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886&local_id=10016996
한․일 문화 수용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 대조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일 문화 수용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 대조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미경(한국외국어대학교& #40;글로벌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14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한일 문화수용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 대조연구」로서 한일 양국에서 최근 방영된 TV드라마를 통하여 한일 양국의 문화수용 양상과 그 영향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드라마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 비언어행동을 고찰함으로써 한일양국의 언어행동의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일간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구체적 유형 제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1) 한일 양국인의 비언어행동을 통한 감정표출의 양상은 비언어행동으로 나타나는 분노의 반응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는데 양국인의 <노>의 반응은 거의 같다고 하더라도 그 각각의 감정을 표출하는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비율편차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한.일 양국인의 <노>의 감정표출에 관한 그 특징을 보면, 한국인의 경우는 눈(시선), 폭력성을 통한 표출이 우세한 반면, 일본인의 경우는 말투, 얼굴표정, 침묵, 무시(외면), 현장이탈을 통한 표출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목소리, 몸(일부), 눈썹, 입(술), 이, 눈물, 거부적인 행위를 통한 <노>의 표출은 양국인이 비등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한.일 양국인의 성향의 차이를 잘 알 수 있다.
    2) 한․일 양국인의 어휘 선호도 및 사용실태에 대해서 품사별 분류에 의한 분석 결과, 개별 어수에 있어서는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명사류와 동사류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본어의 경우에는 한국어에 비해 형용사류와 기타(감동사)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 어휘는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작품이므로, 본고의 분석 결과는 한․일 양국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어지는 언어의 사용양상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3) 한일 양국인의 대인의식에 의한 경어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의 공통점은 직장에서의 상하관계, 공과 사, 격식과 비격식, 대화 대상자의 다소 등의 대화 장면에 대한 고려 등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특징은 화자의 심리적 판단보다는 주어진 요인에 경어행동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우선시되는 요인은 연령이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화제의 인물에 대해 언급할 때에 그가 누구 영역에 있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본어의 특징은 거래관계의 힘 또는 역할관계, 직접대화와 간접대화 등의 요인이다. 그 외에 청자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 등의 판단, 배려가 우선한다. 또한 화제의 인물의 영역은 중요한 요인이지만 이때 청자에 대한 배려 장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진다.
    4) 한일 양국인의 행동전개표현에 있어서의 지시,명령표현에 대해서는 한일양국어의 긍정의 표현과 부정의 표현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대조하였다. 일본어의 긍정의 지시, 명령표현의 경우 한국어에 있어서도 긍정의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정의 표현도 한일 양국어가 크게 다른 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어에는 명령형이나 금지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조건표현 등을 써서 완곡하게 표현하는 표현법들이 있는데 이러한 표현은 긍정의 표현과 부정의 표현으로 구별되는 한국어와는 다른 면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5) 한일 양국인의 대화 행동의 양상과 특징을 밝히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TV드라마의 대화를 자료로 화자교체, 화자의 발화와 발화량, 맞장구를 조사 분석하여 양국인의 대화행동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한국인은 화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자신의 발언내용이나 의견을 상대에게 명확히 주장하는 경우가 많고 화자와 청자의 차이를 명확히 하여 혼자서 대화를 완성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에 비해 일본인은 청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상대의 대화가 무르익도록 지원하는 일이 많고, 대화참가자 끼리 서로의 대화에 협력하여 공동으로 대화를 완성시키려고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 한일양국어는 언어행동, 비언어행동 전반에 걸쳐 많은 차이점을 보이며 각각의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 영문
  • Our study「A contrastive study of linguistic behavi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reflected in the accommodation of each culture」is a contrastive study which we deeply analyzed and closely examined the accommodation of culture, and the relation of both country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recent dramas that was on the air in Korea and Japan. Especially we would like to find the feature of linguistic behaviors between Korea and Japan, studying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behavi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dramas, moreover, we'd like to conclude concrete case regarding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t first, w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reaction of anger that caused by non linguistic behaviors among feeling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 of study is that the response of anger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lmost equal, however the methods of the feeling expressions are obviously different. Korean usually use eye contact and violence for the methods of the feeling expression. However Japanese usually used the way of talking, face looks, and silence for that. Additionally both Korean and Japanese equally used a voice, a gesture and tears for the negative response of the anger.
