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91&local_id=10012791
생활양식 변화 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자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관련 인자와 에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생활양식 변화 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자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관련 인자와 에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태운(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2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중학교 2,3학년 학생 중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체질량지수(BMI) 백분위수가 95이상(13세: 24.6, 14세: 25.7㎏/㎡; 대한소아과학회, 1998)인 비만여학생을 대상으로 걷기운동과 행동수정을 포함한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여 이들의 1) 에너지섭취량과 신체구성에 관련된 요소인 체중,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2)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인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비(WHR), 중성지방(TG),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인슐린저항성 항상성모델지수(HOMA지수), 당화헤모글로빈(HbA1c), C 반응단백(CRP)의 변화와 아디포넥틴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3) 프로그램실시 전 피험자 전체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와 프로그램실시 후 이들의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비만청소년 처치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실험군(n=19)과 일상생활을 그대로 유지한 대조군(n=21)으로 무작위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최대심박수의 55-75%의 강도로 1일 30-60분간 학교 운동장에서 아침10분 방과 후 20-50분간 주 6회 실시했고, 행동수정은 식습관과 식품선택, 운동의 효과 등에 대해 매주 1회, 60분간 1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에서 신체구성 항목 중 제지방량을 제외한 모든 항목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HDL-C와 CRP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그리고 두 집단간 변화량에 대한 차이비교에서 제지방량, 이완기혈압, HDL-C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디포넥틴은 집단내 및 집단간 차이비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변화량이 아디포넥틴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양식변화 프로그램이 비만여자청소년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나, 아디포넥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인자의 변화가 아디포넥틴의 변화에는 적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영문
  • Effects of Lifestyle Change Programs Adoption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Adiponectin in Obese Adolescent Girls.

    Tae-Un Kim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termine effects of 12 weeks lifestyle modification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MSF), and adiponectin, and 2)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MSF and the change of adiponectin in obese adolescent girls. Forty participants (body mass index[BMI] 95th percentile)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group (EG, n=19) and control group (CG, n=21). The EG was participated in 30-60 minutes of walking exercise with 55 to 75% of maximal heart rate six days a week and 60 minutes of behavioural modification one day a week for 12weeks. They were assessed for body weight (BW),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C & HC), body composition and MSF including BMI, waist to hip ratio (WHR), fasting glucose (FG) and insulin (FI), HOMA index, triglyceride (TG),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 C-reactive protein (CRP), blood pressure and adiponecti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BW, WHR, body fat mass (BFM), percent body fat (%BF), WC, BMI, FG, FI, HOMA index, and systolic &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al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dy composition variables except for fat free mass and MSF except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no change in adiponcetin level within group and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intervention.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s of BMI, BFM and %BF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adiponectin. In conclusion, lifestyle modification can be useful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n body composition and MSF in obese adolescent girls.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adiponectin; therefore adiponectin is little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of body composition and MSF.
    Key words: obesity, metabolic syndrome, adiponctin, exercise, lifestyle modif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여자중학교 2,3학년 학생 중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체질량지수(BMI) 백분위수가 95이상(13세: 24.6, 14세: 25.7㎏/㎡; 대한소아과학회, 1998)인 비만여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여 이들의 1) 에너지섭취량과 신체구성에 관련된 체중,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지방률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2)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인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비(WHR), 중성지방(TG),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인슐린저항성 항상성모델지수(HOMA지수), 당화헤모글로빈(HbA1c), C 반응단백(CRP)의 변화와 아디포넥틴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3) 프로그램실시 전 피험자 전체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와 프로그램실시 후 이들의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비만청소년 처치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군(n=19)과 일상생활을 그대로 유지한 대조군(n=21)으로 무선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은 주 6회, 최대심박수의 55-75%의 강도로 30-60분간 걷기운동과 주 1회 60분간 행동수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에서 신체구성 항목 중 제지방량을 제외한 모든 항목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HDL-C와 CRP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그리고 두 집단간 변화량에 대한 차이비교에서 제지방량, 이완기혈압, HDL-C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디포넥틴은 집단내 및 집단간 차이비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변화량이 아디포넥틴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양식변화 프로그램이 비만여자청소년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나, 아디포넥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인자의 변화가 아디포넥틴의 변화에는 적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신체구성 및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12주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신체구성과 에너지섭취량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제지방량(p>.05)을 제외한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섭취열량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모두 p<.001)하였고, 대조군은 신체구성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p>.05)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간 차이비교에서는 제지방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섭취열량; p<.05, 그 외 p<.001)가 나타났다.
