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66&local_id=10011755
한국 희곡/연극이론 자료 조사 정리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희곡/연극이론 자료 조사 정리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익두(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55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 희곡/연극이론 자료 조사 정리 연구’ 2차년 과제에서는 그동안 조사 정리된 한국 희곡/연극이론 관련 자료들 중에서 우선 문헌자료들을 역사적으로 분류하고 이론 영역별로 나누어 자료를 각 체계별로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①신화시대 자료들은 주로 신화 형태로 존재하며 ‘신’ 중심의 행위를 기록한 ‘우주의 드라마’로서의 희곡/연극을 기술하고 있다. ②부족국가 시대 자료들에서는 인간이 수행하는 가장 원초적 연극 형태인 제의극 형식인 제천행사/천신제(天神祭)로서의 연극 형태가 나타난다. ③삼국시대 관련 자료들에서는 ‘불교문화’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게 되며, 이전 시대보다 자료가 현저히 구체화되고 다양해져서, 가무ㆍ인형극⋅가면극 등의 명칭, 형식, 내용 등이 나타난다. ④ 남북국시대 관련 자료들에서는 지역별로 나누어져 존재하던 한국연극을 민족국가적인 차원에서 종합한 시대적 의의를 갖는다. 특히 이 시대에 특기할만한 중요한 점은 최치원의 「향악잡영5수(鄕樂雜詠五首)」를 자료로 연극비평⋅연극미학⋅연극이론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⑤ 고려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로는 이 당시의 공연문화가 연등회와 팔관회, 이 두 민족축제를 바탕으로 하여, 전체적으로는 전대에 수립된 가무백희(歌舞百戱)의 전통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외래의 공연문화/연극문화를 더욱 폭넓게 받아들여, 당대의 공연문화의 중심이었던 가무백희(歌舞百戱)가 좀더 국제적인 차원으로 두루 종합되고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⑥ 조선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로는 공연문화/연극문화의 중심인 가무백희(歌舞百戱) 전통도 고유전통 공연문화와 불교전통 공연문화와 유교전통 공연문화 등이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며, 고유전통의 공연문화/연극문화 쪽에서도 기존의 무당굿으로부터 판소리라는 새로운 연극 양식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에 이루어진 각종 공연문화/연극문화 양식들이 좀더 분명하게 분화⋅독립을 이룩하게 되었음을 볼 수 있다. ⑦ 일제강점기 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로는, 기존의 전통적 양식들인 무당굿⋅풍물굿⋅꼭두각시놀음, 가면극/탈놀이, 판소리 등이 면면히 계승되는 한편, 새로운 근대적 양식인 창극⋅신파극⋅신극 등이 출현하고 형성되었다. ⑧ 남북 분단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로는 전 세계 주요 희곡/연극이론을 수용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독자적인 희곡/연극이론을 본격적으로 모색하였음을 찾아볼 수 있다.
