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57&local_id=10011632
한글자모를 모티브로한 무보법 개발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글자모를 모티브로한 무보법 개발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성환(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4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글자모결합식무보법은 기호 대신에 일정한 말, 즉「譜語」를 분절 된 움직임이나 자세의 하나하나를 설명으로 기록하는 譜語式인 표준 일본 무용보(標準日本舞踊譜)이나 몇몇 속기방식(short hand)과는 문자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한글쓰기의 특징인 초성, 중성, 종성에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을 인체의 동작, 방향, 모양을 기록하는데 사용하고 이를 결합하여 읽기가 가능한 글꼴로 개발했다는 것에서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앤·허친슨(Ann Hutchinson)이 분류한 5가지 타입의 방법과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글무보법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수기(手記)의 편이성- 수기는 안무가에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떠오르는 안무의 발상을 수기로 정리하고 보존을 위한 기록을 위해 이를 다시 컴퓨터로 입력하고 출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무보법과는 달리 문자 특히 한글로 기보한다는 것은 추상기호, 묘화방식이 지니는 수기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편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입출력의 수월성-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무보법들은 컴퓨터 개발 이전에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컴퓨터 환경에서의 활용을 크게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 따라서 사용하는 기호 등이 현재 컴퓨터의 키보드로는 입력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는데 반해 한글자모결합식무보법은 현재 한글 입력에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키보드를 그대로 활용하여 입·출력이 현재의 컴퓨터 사용법과 동일하여 인체의 움직임을 입력하고 출력하는데 수월하다.
    3. 시뮬레이션 정보로 변환의 수월성- 현재의 무보법을 시뮬레이션 데이터로 입력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컴퓨터로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기보에 활용되는 추상기호, 묘화 등을 바탕으로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반해 한글자모결합식무보법은 입력된 정보를 시뮬레이션 데이터로 변환하여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4. 익숙한 기호의 사용- 한글자모결합식무보법은 문자와 함께 활용되는 이미 학습되어진 익숙한 문장기호와 글꼴의 변화를 기록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문장기호는 무용동작 중 악센트(accent)로, 글꼴의 볼드(bold)로 변형으로 무게(weight)의 강약 등을 표기할 수 있어 기록의 수월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인지의 수월성- 한글은 입, 혀, 이 등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이어서 동작모양을 연상되도록 할 수 있어 무용동작의 기록에 좋은 인터페이스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모음의 경우 방향(direction)의 기록에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6. 동작정보의 집적화- 한글의 특성인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은 무용동작의 다양한 정보를 집적하여 기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북한의 무보법의 방법과는 차별화되는 한글만의 특성을 활용한 특이한 방법일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movement notation method through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is different that use an initial sound, the medial and final consonant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instad of signs and symbols from other movement notations.
    Hangul movement notation method has peculiar characters as followings.
    1. Easy to take note of movement on hand.
    As a choreographer take note of an incipient idea movement on hand is very important. Then to take note on hand, letters especiallly Hangul is more effective than abstractive signs ,symbols and pictorial drawings.
    2. Easy to input and output of notation
    To input movement infomation, Hangul movement notation method use computer keyboard as the same way of input Hangul so it could be easy to notate information of movement.
    3. Easy to convert into information for simulation
    To input movement infomation, Hangul movement notation method use computer keyboard so it could be easy to convert into information for simulation
    4. Easy to recognize for use familiar syllabic symbols
    Hangul movement notation method applicate letters also punctuation marks and fonts already recognized. Especially, to make be easy to notate through punctuation marks applicate for accent, family fonts(light, midium and bold) applicate for weight.
    5. Easy to associate shapes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is contrivance through shapes of mouth, tongue and teeth that's why we associate shapes of signs and informations of movements.
    6. Specific integrated informations of movements
    Hangul movement notation method enable to integrate diversity informations of movements for using an initial sound, the medial and final consonant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간의 동작은 매우 복잡한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동작을 기록한다는 것 또한 복잡한 기록방법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주로 무용을 기록하는 방법인 dance notation(무보법, 舞普法)을 중심으로 다양한 무보법이 개발되었으며 이중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무보법으로는 Rudolf Laban, Pierre Conte, Rudolf Benesh, Eshkol & Bachmann 등이 이 있으며, 북한의 자모식 무보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무보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보법을 분석하고 이들 무보법의 활용 실태를 정량, 정성 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무보법이 지닌 공통적인 문제점은 기록법을 익혀 안무를 위해 기록하고, 재연하고, 재연되는 동작을 기록한다는 것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서도 쉽지 않다는 것으로 그 주된 원인으로는 첫째, 인체의 매카니즘과 각 부위 별 동작의 다양함으로 인해 기록할 내용이 너무많고 둘째, 기호, 숫자, 심볼, 자모를 활용함으로서 기록은 가능하나 musical notation의 음의 높이에 대한 음표의 표기와 함께 phonetic symbol(도레미파솔라시도)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장치가 없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셋째, 각각의 무보법에서 활용되어진 기호, 숫자, 심볼, 자모들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이 부족으로 연상력이 부족 넷째, 동작의 각 요소를 분리하여 기록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한글을 활용한 무법법 개발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한글 키보드의 중앙 3단은 일반적으로 무보법에서 신체의 부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3-5column의 수와 거의 일치하고 있고 자판의 왼쪽에는 자음, 오른 쪽에는 모음이 배치되어 있어 이의 활용은 무보의 입력과 simulation에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글은 한국의 10대 문화상징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이며 한국문화의 국제적인 보급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한(韓)브랜드화의 대상이기도 하다. 한글의 한국 문화적 상징성과 함께 이의 국제적 활용성의 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한글무보법은 이의 한 방법으로 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2차 연구인 한글무보법 개발은 연구자의 주관적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무보법의 사용성 평가는 현재 개발 중인 한글무보법은 국제적 표준을 목표로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글의 사용하고 익숙한 한국인에게 적용 가능해야 함은 물론 한글을 전혀 활용하지 않은 외국의 안무가, 무용가에게 사용의 수월성이 있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글무보법의 완성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3. 한글무보법의 사용성 평가는 국내의 대학, 중국의 중앙민족대학(예정), 일본의 지바대학 등이 참여하여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러한 연구는 인터넷과 병행하여 이루어질 예정이며 이는 인터넷을 통한 3개국 공동 사용성 평가연구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무보법은 개발의 중요성만큼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미국과 유럽지역에서는 Labanotation에 의해 종이 위에 기보된 무용에는 저작권이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전문 노테이타(notator)를 고용해 안무를 기록시키는 무용의 안무가도 많다.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무보법들은 이의 활용, 보급 그리고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홈페이지 구축은 물론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 홍보도 함께 진행함으로서 활용하는 안무가, 무용가의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과정에서 구축되어질 웹 사이트는 사용성 테스트의 기능과 함께 한글, 한글자모를 활용한 무보법의 홍보와 함께 사용자의 저변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Movement Notation, Dance Notation, Korean Danc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nterface, Interactiv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