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66&local_id=10016644
중국 江南지역 明淸代 문화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 江南지역 明淸代 문화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석환(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4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은 중국 명청대 강남지역의 문예와 문화후원시스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강 중하류 삼각주 지역에 형성된 ‘江南’지역 문화는 南宋 이후 줄곧 중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고, 특히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예술과 문학의 분야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陽明學과 같은 새로운 사상이 유행함에 따라 실용적인 지식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정신이 고양되었고, 문화 각 방면에서 자유롭고 독창적인 정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예술분야에서는 전통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작품들이 양산되고, 자의식이 강한 낭만적인 문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에 필적하는 이러한 明末의 ‘문예부흥’에는 왕실의 행정적인 후원과 경제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부유한 상인, 문예작품의 감정 수집가, 사대부 혹은 관리들의 호의적인 협력이 있었다. ‘상업자본’이 형성되고 ‘시장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한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더욱 중요한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후원들이 하나의 사회시스템의 형태로 나타나 명청대의 문학예술 및 학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즉 명청대의 예술과 문학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 구성요소들, 연극(戱班), 회화, 원림의 세 문예 장르와 그 문예의 발생 흥성의 환경요소라 할 수 있는 ‘문인결사’와 ‘도서출판’ 등에 대하여 상업자본의 후원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났고, 그것들이 상호작용이 안정된 패턴을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명청 시대 강남 지역으로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으로 명칭하고, 명청대 문화 후원의 형태,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 환경 변화 양상 등을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다.
    첫째, 강남지역 명청대 문화 후원은, 서구 르네상스 시대 王公이나 귀족 또는 가톨릭 성당에 의한 후원예술 후원(art patronage)과 달리 훨씬 더 다양하면서 복잡한 후원형태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동일한 후원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여러 장르에 걸쳐 후원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원림소유자가 원림경영 뿐 아니라 장서, 서화 감정 및 수집, 시서화 창작, 가반활동, 문인결사·문인 雅集을 두루 지원하는 형태를 띤다. 더 나아가 창작자-유통자-소비자가 혼재된 후원 양상은 매우 독특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만의 독특한 후원시스템을 확인하였고, 특히 ‘문인사단’이 행사한 문화적 권력의 본질을 밝히는데 노력하였다.
    둘째,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후원이란, 후원자와 피후원자간에 형식상 주종관계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호혜적 관계, 때로는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협력 또는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후원관계가 예술가 또는 문학가의 생계를 보장하는 경제적 관계임과 동시에 피후원자의 사회적 관계 및 정신세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후원시스템이 예술가 및 문학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 상태에 미친 영향이 무엇이며, 후원자의 이익과 취향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환경 변화 양상을 살폈다. 유럽에서 르네상스 이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강남지역에서도 예술과 문학 방면에서 상업화가 촉진되고 문예 출판이 활발해졌는데, 그 결과 문예의 소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이 바로 소비자 후원자(consumer-patron)임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started from a hypothesis that these patronage assumed a form of a kind of social system and played a decisive rol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art and learning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Namely, we cam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layed as an important dynamic force of art and literatur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three literary genres, namely, drama, painting and garden and the social and literary gathering of literati and publication which might be the environmental elements for the occurrence and flourish of these literary activities had received for a long time the patronage of commercial capital. We also came to confirm that the interplay of all of them showed a stable pattern.
    The study designated the interplay as the patronage system in the region of Jiangnan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explained the pattern of cultural patronage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patronage system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ion of art and literature, the emergence of businessmen in the late Ming and the change of patronage system brought by the market economy,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environment of production of art and literature as below:
    First, the cultural patronage in the Jiangnan region of Ming and Qing dynasties showed much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patronage patterns than that of the nobilities and Catholic church in the Renaissance in Europe. Namely, the patronage in China assumed the pattern that the same patron at the same place supported many genres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 patronage of the owner of a garden reached in various parts such as the management of garden, the collection of books, the collection and connoisseurship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 creation of poetry and painting, the activity of family theatrical troupes, the social and literary gathering of literati. Furthermore, the patronage aspects combining the creator, the circulator and the consumer might be a very unique example. Therefore, the study has tried to confirm the patronage system uniquely showing in China, especially, the nature of the cultural power played by the literati group.
    Second, we has sought to find the patronage system and its relationship with art and literature.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here was some formal relation between master and servant in between the patron and the recipients, in practice, reciprocity and sometimes tension and conflict might be happened. The reason why cooperation or conflict existed is because the patronage relation was that of economic relation which guaranteed the livelihood of artist and literary man and at the same time that of psychological relation which influenced the social relation and spiritual world between the patron and the recipient. The study has considered the fact that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patronage system on the social relation and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artist and literary man and how the benefit and taste of patron reflect.