    2)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아디포넥틴의 변화
    12주 생활양식 변화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아디포넥틴의 변화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허리둘레(P<.001), WHR(P<.001), TC(p<.05), LDL-C(p<.01), TG(p<.05), TC/HDL-C(p<.05), 수축기혈압(p<.01), 이완기혈압(p<.05), 공복혈당(p<.001), 공복인슐린(p<.05), HOMA지수(p<.01), HbA1c(p<.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CRP와 HDL-C는 감소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성(p>.05)은 없었으며, 아디포넥틴은 약간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대조군은 공복혈당(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G(p<.05), CRP(p<.05)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허리둘레, WHR, TC, HDL-C, LDL-C, TC/HDL-C, 공복인슐린, HOMA지수, HbA1c, 아디포넥틴은 유의한 변화(p>.05)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간 차이비교에서는 허리둘레(p<.001), WHR(p<.01), 수축기혈압(p<.01), CRP(p<.05), TC(p<.05), LDL-C(p<.01), TG(p<.01), TC/HDL-C(p<.01), 공복혈당(p<.01), 공복인슐린(p<.05), HOMA지수(p<.05)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이완기혈압, HDL-C, HbA1c, 아디포넥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관련성
    사전 피험자 전체의 일반적 특성,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관련성을 Pe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험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구성 항목과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는 신장, 나이, 초경연령, 성숙도, 체중, 제지방량이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 경향을 보였지만 모두 유의성(p>.05)은 없었고, BMI, 체지방량, 체지방은 아디포넥틴과 양의 상관관계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성(p>.05)은 없었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아디포넥틴 간의 상관관계는 공복혈당(r=-.335, p<.05)과 TC(r=-.344, p<.05)가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는 유의한(p>.05)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후 실험군의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변화량과 아디포넥틴의 변화량 간의 관련성을 Pe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구성 변인 중 BMI(-.552, p<.05), 체지방량(-.484, p<.05), 체지방률(-.567, p<.05) 변화량이 아디포넥틴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체중 및 제지방량의 변화량 간은 유의한(p>.05)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허리둘레(r=- -.389와 WHR(r= -.397)이 아디포넥틴과 음의 상관관계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나머지 변인들과는 상관의 경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 12주 걷기운동과 행동수정을 복합한 생활양식 변화 프로그램이 비만여자 청소년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관련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는 비만과 관련하여 이제 까지 주를 이루었던 혈중지질, 신체구성, 혈압, 인슐린, 렙틴, C반응 단백질 등 개별화된 변인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최근 활발하게 연구 중인 하나의 군집으로 비만에 관련한 문제점을 연구하는 즉, 대사증후군과 비만의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추세에 동반함으로서 비만에 관련한 만성질환의 예방 및 처치에 한 발 앞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걷기운동은 비만인이라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고, 중도 탈략율이 매우 적은 운동으로서 이를 권장함으로써 비만의 개선과 함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일선 학교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2) 행동수정결과 총칼로리 섭취량이 감소하고 잘못된 식습관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서 체중조절과 함께 식생활 개선과 효과적이므로 이 또한 적극 권장해야 한다.
  • 색인어
  • 비만, 대사증후군, 아디포넥틴, 운동, 생활양식수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