사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성 검사 개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현경실(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성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9살 이전의 유동적 음악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적성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개발된 검사는 MMAT로 명명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기에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검사 형태 자체를 바꾸어 개정판을 개발하였다.
    새로 만들어진 검사는 가락과 리듬 검사로 총 40문항의 듣기 검사가 만들어졌다.새로 만들어진 검사는 어린이 음악성검사( kids' Music Aptitude Test, Kids'MAT)이라 명명되었다. 새로 만들어진 검사를 만 5-7세까지의 어린이 101명에게 두번에 걸쳐 실시해 본 결과 검사의 신뢰도는 가락이 .85, 리듬이 .83이었고,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를 근거로 총 7문항이 수정되었다. 나이별 검사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제일 나이가 어린 만 5세 어린이가 제일 높았는데 그 이유가 소그룹 실시의 결과라고 해석되어 앞으로 이 검사는 소그룹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 뒤 3차에 걸쳐 150여명에게 실험실시가 되었고 그 결과는 분석중이다.
    이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다. 더욱 측정이 어려운 어린 학생들의 음악성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되고 있는 음악성 검사는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은 검사이다. 좀 더 많은 실험실시의 의한 좋은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후에도 공인 타당도, 예언 타당도 등 많은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영문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 music aptitude test for children and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measures the not yet fixed music aptitude before the age of 9; This music aptitude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music aptitude. The first version of the test was named Movement Music Aptitude test(MMAT), but several problems were found, so the new version was developed which changed the form of testing.
    A listening test of 40 items, which measure melody and rhythm abilities. The test was named Kids'MAT (Kids' Music Aptitude Test). The new test was twice administered to 101 children 5-7 years old. The reliability of the melody test was .85, and that of the rhythm test was .83. The seven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The reliability was highest in the case of the youngest, age 5. It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is age group was the small. It suggests that this test be administered to groups of small size. The test was also administered to a group of 150 persons, and the results is being analyzed.
    This research is in progress. This test was for young children who are difficult to handle, so this test has still some problems. More experimental testing and the creation of better items based on the testing are required. Even after that, we need research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est, and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e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성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9살 이전의 유동적 음악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적성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개발된 검사는 MMAT로 명명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기에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검사 형태 자체를 바꾸어 개정판을 개발하였다. 가락과 리듬 검사로 총 40문항의 듣기 검사가 만들어졌다. 새로 만들어진 검사를 만 5-7세까지의 어린이에게 4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통계 분석결과에 의해 문항은 여러 번 수정되었다. 통계 결과 외에 다음의 사항들이 실험실시로 관찰되었다.
    첫째, 검사의 지시사항인 녹음된 지문은 될 수 있으면 간단하게 만든다. 어린이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지문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보았으나 검사에는 도움이 되지 못했다. 오히려 검사자체에는 집중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었다.
    둘째, 예제를 반드시 만들어 실시해야 한다. 어린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역별로 2문제정도 예제 문제를 만들어 연습한다. 예제가 너무 많아도 집중력이 떨어져서 효과가 없었다. 예제문항이 많으면 예제를 하고 있는데 본 문제로 넘어가는 사례가 많았다.
    셋째, 어린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설명을 알아들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예를 들면 "손으로 일번 문제를 짚어보세요," "질문이 있으면 손을 들어 주세요" 등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영역이 달라질 때는 맨 처음 문제는 반드시 쉬운 문항을 배치한다. 새로운 형태의 문항을 접할 때 예제가 있었다 하더라도 처음 문항은 쉬운 문항을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섯째, 답안지의 그림은 될 수 있으면 분명히 누구나 동의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어린이들은 의외로 작은 것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면 새와 코끼리 그림이 있을 때 코끼리 그림이 훨씬 크지 않으면 이상하다고 느끼고 검사보다는 그림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어린 어린이들은 20분 이상 집중하기가 불가능하였다. 검사가 길어지면 뒷부분 문항의 변별도는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검사의 길이는 20분 이내가 되어야 한다.
    일곱째, 특히 만 5세의 어린이의 경우 대부분 필기고사의 경험이 없기 때문에 개인으로 검사를 실시하거나 많아도 교사 한명에 5명을 넘지 않는 소그룹으로 실시해야 한다.
    더욱 측정이 어려운 어린 학생들의 음악성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되고 있는 음악성 검사는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은 검사이다. 좀 더 많은 실험실시의 의한 좋은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후에도 공인 타당도, 예언 타당도 등 많은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어린이들의 음악적성을 단시간에 객관적으로 측정할수 있다.
    이 검사는 단시간에 객관적으로 음악적성을 측정할 수 있다. 학생 개인은 물론 부모, 교사, 학교행정가들도 이 객관적인 자료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약 30-40분의 검사로 객관적인 음악적성 점수와 또, 음악적성 중 리듬과 가락 부분의 점수를 따로 얻을 수 있다. 또 그 점수가 전체 같은 또래 집단에 비교해 어느 정도 있는지 백분율이나 표준점수인 T점수를 통해 금방 알 수가 있다.
    나. 어린이의 음악적으로 우수한 부분과 열등한 부분을 진단할수 있다
    일반 음악 수업과 연주활동 등에 있어서 학생의 개인차에 맞는 음악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학생의 음악적으로 우수한 부분과 열등한 부분을 진단한다. 즉, 각 개인의 음악적성이 어느 요인에서 우세하며 어떤 요인에서 열등한지 판단이 가능하다. 음악적성 점수의 총점이 같은 두 어린이라 할지라도 각기 강점과 약점은 다를 수 있다. 각 어린이의 우수한 음악적성 요인과 열등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진단하여 새로운 교수 대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그리하여 각 어린이의 강점은 강조하고 약점은 보완함으로서 성공적으로 음악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 음악 교수법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킬수 있다.
    음악 교수법을 개발, 발전시키는 것이 검사의 중요한 목적이다. 음악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려면 음악 교수법의 발전은 필수적이다. 음악을 가르치기 전에 어린이들에게 음악적성 검사를 실시해 보면 그 어린이들 현재의 음악적성을 알 수 있는데 그 정보는 실제로 어린이들을 가르칠 때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얼마 후의 어린이들의 성취와 비교 분석해 보면 교과 과정 중 어떤 부분을 강화하거나 수정해야 할 것인지 등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가르친 것을 재는 성취검사 결과와 음악적성은 다르지만, 예를 들어 가락 음악적성 낮은 학생은 물론 음악적성 높은 학생까지도 가락부분의 성취도가 낮다면 음악을 가르치는데 그 부분이 부족했던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 결과를 다음의 강의에 적용하여 교수법을 좀 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라. 높은 음악적성을 지닌 어린이를 가려내어 음악활동 참여를 촉진할수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에서 공교육시간 만을 가지고 음악적성이 높은 학생들을 가리는 것은 어렵다. 이 음악적성 검사의 목적이 한 번의 검사로 이런 학생들을 선별하여 개인 적성에 알맞게 음악활동의 참여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 정책이나 행정의 방향 설정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육의 정책이나 교육 행정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객관적인 증거가 필요하다. 이 음악적성 검사의 결과는 중요한 객관적인 증거가 되어 의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 연구나 프로젝트를 하는 데 측정도구가 된다.
    어떤 연구나 프로젝트에 객관적인 측정도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나 프로젝트에 타당도 높은 검사를 쓸 수 없다면 연구나 프로젝트 자체의 가치가 없어질 염려가 있다. 이 검사는 연구나 프로젝트에 효과적으로 쓰이는 것이 목적이다.
  • 색인어
  • 음악적성, 음악성, 유아, 발달음악성, 측정, 음악성검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