    Secondly, we researched and analyzed a part of speech in the preference and the actual use of the vocabulary. The result is that there are more vocabularies in relation with noun and verb in Korean than in Japan. However, there are more vocabularies in relation with adjective and exclamation in Japanese. We think that this result reflected the actual use of the language in the real life between Korea and Japan, because the vocabulary in the dramas reflect the vocabulary of the real life.
    Thirdly, the common point deciding honorific act through awareness toward the person between in Korea and Japan is the consideration of the dialog situation, high and low in the company, the official and the personal, more or less of the participants in dialog. However, Korean put more advantage in honorific act, especially the age, than in the psychological decision of speakers. And moreover, it does not matter which class a person in when people talk about the person in Korea. Japanese put more advantage in the power of business relation, the role relation, and direct-indirect conversation, and they give priority to the care and decision toward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hearer. And they also give a care for hearer, though they think the character in conversation is important.
    Fourthly, we contrasted positive expression with negative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regarding indication-order expression in behavior expression. Positive indication-order expression in Japanese appears same meaning in Korean. So negative one does. However, in Japanese euphemistic expression such as condition expression is used, instead of prohibition and order expression, in Korean, this kind of thing does not appear because Korean obviously distinguish positive expression from negative expression.
    Fifthly, we researched and analyzed turn-taking, quantity of utterance and back channel in dramas of Korea and Japan in order to find a characteristic and appearance of behavior in the dialo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 is that Korean were very active as a speaker, so that they clearly assert their own opinion. And they strongly tend to complete the dialog distinguishing speaker from hearer. However, Japanese were very active as a hearer, so that they support the dialog in order for it to go through smoothly. And they tend to complete the dialog in cooperation with participants.
    Consequently, we could find lots of difference in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behavio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clarify each fe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문화나 민족성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언어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한일양국의 TV드라마를 자료로 하여, 그 속에 사용된 언어행동(비언어행동을 포함)의 양상 및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를 통하여, 한일 양국 사이의 의식, 문화차이를 추출하여 자료로서 제시함으로서 양국의 문화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이 다섯 테마로 나누어 한․일 양언어의 양상 및 특징에 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한․일 양국인의 언어의 표현뿐만 아니라 감정표출의 표현효과를 극대화하는 얼굴표정이나 행동양상을 통해 한․일 양국인의 감정 표현의 특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드라마에 나타난 어휘의 사용빈도조사를 통해 한일양국인이 선호하는 표현은 어떠한 것인지, 선호 어휘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셋째. 한일양국인의 타인에 대한 경어행동은 비슷할 것 같지만 의외로 다른 점이 많다. 한국어에서는 예의에 기인하나 일본어는 상대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치중한 사교에 의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에게 경어행동을 하게 하는 요인에 다른 면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의식과 경어행동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넷째, 현대 사회에서는 언어표현을 적절히 사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그러한 형식적인 언어표현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상의 배려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도 한다.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도를 이해시키기 위해 언어행동을 취하며 그 행동에 의해 상대방의 표현이 실현된다. 이때 상대방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하면서 자기의 표현의도를 성취하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가 한일양국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조사하고 하였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명확히 표현하는 사람을 높이 평가한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중요시하여 애매하고 간접적인 언어표현을 선호하며,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사람을 높이 평가한다. 