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89&local_id=10012116
운동부하에 따른 흰쥐의 골격근내 AMPK 활성도 및 GLUT-4 발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운동부하에 따른 흰쥐의 골격근내 AMPK 활성도 및 GLUT-4 발현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태동(& #40;구& #41;상주대학교& #40;폐교&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1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실험에서는 운동부하 및 운동 후 회복기에 따라 지방대사에 관련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흰쥐를 대상으로 저강도와 고강도 운동시 혈액성분 분석과 골격근에서 근섬유형태별 유전자 발현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운동부하 및 운동 후 회복기에 따른 혈액성분 분석에서는 중성지방의 경우 저강도 운동군에서 운동 6시간과 12시간 후 운동전에 비해 유의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유의한 증가 후 회복기 12기간까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고강도 운동군에서 운동직후 다소 증가한 후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유리지방산의 경우 집단별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부하 및 운동 후 회복기에 따른 골격근에서의 AMPK 발현은 고강도 운동군에서 적색 비복근이 백색 비복근에 비해 운동직후 유의한 증가현상을 나타낸 후 회복기 6시간과 12시간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저강도 운동군에서는 군간 차이가 없었다. 한편, 적색비복근과 백색 비복근에서 모두 운동 직 후 고강도 운동군이 저강도 운동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3.운동부하 및 운동 후 회복기에 따른 골격근에서의 GLUT-4 발현은 고강도 운동군이 저강도 운동군에 비해 운동직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후 12시간 이후 까지 지속적인 증가양상이 나타났다, 근섬유 형태에 따른 발현율 변화에서는 적색비복근이 백색비복근에 비해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according to intensity and duration of treadmill exercise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CON), high-intensity(H-EX) and low-intensity exercise(L-EX) groups. Rats in L-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at the speed of 5m/min for initial 10 min and 10m/min for next 20 min. On the other hand, rats in the H-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slope 0 at the speed of 16m/min for initial 10 min, 22m/min for next 20 min, and 25m/min for last 40 min.
    Plasma TG level was decreased 6 and 12 hr after low-exercise intensity, and 0, 6, 12 hr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TC, HDL-C and FFA was not changed during recovery time after exercise.
    Expression of AMPK and GLUT-4 of the RG in the H-Ex group was higher than in WG immediately after exercise, but not in the L-Ex group.
    In the summary, gene expression of AMPK and GLUT-4 that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during 0 to 60 min recovery time by low-intensity exercise, but effected by high-intensity exercise. In conclusion, exercise intensity and amounts might be have very important role to regulat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metabolis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according to intensity and duration of treadmill exercise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CON), high-intensity(H-EX) and low-intensity exercise(L-EX) groups. Rats in L-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at the speed of 5m/min for initial 10 min and 10m/min for next 20 min. On the other hand, rats in the H-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slope 0 at the speed of 16m/min for initial 10 min, 22m/min for next 20 min, and 25m/min for last 40 min.
    Plasma TG level was decreased 6 and 12 hr after low-exercise intensity, and 0, 6, 12 hr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TC, HDL-C and FFA was not changed during recovery time after exercise.
    Expression of AMPK and GLUT-4 of the RG in the H-Ex group was higher than in WG immediately after exercise, but not in the L-Ex group.
    In the summary, gene expression of AMPK and GLUT-4 that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during 0 to 60 min recovery time by low-intensity exercise, but effected by high-intensity exercise. In conclusion, exercise intensity and amounts might be have very important role to regulat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metabolism.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혈액성분 변화

    운동부하 및 회복기에 따른 혈장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고밀도-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HDL-C),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FFA)의 변화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운동강도 및 운동 후 회복시간에 따른 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68.8±5.1 mg/dl로 나타났으며, 저강도 운동군에서 운동직 후 62.7±5.0 mg/dl, 운동 후 6시간에 46.6±4.8 mg/dl, 운동 후 12시간에 40.8±8.4 mg/dl로 각각 나타나 운동전에 비하여 운동 후 6시간과 12시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또한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88.7±6.9 mg/dl, 운동 후 6시간에 52.5±10.5 mg/dl, 운동 후 12시간에 41.3±6.3 mg/dl로 나타나 운동전에 비하여 운동직후에는 증가하였으나, 운동 후 6시간에는 감소하였다(p<.05).
    집단별 회복기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변량분석 한 결과 대조군에서 55.2±3.3 mg/dl로 나타났고, 저강도 운동군에서 운동직후 58.7±3.7 mg/dl, 운동 후 6시간에 53.6±4.6 mg/dl, 운동 후 12시간에는 57.3±5.4 mg/dl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63.3±3.6 mg/dl, 운동 후 6시간에 57.2±4.6 mg/dl, 운동 후 12시간에는 58.4±4.6 mg/dl로 나타났다.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각 변인에 대해 이원변량분석을 한 결과 운동강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대별 HDL-C의 농도는 대조군에서 28.9±1.8 mg/dl로 나타났고, 저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29.5±1.5 mg/dl, 운동 후 6시간에 26.2±2.3 mg/dl, 운동 후 12시간에 29.6±1.8 mg/dl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27.4±1.8 mg/dl, 운동 후 6시간에 28.4±1.9 mg/dl, 운동 후 12시간에는 28.6±2.1 mg/dl로 나타났다.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이원변량 분석 결과 각각의 유의차는 발견되지 않아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강도 및 회복시간별 FFA의 농도는 대조군이 457.6±48.3 mg/dl이며, 저강도 운동군에서 운동직후에 466.4±54.6 mg/dl, 운동 후 6시간에 544.7±45.8 mg/dl, 운동 후 12시간에 589.5±25.2 mg/dl로 각각 나타나 전체적으로 회복기에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복기 12시간 후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p<.05). 또한 고강도 운동군에서는 운동직후 488.6±30.4 mg/dl, 운동 후 6시간에 534.9±44.1 mg/dl 로, 운동 후 12시간에는 545.9±46.6 mg/dl로 나타나 회복기에 다소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2. AMPK 활성도

    운동부하량 및 회복기의 AMPK 발현은 <Fig. 1> 에서와 같이 고강도 운동군에 있어 RG근과 WG근에서 운동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또한 고강도 운동 후 회복기에 있어서는 운동 후 6시간과 12시간에서 운동직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운동 후 12시간에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저강도 운동군에서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RG과 WG근에서 모두 운동 직 후 고강도 운동군이 저강도 운동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5).

    3. GLUT-4

    운동부하량 및 회복기의 GLUT-4 발현은 <Fig. 2> 에서와 같이 고강도 운동군의 경우 RG근에서 대조군에 비해 운동직후, 운동후 6시간과 12시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또한 WG근에서는 운동직후와 운동 후 12시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그러나 저강도 운동군에서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RG과 WG근에서 모두 고강도 운동군이 저강도 운동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p<.05).
  • 색인어
  • AMPK. GLUT-4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