    Thirdly, we have examined the emergence of businessmen in late Ming, the change of patronage system the market economy brought, and the resultant changing aspect of production environment of art and literature. The commercialization in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was accelerated and the literary publication was active in the Jiangnan area, which phenomenon was comparabe to the Renaissance in Europe in the seventeenth-century. The new form of patron came to emerge as the result and we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very consumer-patr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팀은 중국 명청대 강남지역의 문예와 문화후원시스템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장강 중하류 삼각주 지역에 형성된 ‘江南’지역 문화는 南宋 이후 줄곧 중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고, 특히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예술과 문학의 분야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陽明學과 같은 새로운 사상이 유행함에 따라 실용적인 지식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정신이 고양되었고, 문화 각 방면에서 자유롭고 독창적인 정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예술분야에서는 전통에 도전하는 창의적인 작품들이 양산되고, 자의식이 강한 낭만적인 문학이 크게 발전하였다.
    유럽의 르네상스에 필적하는 이러한 明末의 ‘문예부흥’에는 왕실의 행정적인 후원과 경제적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부유한 상인, 문예작품의 감정 수집가, 사대부 혹은 관리들의 호의적인 협력이 있었다. ‘상업자본’이 형성되고 ‘시장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한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더욱 중요한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후원들이 하나의 사회시스템의 형태로 나타나 명청대의 문학예술 및 학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즉 명청대의 예술과 문학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 구성요소들, 연극(戱班), 회화, 원림의 세 문예 장르와 그 문예의 발생 흥성의 환경요소라 할 수 있는 ‘문인결사’와 ‘도서출판’ 등에 대하여 상업자본의 후원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났고, 그것들이 상호작용이 안정된 패턴을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명청 시대 강남 지역으로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으로 명칭하고, 명청대 문화 후원의 형태,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 환경 변화 양상 등을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다.
    첫째, 강남지역 명청대 문화 후원은, 서구 르네상스 시대 王公이나 귀족 또는 가톨릭 성당에 의한 후원예술 후원(art patronage)과 달리 훨씬 더 다양하면서 복잡한 후원형태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동일한 후원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여러 장르에 걸쳐 후원을 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원림소유자가 원림경영 뿐 아니라 장서, 서화 감정 및 수집, 시서화 창작, 가반활동, 문인결사·문인 雅集을 두루 지원하는 형태를 띤다. 더 나아가 창작자-유통자-소비자가 혼재된 후원 양상은 매우 독특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국만의 독특한 후원시스템을 확인하였고, 특히 ‘문인사단’이 행사한 문화적 권력의 본질을 밝히는데 노력하였다.
    둘째, 후원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산된 예술 및 문학작품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후원이란, 후원자와 피후원자간에 형식상 주종관계에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호혜적 관계, 때로는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협력 또는 갈등이 존재하는 것은, 후원관계가 예술가 또는 문학가의 생계를 보장하는 경제적 관계임과 동시에 피후원자의 사회적 관계 및 정신세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관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후원시스템이 예술가 및 문학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 상태에 미친 영향이 무엇이며, 후원자의 이익과 취향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셋째, 명말 상공인의 출현과 시장경제가 가져온 후원시스템의 변화, 그리고 그로 인한 예술과 문학의 생산환경 변화 양상을 살폈다. 유럽에서 르네상스 이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강남지역에서도 예술과 문학 방면에서 상업화가 촉진되고 문예 출판이 활발해졌는데, 그 결과 문예의 소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후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이 바로 소비자 후원자(consumer-patron)임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은 2년간의 연구수행 결과로 20여편의 학술연구논문을 발표하였고, 6권의 학술총서 발행을 준비하고 있으며, 4종의 자료집 제작을 준비하고 있다. 학술총서는 '문인결사와 문화권력' '원림문화와 후원시스템' '극단활동과 후원양상' '출판시장과 문예유통' '회화후원과 그 관련 화파의 특징' 등 5권의 출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료집은 '문인후원록' '장서루록' '서방록' '원림문예록' 등 네 부문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정리할 것이다.
    이 연구 성과는 서구 르네상스 시기의 것과는 달리 중국 특유의 후원시스템의 면모를 보여줄 것이며, 상업자본과 문예의 상호 관계에 대한 규명 및 중국 문화에 대한 전면적인 시각의 전환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명청대 강남 후원시스템을 연구할 후속세대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이 이 시기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의 지역문화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뿐 아리라, 중국지역문화의 교과과정의 개발과 차세대 문화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리라 생각된다.
  • 색인어
  • 후원시스템(Patronage System), 강남지역, 후원자, 피후원자, 예술 후원, 후원시스템, 문화권력, 상업화, 문예 소비자, 문인결사, 출판, 연극, 회화, 원림, 아집, 장서가, 극단,가반, 서화 수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