이로 인해 언어, 문화에 대한 가치관이 서로 다른 양국인이 대화를 할 경우 대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서로에 대한 오해를 하기 쉽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일양국인의 대화의 양상과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한.일양국인이 비언어행동으로 나타내는 감정표출 중 분노의 반응<노>에 관한 특징을 보면, 한국인의 경우는 눈(시선), 폭력성을 통한 표출이 우세한 반면, 일본인의 경우는 무시 등을 통한 표출이 우세하다. 그리고 몸(일부) 등의 거부적인 행위를 통한 <노>의 표출은 양국인이 비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한․일 양국인의 어휘 선호도는 품사별 분류에 의한 분석 결과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명사류와 동사류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본어의 경우에는 한국어에 비해 형용사류와 기타(감동사)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일 양국인의 대인의식에 의한 경어행동은 한국어의 특징은 화자의 심리적 판단보다는 연령 등의 주어진 요인에 경어행동이 좌우된다. 일본어의 특징은 청자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 배려가 우선하며 화제의 인물의 영역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넷째, 한․일 양국인의 행동전개표현에 있어서의 지시, 명령표현은 긍정표현의 경우 한국어에 있어서도 긍정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정표현도 한일 양국어가 공통점을 보이지만, 완곡하게 표현하는 일본어의 표현법은 한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한․일 양국인의 대화 행동의 양상과 특징은 한국인은 자신의 발언내용이나 의견을 상대에게 명확히 주장하는 경우가 많고 혼자서 대화를 완성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일본인은 상대의 대화가 무르익도록 지원하는 일이 많고, 대화참가자 끼리 협력하여 공동으로 대화를 완성시키려고 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한일 문화수용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 대조연구」로서 한일 양국에서 최근 방영된 TV드라마의 언어행동, 비언어행동을 고찰함으로써 한일양국의 언어행동의 특징을 밝히고 나아가 한․일간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제의 하나로서 한․일 양국인의 비언어행동을 통한 감정표출의 양상을 보았다. 감정표출 중 분노의 반응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는데 한.일 양국인의 <노>의 감정표출에 관한 그 특징을 보면, 한국인의 경우는 눈(시선), 폭력성을 통한 표출이 우세한 반면, 일본인의 경우는 말투, 무시 등을 통한 표출이 우세하다. 그리고 목소리, 몸(일부) 등의 거부적인 행위를 통한 <노>의 표출은 양국인이 비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일 양국인의 어휘 선호도는 품사별 분류에 의한 분석 결과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명사류와 동사류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본어의 경우에는 한국어에 비해 형용사류와 기타(감동사)에 속하는 어수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일 양국인의 대인의식에 의한 경어행동은 한국어의 특징은 화자의 심리적 판단보다는 연령 등의 주어진 요인에 경어행동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의 특징은 거래관계의 힘 또는 역할관계, 직접대화․간접대화 등의 요인이다. 그 외에 청자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 등의 판단, 배려가 우선한다. 또한 화제의 인물의 영역은 중요한 요인이지만 이때 청자에 대한 배려 장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진다.
    한일 양국인의 행동전개표현에 있어서의 지시, 명령표현은 일본어의 긍정의 지시, 명령표현의 경우 한국어에 있어서도 긍정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정의 표현도 한일 양국어가 공통점을 보인다. 명령형이나 금지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완곡하게 표현하는 일본어의 표현법은 한국어와는 다른 면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일 양국인의 대화 행동의 양상과 특징은 한국인은 화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자신의 발언내용이나 의견을 상대에게 명확히 주장하는 경우가 많고 화자와 청자의 차이를 명확히 하여 혼자서 대화를 완성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에 비해 일본인은 청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상대의 대화가 무르익도록 지원하는 일이 많고, 대화참가자 끼리 서로의 대화에 협력하여 공동으로 대화를 완성시키려고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처럼 한일양국어의 언어행동, 비언어행동의 특징을 밝힐 수 있었으며 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드라마에 나타나는 이러한 양국인의 언어행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금후의 한일 양국의 언어표현 대조연구는 물론 양국의 문화를 기조로 하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한일 양국의 문화수용에 나타난 한국인과 일본인의 언어행동의 차이를 밝힌 이러한 결과는 한․일간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구체적 유형 제시가 될 것이며 아울러 양국인의 언어행동의 상호이해의 장을 여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한․일 양국의 학술 교류 차원만이 아니라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국제화 시대에 이문화를 이해하고 우리문화의 국제화를 구축하는 하나의 기준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양국인의 문화와 서로의 가슴 깊은 곳에 있는 내면적인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한․일간의 진정한 양국의 문화수용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우리 문화를 세계화하는 데도 일조를 할 것이라고 사려된다.
  • 색인어
  • 한일드라마,한일양국어,대조연구,언어행동,비언어행동,감정표현,이문화 커뮤니케이션,행동양식,화, 발생,억제,분출,표정,음조,시선,침묵,신체적 반응,행동적 반응,,전체어수,개별어수,연어수,이어수,의미분야별구조분석,분류어휘표,유의차,단위,경어행동,배려,대인의식,상하,친소,은혜,간접대화,심리적 거리감,화제의 인물,정중체,청자경어,제3자경어,격식,품위유지,행동전개표현,명령,지시,긍정,부정,대화행동,화자교체,발화량,맞장구,화자,청자,상호작용,자기선택,타자선택,대화의 중복,협력형,강제형,종료간주형,끼어들기,동시발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