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54&local_id=10012595
국내 미술교과교육의 학문적 연구동향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G00018 |
선정년도 |
2004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6년 05월 03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6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내 미술교과 교육 관련 전문학술지인「조형교육」,「미술교육논총」및「미술교육연구논총」에 지난 20여 년간 게재된 학술 논문들의 연도별 발표 실적, 연구 주제별 동향, 연구 대상별 구성비 및 연구 방법별 비율 등을 집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국내 미술교과 교육 관련 전문학술지인「조형교육」,「미술교육논총」및「미술교육연구논총」에 지난 20여 년간 게재된 학술 논문들의 연도별 발표 실적, 연구 주제별 동향, 연구 대상별 구성비 및 연구 방법별 비율 등을 집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4년에 첫 연구 논문 3편이「조형교육」에 실린 이후, 1991년까지는 10편 내외의 부진한 논문 발표 실적을 보이나 가장 많은 편수의 논문이 실리는「미술교육논총」이 창간되는 1992년을 기점으로 20편 내외로 논문 발표 건 수가 증가한 다음 계속 그 수준을 유지하다가 1999년에 50편대로 급격한 신장세를 보인 이후 2002년에는 81편이 발표되어, 금명간 연간 논문 발표 실적이 100여 편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발표 실적의 신장은 어려운 조건하에서도 논문 발행을 계속하여 온 세 학회의 노력과 이에 따른 연구 활성화의 결과로서 양적으로 볼 때 우리의 미술 교과교육 연구도 국제적 수준에 점차 접근 되어 감을 보이는 고무적인 현상으로 해석된다.
연구주제별로는 교과교육학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교수・학습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는데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회화에 관련된 내용이 많고 조소 교수・학습 연구가 적은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주제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에 이르러 미술교육 이론과 철학,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감상교육, 미술교육역사, 미술교육공학, 미술교육심리 등에 관련된 논문들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다 활성화 되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통미술, 아동미술, 미술교육 행정・환경 등의 분야는 최근 발표 실적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관련 ) 연구자들의 분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통합 학습 및 조형놀이에 관한 교수・학습 연구가 보다 활성화 되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내용학으로 분류되는 주제들에 대한 발표 실적은 교과교육학의 ¹/4 수준으로 집계되었다.
연구대상별로는 초등미술교육에 관한 논문이 34.5%로 가장 많으며 일반, 초・중등, 중등, 대학 순으로 집계되었다. 초등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당연한 결과로 보이기는 하나, 중등 교육에 대한 논문이 7%대에 그친 점은 초・중등을 연계한 논문 발표 실적 9.5%를 감안하더라도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특수학교와 관련한 논문이 1992년에 1편 발표된 이후 2004년에 1편 발표된 실적을 보이는 점은 매우 아쉬운 결과로서 이에 대한 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면 한다.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서술적 연구의 비중이 전체의 ⅔ 정도를 차지하고, 실험적 연구는 1/5 정도이다. 인문학적 연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역사적 연구와 철학적 연구는 각각 9.6%와 3.5%에 불과한 실적을 보이는데, 다행히 역사적 연구는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철학적 연구가 최근 취약한 양상을 보여 앞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
영문
-
Analysis of research trend published in art education journals
Eundeok Park(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art education, thorough survey of six hundred three papers published on "Art Education Rev ...
Analysis of research trend published in art education journals
Eundeok Park(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art education, thorough survey of six hundred three papers published on "Art Education Review",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and "Journal of Art Educat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have been conducted. The classification of papers is done by the yearly records of publication, by the theme, by the objects and by the methods. After three papers had been published on "Art Education Review" in 1984,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has increased continually. In 2004, the total numbers of paper published in the three journals are 81 and, in the near future, more than 100 papers are expected annually.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y the theme, the most of papers are concentrated on the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Recently, there are ascending tren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art education theory and philosophy, art textbooks and curricular, art appreciation, art education history, education technology and psycholog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late on traditional art, children's art, art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 are very small and should be improved in the near future.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on studio art and art history and theory is one quarter of that on curricular art education area.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y the objects, the portion of the papers related o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s 33.6% followed by general, elementary and middle,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iversity. One area tha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s special education. Only two papers were publish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y the methods, the portion of papers, which used descriptive method was about 68%, followed by experiment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형교육」, 「미술교육논총」 및 「미술교육연구논총」에 1984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603편의 논문들을 분류 조사한 결과 1984년부터 1991년까지는 10편 내외의 부진한 논문 발표 실적을 보이나 1992년을 기점으로 논문 편수가 증가하고, 1999년에 50편대로 급격한 신장세 ...
「조형교육」, 「미술교육논총」 및 「미술교육연구논총」에 1984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603편의 논문들을 분류 조사한 결과 1984년부터 1991년까지는 10편 내외의 부진한 논문 발표 실적을 보이나 1992년을 기점으로 논문 편수가 증가하고, 1999년에 50편대로 급격한 신장세를 보인 이후, 2002년부터 80편 내외의 발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연구주제는 교과교육학의 발표 실적이 교과내용학에 비하여 4배 정도 높으며, 교수・학습, 미술교육 이론철학,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등으로 나타났으나, 전통미술, 아동미술, 미술교육 행정・환경 등의 분야는 발표 실적이 취약하다. 연구대상별로는 초등미술교육, 일반, 초・중등, 중등, 대학 순으로 집계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연구, 실험적 연구, 역사적 연구, 철학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미술교육학회가 설립된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국내의 미술교과교육에 대한 연구 논문들을 체계화하는 일은 미술교과교육 연구의 변천 과정과 발달 과정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것으로서 국내의 미술교육의 동향이 체계화되고, 시대적 흐름의 파악 ...
1. 미술교육학회가 설립된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국내의 미술교과교육에 대한 연구 논문들을 체계화하는 일은 미술교과교육 연구의 변천 과정과 발달 과정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것으로서 국내의 미술교육의 동향이 체계화되고, 시대적 흐름의 파악과 앞으로의 방향을 예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학문적 체계화가 성립된다.
2.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국내 미술교과교육 관련 학회지에 실린 연구 논문에 나타나고 있는 연구 경향과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미술교과교육의 현황에 대한 통계 자료를 구축하였다. 특히 논문의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로 미술교과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 내용을 우선 분류하고 다시 연도별․연구주제별, 연도별․연구방법별, 연도별․연구대상별로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편중된 영역에 대한 재고와 취약한 영역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여 미개발된 영역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연구하도록 독려함으로서 연구의 세분화와 다양화 및 활성화가 기대된다.
3. 미술교과교육 관련 논문들에 대한 논문 연구방법과 영역별 연구내용에 대한 현황 분석은 통계적 수치로 제시하여 정확성을 갖도록 하여 우리나라 미술교과교육의 현 위치와 동향을 파악하고 기초 단계에서 전문화 단계에 이르는 미술교과교육의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참고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4. 유치원과 초, 중, 고등 미술교과교육에 관한 연구를 대상 영역별로 분석하는 일은 학생에 대한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교수방법 등을 제시하므로 연구대상별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유아기부터 초, 중, 고등 미술교육에 대한 수직적인 분석과 흐름이 파악되어 각 단계별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발달단계들의 상호연결성이 높아질 것이다.
-
색인어
-
미술교과교육, 연구동향, 학회지,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