    이론 영역별 주요 내용 및 특징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희곡/연극본질이론은 연극의 어원, 기원, 정의, 기능, 형식, 양식 등에 관련된 이론으로서, ‘생명의 원리’와 ‘조화의 원리’가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②한국 배우연기이론으로는 ‘사대법례의 원리’, ‘공소의 원리’, ‘매개화의 원리’를, ③한국 극장무대이론은 ‘짓고-헐기의 원리’를 도출할 수 있다. ④한국 희곡극작이론의 핵심은 ‘구주-문종 원리’와 ‘덩어리의 원리’와 ‘집단중심의 원리’를, ⑤한국연극의 음악 무용이론은 ‘통합의 원리'와 ‘그물코의 원리’를 도출할 수 있다. ⑥희곡/연극의 의상분장이론은 ‘매개화의 원리’가 그 중핵을 이루면서, ‘표지화의 원리’가 보조 원리로 활용되고 있다. ⑦음향 조명이론은 ‘자연화의 원리’로 집약되고, ⑧대소도구이론은 연기 이론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이론이기 때문에, ‘매개화의 원리’가 그 중핵을 이룬다. ⑨한국 연극의 연출 제작이론에서는 ‘신명 창출의 원리’가 가장 강하게 드러난다, ⑩한국 연극의 공연이론은 ‘비움-채움의 원리’를 중심으로 해서 구축될 수 있다. ⑪한국 연극의 청관중이론은 ‘추임새의 원리’를 중심으로, ⑫한국희곡/연극의 비평이론은 ‘상호작용의 원리’⋅‘현장평가의 원리’가 ‘신명의 원리’를 중심으로 작동되고 있다. ⑬한국 연극의 미학이론은 역시 ‘신명의 미학’으로 차별화할 수 있고, ⑭한국 연극사이론은 ‘주변화의 원리’와 ‘중심화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⑮한국 연극교육이론은 ‘구전신수의 원리’와 ‘독공의 원리’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고, (16) 한국연극의 직업이론은 ‘단군-광대의 원리’를 근간으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 영문
  • The theory of Korean drama means a universal principle which is related with Korean drama's method, purpos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as a model of Korean culture. However it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unified theoretic system so far. It can be divided into 16 areas and the basic principle of each area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principle of life and principle of harmony in the basic theory of drama. And in the area of action there are principle of Sa-che (i.e., four important elements-good looking, expressivity, Deuk-eum (the most complete phrase of musicality), and Nurumsae(visual and good acting), principle of blank, and principle of intermediation which makes the audience arouse their rich imagination, not as and actualizing illusion.
    There is principle of constructing-deconstructing in the theory of stage. Traditionally the stage of Korean drama is built more concretely as the drama begins but fades away as the drama ends.
    The core of the theory Korean comedy is principle of oral first and character later, principle of whole, and principle of group centered. Principle of oral first and character later is the principle that is focused on oral tradition and supplemented by character tradition. Principle of whole is the principle that is focused on the whole of experience rather than cause and effect of the story. Principle of group centered is the principle that is focused on group rather than an individual.
    There are principle of unification and principle of net in the theory of Korean music and dance. The former is the principle that unites sound of musical instrument, singing, dancing, and play with each other appropriately in order to make an effect on some meaning and the latter is the principle that is focused on a certain feature with which the rest of the elements unites in performance.
    In the theory of dressing and make-up there are principle of intermediation and principle of mere marking. The former is the key and the latter is used as supplementary. In the principle of mere marking, darity of dressing or make-up is not important thus minimal differentiation is enough. In the theory of sound and lighting principle of naturalization in centered and principle of intermediation is also found in the theory of tool. There is principle of creating new life in the theory of managing, principle of suitable calls in the theory of audience, and principle of emptying and filling in the theory of performance.
    In the theory of criticism there are principle of reaction, principle of immediate criticism, and principle of new life. The aesthetics of Korean drama is differentiated from others as that of new life and the theory of the history of drama is based on principle of decentralizing and principle of centralizing. And finally in the theory of drama education there are principle of orally transmitted body training and principle of self understanding and self realization. The former is the principle of education that is focused on orally transmitted knowledge of drama and the latter is the principle of education that is focused on do-it-yourself way of learning in the long period of time as a religious performance "the way" in order to realize what the drama is. In the theory of drama occupation there is principle of dangun-kwangdae in which the player acts as a divine Dangun and as a mundane Kwangdae as well.
    All the principle that I mentioned so far is the principles that I extracted from Korean drama in examining them from various angles, thus they can be a basis of the theory of Korean drama relating closely with each other.
