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83&local_id=10011427
복합트레이닝과 일상 신체활동이 고령자의 최대산소섭취량, 근량과 전신골밀도 및 전도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복합트레이닝과 일상 신체활동이 고령자의 최대산소섭취량, 근량과 전신골밀도 및 전도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상갑(동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9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4시간의 모든 신체활동을 가속도 센서를 부착한 체동계(pedometer)를 이용하여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활동강도를 측정하고, 한국식 modified MMSE(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법으로 지남력, 기억등록, 주의 집중 계산, 기억회상, 언어, 시공간 구성능력 등을 평가해서 24점 이상인 70~80세의 여성 고령자를 대상(일상생활군 20명과 트레이닝군 20명)으로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산소성 운동인 걷기위주의 에어로빅 운동과 밸런스 운동 그리고 프리웨이트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혼합한 복합 트레이닝을 1회 60분, 주 3회, 24주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의 강도설정은 점증적 운동 부하방법으로 1~8주는 HRR(Heart rate reserve)의 40~55%, 9~16주는 55~65%, 17~24주는 65~75%로 실시하였고 저항운동은 수정된 Westcott 등(1999)의 방법으로 3~10회를 적정수준의 반복횟수로써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은 인지기능, 골밀도와 골대사마커는 변화가 없으며, 상완과 대퇴의 근용적량 및 최대보폭, 유연성은 유의하게 감소되고, 10m 걷기 속도, 좌우(LMD) 및 전후(AMD)방향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합트레이닝군은 인지기능, 최대산소섭취량, 대퇴의 근용적량, Trochanter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뇨중 DPD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전도의 위험인자인 최대보폭, 10m 걷기속도, 유연성과 전후 및 좌우방향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 복합트레이닝군은 신체활동량과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 Tronchanter의 전과 후 변화량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와의 전과 후 변화량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4. 복합트레이닝군에서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과 상완과 대퇴의 근용적량의 전과 후 변화량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와의 전과 후 변화량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70~80세의 고령 여성에 있어서 가속도센스 부착체동계로 분석한 대조군의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활동강도는 인지기능, 전도와 낙상의 위험인자, 최대산소섭취량, 근량 및 전신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트레이닝군은 3METs 이상의 신체활동량이 8분에서 46.8분으로 약 5.85배가 증가되어, 인지기능, 신체 근육량, 최대산소섭취량을 향상시키고, 골밀도의 감소와 전도 및 낙상을 예방하여 자립생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것을 고려하여 남녀 후기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영문
  • We measured all the physical activity of 24 hours with the daily physical active mass and activity intensity of one day using pedometer attached with accelerator sensor, and also evaluated the orientation, memory function, calculation, speech, immediate recall by the Korean modified MMSE(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older women aged from 70 to 80 whose MMSE score was over 24, and grouped into combined training group(n=20) and a daily active control group(n=20). The combined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aerobic exercise which is mainly walking and balancing, and resistance exercise by free weight, as once a 60 minute, 3 times a week for 24 weeks. The intensity of aerobic exercise was 40~55% in 1~8 week, 55~65% in 9~16 weeks and 65~75% in 17~24 weeks according to Heart rate reserve(HRR), and in resistance exercise we established the 3~10 round repeated number as optimum levels by the modified method of Westcott et al(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ontrol group, no changes of MMS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bone metabolic marker were seen. The upper and lower limbs muscle mass, maximal step length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10m maximal walking time, lateral moving distance(LMD) and anteroposterior moving distance(AM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 In combined training group, the MMSE, VO2max, lower limbs muscle mass and trochant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urine Deoxypyridinoline (DPD) was decreased. Also, the risk factors of fall such as maximal step length, 10m maximal walking time, flexibility, LMD and AM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3. The physical active mass, VO2max/weight, the before and after delta value of tronchante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but the before and after delta value of LMD and AM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4. The before and after delta value of the forearm muscle volume and femoral muscle volum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before and after delta value of LMD and AM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y all accounts, the daily physical active mass and activity intensity of one day analysed by the pedometer attached with accelerator sensor in controlled group of older women aged 70~80 acts no effects on the MMSE, risk factor of fall, VO2max, muscle mass and whole bone mineral density.
    In combined training group, over 3METs physical active mass was increased from 8 minutes to 46.8 minutes, 5.85 times as much. Therefore it showed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reliance fitness by improving the MMSE, muscle mass, VO2max, and preventing the reduction of BMD and fall.
