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결과
1) 신체구성 및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12주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신체구성과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제지방량(p>.05)을 제외한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섭취열량 모두에서 유의하 ...
1. 연구결과
1) 신체구성 및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12주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신체구성과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제지방량(p>.05)을 제외한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섭취열량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모두 p<.001)하였고, 대조군은 신체구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p>.05)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간 차이비교에서는 제지방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섭취열량; p<.05, 그 외 p<.001)가 나타났다.
2)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아디포넥틴의 변화
12주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아디포넥틴의 변화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허리둘레(P<.001), WHR(P<.001), TC(p<.05), LDL-C(p<.01), TG(p<.05), TC/HDL-C(p<.05), 수축기혈압(p<.01), 이완기혈압(p<.05), 공복혈당(p<.001), 공복인슐린(p<.05), HOMA지수(p<.01), HbA1c(p<.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CRP와 HDL-C는 감소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성(p>.05)은 없었으며, 아디포넥틴은 약간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대조군은 공복혈당(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G(p<.05), CRP(p<.05)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허리둘레, WHR, TC, HDL-C, LDL-C, TC/HDL-C, 공복인슐린, HOMA지수, HbA1c, 아디포넥틴은 유의한 변화(p>.05)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간 차이비교에서는 허리둘레(p<.001), WHR(p<.01), 수축기혈압(p<.01), CRP(p<.05), TC(p<.05), LDL-C(p<.01), TG(p<.01), TC/HDL-C(p<.01), 공복혈당(p<.01), 공복인슐린(p<.05), HOMA지수(p<.05)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이완기혈압, HDL-C, HbA1c, 아디포넥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관련성
사전 피험자 전체의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관련성을 Pe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험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구성 항목과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는 신장, 나이, 초경연령, 성숙도, 체중, 제지방량이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 경향을 보였지만 모두 유의성(p>.05)은 없었고, BMI, 체지방량, 체지방은 아디포넥틴과 양의 상관관계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성(p>.05)은 없었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는 공복혈당(r=-.335, p<.05)과 TC(r=-.344, p<.05)가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는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후 실험군의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변화량과 아디포넥틴의 변화량 간의 관련성을 Pe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구성 변인 중 BMI(-.552, p<.05), 체지방량(-.484, p<.05), 체지방률(-.567, p<.05) 변화량이 아디포넥틴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체중 및 제지방량의 변화량 간은 유의한(p>.05)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허리둘레(r=- -.389와 WHR(r= -.397)이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나머지 변인들과는 상관의 경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 12주 걷기운동과 행동수정을 복합한 생활양식 변화 프로그램이 비만여자 청소년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는 비만과 관련하여 이제 까지 주를 이루었던 혈중지질, 신체구성, 혈압, 인슐린, 렙틴, C반응 단백질 등 개별화된 변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최근 활발하게 연구 중인 하나의 군집으로 비만에 관련한 문제점을 연구하는 즉, 대사증후군과 비만의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추세에 동반함으로서 비만에 관련한 만성질환의 예방 및 처치에 한 발 앞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걷기운동은 비만인이라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고, 중도 탈략율이 매우 적은 운동으로서 이를 권장함으로써 비만의 개선과 함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일선 학교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2) 행동수정결과 총칼로리 섭취량이 감소하고 잘못된 식습관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서 체중조절과 함께 식생활 개선과 효과적이므로 이 또한 적극 권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