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85&local_id=10012797
건강관련체력의 노화계수 추정과 노화과정 평가 :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국가간 비교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건강관련체력의 노화계수 추정과 노화과정 평가 :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국가간 비교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상조(한국체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0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사회에서의 고령화 문제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령자의 신체적 자립을 기본으로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 건강수명(health span) 등에 대한 연구가 국가적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기본 가사활동(ADL)에 장애를 가진 노인의 증가로 인한 노인 의료비 증가는 국가사회가 부담해야할 노인부양의 사회적 비용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동안 건강관련체력(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및 활동체력(daily living-related functional fitness) 등의 신체기능 수준이 높은 노인일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하고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한다는 가정에서 체력 및 건강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수 보고 되어왔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 연구는 건강관련체력에 대한 노화시발점을 확인하여 노화계수를 추정하고 한국인과 일본인의 노화과정을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국의 국가통계치에 근거를 두고 확률적 모의실험 방법인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전체 2,282,112회의 반복을 통하여 모의실험자료(pseudo data)를 생성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국가통계치를 통해 생성된 자료는 검사시기별로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Tomkinson, Leger, Olds 와 Cazorla(2003)의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동등화하였다. 모의실험으로 생성된 자료를 분석용 프로그램에 정리하여 연령별 건강체력의 변화곡선에서 성장발달과 노화의 시점을 구분하는 변곡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Dmax 방법(Cheng et al., 1992)으로 추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자료에서 Dmax 방법으로 추정된 노화의 시발점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성별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이 방법으로 추정된 성장발달과 노화곡선별 방정식 및 변화률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윗몸일으키기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898x+6.689, 노화곡선 y=-0.689x+48.211로 설명할 수 있다. 일본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78x+0.908과 노화곡선 y=-0.29x+34.038로 설명되었다. 한국여성의 성장발달곡선 y=1.261x+-6.519 그리고 노화곡선 y=-0.592x+38.050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여성의 성장발달곡선 y=0.894x+6.711과 노화곡선 y=-0.242x+24.741의 일차방정식이 적합하였다. 제자리멀리뛰기의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0.622x+52.278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45x2+1.698x+215.384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9.957x+60.769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23x2+0.576x+ 226.576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한국여성은 성장발달곡선 y=5.911x+76.161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45x2+1.986x+143.521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여성의 경우 성장발달곡선 y=8.084x+62.489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31x2+1.481x+150.757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체전굴의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0.608x+3.168, 노화곡선 y=-0.231x+21.628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남성 또한 성장발달곡선 y=2.393x+10.154과 노화곡선 y=-0.177x+49.633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한국여성의 경우 성장발달곡선 y=1.087x+-1.735의 일차방정식, 노화곡선 y=-0.005x2+0.302x+12.885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가능하며 일본여성은 성장발달곡선 y=1.866x+17.264, 노화곡선 y=-0.116x+48.573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끝으로 건강관련체력의 성장발달 및 노화곡선의 변화과정은 남녀간 그리고 국가간 차이가 있다.
  • 영문
  • The Korea society is in the midst of a profound demographic change: The rapid aging of its population. The 2000 Census counted nearly 10.1% people in the Korea 65years of age or older, about one of every ten Korean. By 2030, demographers estimate 37.3%, one in three or four Korean will be age 65 or older. The effects of this older age profile will reverberate throughout the Korean economy and society in the next 50 years. Preparing for these changes involves more than the study of demographic trends; it also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change pattern in physical character with aging. Declines in physical performances as like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re associated with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ging inflection point and estimate aging coeffici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pseudo data of this study were 2,282,112 ranges from 7year to 62year by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Monte Carol Method. The results are following that: The rates of change in the sit-up test on the aging a year are -2.29 % male, -4.06% female in Korean and -1.17% male, -1.42 female in Japanese. The Rates of change in standing jump declined -0.77% and -1.04% in Korean male and female, and -0.53 and -0.43 in Japanese male and female. The Rates of change in sit and reach declined -1.51% and -0.26% in Korean male and female, and -0.53 and -0.22 in Japanese male and fema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에서의 고령화 문제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령자의 신체적 자립을 기본으로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 건강수명(health span) 등에 대한 연구가 국가적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기본 가사활동(ADL)에 장애를 가진 노인의 증가로 인한 노인 의료비 증가는 국가사회가 부담해야할 노인부양의 사회적 비용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동안 건강관련체력(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및 활동체력(daily living-related functional fitness) 등의 신체기능 수준이 높은 노인일수록 건강상태가 양호하고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한다는 가정에서 체력 및 건강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수 보고 되어왔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 연구는 건강관련체력에 대한 노화시발점을 확인하여 노화계수를 추정하고 한국인과 일본인의 노화과정을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국의 국가통계치에 근거를 두고 확률적 모의실험 방법인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전체 2,282,112회의 반복을 통하여 모의실험자료(pseudo data)를 생성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국가통계치를 통해 생성된 자료는 검사시기별로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Tomkinson, Leger, Olds 와 Cazorla(2003)의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동등화하였다.