    Considering the aging society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subjects of latter part of the older peop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4시간의 모든 신체활동을 가속도 센서를 부착한 체동계(pedometer)를 이용하여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활동강도를 측정하고, 한국식 modified MMSE(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법으로 지남력, 기억등록, 주의 집중 계산, 기억회상, 언어, 시공간 구성능력 등을 평가해서 24점 이상인 70~80세의 여성 고령자를 대상(일상생활군 20명과 트레이닝군 20명)으로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산소성 운동인 걷기위주의 에어로빅 운동과 밸런스 운동 그리고 프리웨이트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혼합한 복합 트레이닝을 1회 60분, 주 3회, 24주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의 강도설정은 점증적 운동 부하방법으로 1~8주는 HRR(Heart rate reserve)의 40~55%, 9~16주는 55~65%, 17~24주는 65~75%로 실시하였고 저항운동은 수정된 Westcott 등(1999)의 방법으로 3~10회를 적정수준의 반복횟수로써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은 인지기능, 골밀도와 골대사마커는 변화가 없으며, 상완과 대퇴의 근용적량 및 최대보폭, 유연성은 유의하게 감소되고, 10m 걷기 속도, 좌우(LMD) 및 전후(AMD)방향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합트레이닝군은 인지기능, 최대산소섭취량, 대퇴의 근용적량, Trochanter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뇨중 DPD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전도의 위험인자인 최대보폭, 10m 걷기속도, 유연성과 전후 및 좌우방향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 복합트레이닝군은 신체활동량과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 Tronchanter의 전과 후 변화량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와의 전과 후 변화량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4. 복합트레이닝군에서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과 상완과 대퇴의 근용적량의 전과 후 변화량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와의 전과 후 변화량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70~80세의 고령 여성에 있어서 가속도센스 부착체동계로 분석한 대조군의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활동강도는 인지기능, 전도와 낙상의 위험인자, 최대산소섭취량, 근량 및 전신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트레이닝군은 3METs 이상의 신체활동량이 8분에서 46.8분으로 약 5.85배가 증가되어, 인지기능, 신체 근육량, 최대산소섭취량을 향상시키고, 골밀도의 감소와 전도 및 낙상을 예방하여 자립생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것을 고려하여 남녀 후기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70~80세의 여성 고령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군 20명과 복합트레이닝군 20명을 대상으로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산소성 운동인 걷기위주의 에어로빅 운동과 밸런스 운동 그리고 프리웨이트를 이용한 저항운동을 혼합한 트레이닝을 1회 60분, 주 3회, 24주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
    대조군은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3METs 이상의 활동강도가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인지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최대산소섭취량과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트레이닝군은 일상 신체활동량이 약 4.37배, 1일 활동강도가 약 5.85배의 증가로 인해 인지기능과 최대산소섭취량 및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전후 차이값에서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고 그룹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근육량의 변화
    대조군은 신체 근육량, 상체 근육량, 상완이두와 대퇴사두의 근용적량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하체 근육량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이닝군은 신체 근육량, 상하체 근육량, 대퇴사두의 근용적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그룹간에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완이두의 근용적량은 트레이닝후 증가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밀도와 골대사마커의 변화
    대조군은 골밀도와 DPD를 제외한 모든 골대사마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트레이닝군은 Trochanter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신골밀도, L2-L4, femoral neck와 ward triangle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DPD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밸런스기능과 신체동요의 변화
    대조군은 최대보폭과 Functional reach, 좌전굴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좌우방향 이동거리(Lateral moving distance), 전후방향 이동거리(Anteroposterior moving distance)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0m 보행 시간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이닝군은 최대보폭, Functional reach, 좌전굴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그룹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10m 보행 시간과 좌우방향 이동거리, 전후방향 이동거리는 유의하게 감소하고 그룹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복합트레이닝 전후 차이값에 대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일상 신체활동량과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 Trochanter의 변화량에서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의 변화량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량은 상완과 대퇴의 근용적량의 변화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좌우방향 그리고 전후방향 이동거리의 변화량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70~80세의 고령 여성에 있어서 가속도센스 부착체동계로 분석한 대조군의 일상 신체활동량과 1일 활동강도는 인지기능, 전도와 낙상위험인자, 최대산소섭취량, 근량 및 전신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트레이닝군은 신체의 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METs 이상의 신체활동량이 약 5.85배가 증가되어, 인지기능, 신체 근육량, 최대산소섭취량과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전도 및 낙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정적 밸런스와 동적 밸런스 기능을 개선시켜 고령자들의 전도 및 낙상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가 건강하고 자립된 일상생활을 수행 할 수 있는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고령자 건강운동 지도자 양성과 건강증진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들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는 하루 3METs 이상의 강도로 일상생활활동을 40분 이상 실시해야 된다는 홍보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색인어
  • 복합트레이닝, 일상신체활동, 고령자, 최대산소섭취량, 근량, 전신 골밀도, 전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