    The theme of each chapter in this paper was examined macroscopically like looking through a telescope but it can be examined microscopically like looking through a microscope since every theme in this paper needs a further detailed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 희곡/연극이론 자료 조사 정리 연구’ 2차년 과제에서는 그동안 조사 정리된 한국 희곡/연극이론 관련 자료들 중에서 우선 문헌자료들을 역사적으로 분류하고 이론 영역별로 나누어 자료를 각 체계별로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역사적인 구분 분류’ 자료들의 분석 작업에서는 구분된 각 시대별로 그 시대 희곡/연극이론 상의 여러 가지 특징들이 추출되었으며, ‘이론 영역별 구분 분류’ 자료들의 분석 작업에서도 그 구분된 각 이론 영역별로 한국 희곡/연극이론 상의 여러 가지 특징 원리들이 도출되었다.
    역사적인 구분 분류는 ① 신화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② 부족국가시대 관련 희곡/연극 관련 자료, ③ 삼국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④ 남북국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⑤ 고려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⑥ 조선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⑦ 일제강점기 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 ⑧ 남북 분단시대 관련 희곡/연극이론 자료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론 영역별 구분 분류는 ①희곡/연극본질이론, ②배우연기이론, ③극장무대이론, ④희곡극작이론, ⑤음악무용이론, ⑥의상분장이론, ⑦음향조명이론, ⑧대소도구이론, ⑨연출제작이론, ⑩공연이론, ⑪청관중이론, ⑫비평이론, ⑬미학이론, ⑭연극사이론, ⑮연극교육이론, ⑯ 연극직업이론 등 총 16개영역으로 구분 분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1세기는 이른바 ‘문화의 세기’라고 예견되고 있고, 그 문화의 세기의 중심에는 연극을 비롯한 ‘공연문화’가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될 것이며, 이런 금세기 우리 민족의 문화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이러한 금세기의 문화적 방향에 부응하고 그에 대해 창조적 대안을 제시하는 학문적인 작업이다. 이러한 방향에서, 우리의 희곡/연극의 ‘이론’을 탐구하고 정리하고 분석하고 해석해내는 작업은 매우 시의 적절하고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 효과 및 활용 방안들이 기대된다.
    첫째, 한국희곡/연극이론 관련 자료집 및 이론의 기초원리 탐구 작업물(단행본 저서)이 만들어짐으로써, 지금까지 거의 방치되어 왔던, 한국 희곡/연극이론 자료들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된 ‘독자적’인 한국 희곡/연극이론 분야의 기초가 구축될 수 있다.
    둘째, 조사 정리한 자료집의 자료들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그로부터 한국희곡/연극이론의 기본원리들을 도출해냄으로써, 지금까지 연구되지 못한 한국희곡/연극의 ‘자생적 이론’의 기초가 마련될 수 있다.
    셋째, 유구한 전통의 우리 희곡/연극은 있어도, 그것으로부터 나온 우리 나름의 이론은 없다고 한국 희곡/연극이론 분야의 ‘식민성’을 타개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서양 희곡/연극이론에 지나치게 의존해 있는 우리의 잘못된 희곡/연극 연구 풍토를 개선하여, ‘자생적 연극이론’과 ‘외래적 연극이론’의 ‘조화’를 기할 수 있다.
    다섯째, 소외되어 있는 우리의 희곡/연극이론 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우리의 ‘자주적인 희곡/연극학’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섯째,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작업들을 계기로 하여, 이와 관련된 많은 후속 관련 연구들을 촉발할 수 있다.
    일곱째, 지금까지 지속되어온 서양희곡/연극이론 일변도의 연극교육을 우리의 희곡/연극이론도 배려하는 교육 내용으로 개선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우리의 희곡/연극 교육의 자주화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색인어
  • 희곡/연극이론, 연극비평, 연극미학, 연극사, 생명연극, 제의극, 세속극, 가무백희, 공연문화, 연극교육, 생명의 원리, 조화의 원리, 사대법례의 원리, 공소의 원리, 매개화의 원리, 짓고-헐기의 원리, 구주-문종의 원리, 통합의 원리, 그물코의 원리, 표지화의 원리, 신명창출의 원리, 비움-채움의 원리, 독공의 원리, 구전신수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 현장평가의 원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