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87&local_id=10011819
정신지체인의 계단 오르기 과제에서의 동작 유도성 지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신지체인의 계단 오르기 과제에서의 동작 유도성 지각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승오(한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1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각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이용하는 증거(Gibson, 1979; Warren, 1984)는 아동들이 운동기술을 획득한 직후 환경에서 어떤 움직임이 "가용한지"를 구분하는 능력을 획득한다고 제안하고 있다(Gibson, Riccio, Schmuckler, Stoffregen, Rosenberg, & Taormina, 1987; Palmer, 1989; Ulrich, Palmer, & Niles, 1991). 그러나 인지적 장애가 있는 아동이 정확하게 동작유도성을 지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정신지체가 있는 청소년들이 계단 오르기 과제에 대한 동작유도성을 지각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것이었다.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발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계단 높이를 올라갈 수 있는지 결정하라고 요청되었다. 그때 지각적 판단이 최대지각계단높이와 최대성취계단 높이와 비교되었다. 그 결과 정신지체가 있는 유소년들은 계단 오르기 과제에 대한 동작유도성을 정확하게 지각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 영문
  • Evidence utiliz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perception (Gibson, 1979; Warren, 1984) suggests that children acquire the ability to distinguish what movement an environment "affords" soon after they acquire motor skills (Gibson et al., 1987; Palmer, 1989; Ulrich, Thelen, & Niles, 1991).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ether or not children with cognitive disabilities can accurately perceive affordances (Burton, 1987, 199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boys and girl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could perceive affordances for the skill of stair climbing task. Boys and girl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or not various stair height could be rise only with use of foot. Perceptual judgment was then compared actual maximum perceived stair rise height with actual maximum attained stair rise height. Results indicate the boys and girls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not able to accurately perceive the affordance for stair climbing task. Results were explained via an ecological perspectiv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각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을 이용하는 증거(Gibson, 1979; Warren, 1984)는 아동들이 운동기술을 획득한 직후 환경에서 어떤 움직임이 "가용한지"를 구분하는 능력을 획득한다고 제안하고 있다(Gibson, Riccio, Schmuckler, Stoffregen, Rosenberg, & Taormina, 1987; Palmer, 1989; Ulrich, Palmer, & Niles, 1991). 그러나 인지적 장애가 있는 아동이 정확하게 동작유도성을 지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정신지체가 있는 청소년들이 계단 오르기 과제에 대한 동작유도성을 지각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것이었다.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발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계단 높이를 올라갈 수 있는지 결정하라고 요청되었다. 그때 지각적 판단이 최대지각계단높이와 최대성취계단 높이와 비교되었다. 그 결과 정신지체가 있는 유소년들은 계단 오르기 과제에 대한 동작유도성을 정확하게 지각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정신지체 장애인의 동작유도성에서 수평요소에 관한 것은 자신의 신체 능력에 관해 지각할 수 있으나 계단 오르기와 같은 수직요소의 경우에는 동작유도성을 지각하는 데에는 결함이 있다. 계단 오르기 과제에서 다리의 길이의 길이뿐만 아니라 유연성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최대지각높이의 경우에 실제적으로 정신지체가 있으면서 휠체어에 의존하여 이동해야 하는 사람의 경우에 동작 유도성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나 경사를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이동의 경우에는 수직요소와 수평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들의 경우에 생태학적 환경 속성(미터, 시간 등)들과 자신의 능력과의 관계를 잘 못 지각한다면 바로 위급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대성취높이의 경우에는 유연성이 많은 기여를 하는지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것으로는 피험자의 외재적 단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자신의 동작 능력과 역학적 제한과 차이가 있는 피험자에게 이러한 동작 유도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큰 배구 선수와 키는 작지만 유연성과 근력이 뛰어난 레슬링 선수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들이 내재적 메트릭은 상당히 다르게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동작유도성, 정신지체, 지각 판단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