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ncy time은 sham-operation group은 155 (100/80)초, 허혈유발군은 40 (20/56)초 허혈 12시간 후 운동군은 75 (38/78)초, 허혈 24시간 후 운동군은 112 (65/120) 초, 그리고 허혈 72시간 후 운동군은 78 (57/189)초였다. 단기기억은 허혈 후 감소하였으며, 트레드밀 ...
Latency time은 sham-operation group은 155 (100/80)초, 허혈유발군은 40 (20/56)초 허혈 12시간 후 운동군은 75 (38/78)초, 허혈 24시간 후 운동군은 112 (65/120) 초, 그리고 허혈 72시간 후 운동군은 78 (57/189)초였다. 단기기억은 허혈 후 감소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허혈에 의해서 유도된 단기기억의 감소를 개선시켰다. 뇌허혈 후 24시간 이후에 트레드밀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단기기억손상을 개선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UNEL-양성세포수는sham-operation group은 5.86 ± 1.21/mm2, 허혈유발군은 37.86 ± 6.19/mm2, 허혈 12시간 후 운동군은 27.20 ± 2.05/mm2, 허혈 24시간 후 운동군은 13.79 ± 6.00/mm2, 그리고 허혈 72시간 후 운동군은 24.31 ± 2.54/mm2였다. TUNEL 양성세포수는 허혈 후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허혈에 의해서 유도된 TUNEL- 양성세포수의 증가를 개선시켰다. 뇌허혈 후 24시간 이후에 트레드밀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TUNEL-양성세포수를 억제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aspase-3-양성세포수는sham-operation group은 8.17 ± 1.22/mm2, 허혈유발군은 74.00 ± 10.93/mm2, 허혈 12시간 후 운동군은 43.79 ± 3.75/mm2, 허혈 24시간 후 운동군은 22.71 ± 2.11/mm2, 그리고 허혈 72시간 후 운동군은 38.81 ± 4.06/mm2였다. Caspase-3-양성세포수는 허혈 후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허혈에 의해서 유도된 Caspase-3-양성세포수의 증가를 개선시켰다. 뇌허혈 후 24시간 이후에 트레드밀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Caspase-3-양성세포수를 억제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rdU-양성세포수는sham-operation group은 105.97 ± 7.56/mm2, 허혈유발군은 247.84 ± 24.23/mm2, 허혈 12시간 후 운동군은 192.70 ± 23.26/mm2, 허혈 24시간 후 운동군은 132.19 ± 5.99/mm2, 그리고 허혈 72시간 후 운동군은 184.17 ± 10.31/mm2였다. BrdU-양성세포수는 허혈 후 증가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은 허혈에 의해서 유도된 BrdU-양성세포수의 증가를 개선시켰다. 뇌허혈 후 24시간 이후에 트레드밀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BrdU-양성세포수를 억제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다.
실험결과 일시적인 전뇌허혈은 단기기억을 감소시켰고,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 사멸과 세포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전뇌허혈 후 실시한 트레드밀 운동은 허혈에 의한 단기기억의 감퇴를 막아주었고, 허혈로 증가된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 사멸 및 세포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뇌 허혈 후 24시간 후에 실시한 트레드밀 운동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허혈 후 24시간 후에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뇌 손상을 줄이고 신경학적 장애를 최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뇌졸중환자의 운동지침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