    모의실험으로 생성된 자료를 분석용 프로그램에 정리하여 연령별 건강체력의 변화곡선에서 성장발달과 노화의 시점을 구분하는 변곡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Dmax 방법(Cheng et al., 1992)으로 추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자료에서 Dmax 방법으로 추정된 노화의 시발점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성별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이 방법으로 추정된 성장발달과 노화곡선별 방정식 및 변화률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윗몸일으키기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898x+6.689, 노화곡선 y=-0.689x+48.211로 설명할 수 있다. 일본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78x+0.908과 노화곡선 y=-0.29x+34.038로 설명되었다. 한국여성의 성장발달곡선 y=1.261x+-6.519 그리고 노화곡선 y=-0.592x+38.050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여성의 성장발달곡선 y=0.894x+6.711과 노화곡선 y=-0.242x+24.741의 일차방정식이 적합하였다.
    제자리멀리뛰기의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10.622x+52.278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45x2+1.698x+215.384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9.957x+60.769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23x2+0.576x+ 226.576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한국여성은 성장발달곡선 y=5.911x+76.161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45x2+1.986x+143.521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여성의 경우 성장발달곡선 y=8.084x+62.489의 일차방정식 그리고 노화곡선 y=-0.031x2+1.481x+150.757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체전굴의 추정된 방정식은 한국남성의 성장발달곡선 y=0.608x+3.168, 노화곡선 y=-0.231x+21.628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며 일본남성 또한 성장발달곡선 y=2.393x+10.154과 노화곡선 y=-0.177x+49.633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한국여성의 경우 성장발달곡선 y=1.087x+-1.735의 일차방정식, 노화곡선 y=-0.005x2+0.302x+12.885의 이차방정식으로 설명가능하며 일본여성은 성장발달곡선 y=1.866x+17.264, 노화곡선 y=-0.116x+48.573의 일차방정식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끝으로 건강관련체력의 성장발달 및 노화곡선의 변화과정은 남녀간 그리고 국가간 차이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2004년 학술진흥재단의 선도연구자지원사업으로 2004년 12월 1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1년간의 연구기간동안 수행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는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의가 필요한 다양한 주제들 중 연령에 따라 건강관련체력이 어떻게 노화하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1년여 시간의 연구기간 동안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한국과 일본의 2백 2십 8만 여개의 자료 생성을 통한 분석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1988년부터 매 3년마다 이루어지는 국민체력실태조사의 통계치가 표본집단의 특성 및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시행시마다 불안정하다는 문제와 다른 나라의 통계치와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특히 노화의 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Dmax에 대한 기술을 취득하고 컴퓨터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했다는데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Dmax 기법을 차후 컴퓨터 프로그램화 하여 체육학분야의 무산소성 역치 혹은 젖산역치, HR Flex, 요인분석에서의 요인개수 추정 등의 방법에 응용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이 결과보고서를 마무리 정리하여 국내외 우수 학술지의 게재와 현장적용을 위한 후속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 색인어
  • 건강관련체력, 노화계수, 컴퓨터 모의실험, Dmax, 변곡점 추정, 국가간 비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