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68&local_id=10017554
유럽 5 개국에 있어서 한국의 문화 브랜드 가치 및 국가 이미지 수립을 위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럽 5 개국에 있어서 한국의 문화 브랜드 가치 및 국가 이미지 수립을 위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성도(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46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기호학 및 문화 이론 분야에서 축적된 다양한 문화 분석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잠재력을 국가 이미지 수립의 관점에서 새롭게 발굴 및 극대화하여 창의적 문화 브랜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말하자면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는 유럽의 주요 국가들에 호소할 수 있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문화적 코드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문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럽 5 개국(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러시아)을 대상으로 개별 국가들의 문화적 전통과 감수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아비투스와 공명할 수 있는 창의적인 한국의 문화 브랜드 가치들을 발굴하며, 나아가 한국의 문화 브랜드 제고를 위한 전략적 차원의 세부 과제와 행동 지침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3단계의 전략적 절차를 밟았다.1단계는 유럽 5개국에서 한국문화 관련 기초자료 수집 단계, 2단계는 기호학적 기반의 심화분석 단계, 3단계는 창의적인 한국 문화브랜드 개발 단계('OCB모델'자체 개발)로 요약될 수 있다. 단계별 연구내용을 보면, 1단계에서는 유럽 5개국의 문화 속에 투영된 한국 문화브랜드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 조사 및 미디어 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표본영역으로는 해당국의 ‘교과서’, ‘미디어’, ‘인터넷매체’를 중심으로 했으며, 이 3개 매체의 자료 수집 및 조사 방법은 ‘현장조사’와 ‘미디어조사’를 병행했다. 2단계에서는 기호학 및 문화 이론에 기반을 둔 학제간 성격의 다양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기초 자료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유럽 5개국에서 한국의 문화이미지 지형을 그려보고 가치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일차적으로 ‘비교 문화론적 현장조사 관찰법’과 ‘사회과학적 내용분석 방법론’을 통해 정량적이고 기술적인 기초 분석을 행한 후, ‘기호학적 방법론’, ‘텍스트분석 방법론’, ‘내러티브 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질적 심화 분석을 행함으로써 한국 문화브랜드 및 국가이미지 가치표준 지형도(Mapping)를 도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한국의 심층 문화 코드를 도출하고 독창적인 서사구조를 개발하여, 창의적인 한국의 문화브랜드를 제안하고 유럽 각국의 지역적 차별성에 기초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고자 했다. 최종 단계는 다시 다음과 같은 세부적 실천영역으로 진행했다. 첫째 유럽 5개국에서의 한국문화 이미지 지형도를 강화영역과 보강영역으로 이원화해서 그것을 토대로 유럽 5개국의 문화적 전통과 감수성에 따라 차별화된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문화 브랜드 가치를 정립하여, 한국의 보편적 문화 자질과 심층 문화 코드를 토대로 한 ‘한국 문화브랜드 핵심 개념’을 도출했다. 둘째, 도출된 문화브랜드 핵심개념을 형상화할 수 있는 창의적인 ‘문화 브랜드 형상화 전략’을 구상하고 독창적인 ‘서사구조(내러티브)’를 개발했다. 아울러 문화영역별 핵심 전략을 위한 모델링을 시도했다. 그리고 마지막엔 유럽 5개국의 문화코드를 감안해서 (영국은 한국 영화, 프랑스는 한국문학, 독일은 한글을 중심으로 한 전통문화, 스페인은 한국음식 그리고, 러시아는 한국의 경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문화브랜드 개념을 유럽 5개국에 효과적으로 파급시킬 수 있는 맞춤형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기호학 및 문화 이론에 기반을 둔 다양한 방법론들의 통합을 통해 ‘OCB (Optimal Cultural Brand) 모델’이라고 하는 한국 문화브랜드의 ‘기호학적 정성평가 모델’을 개발해냈는데, 이는 문화브랜드 이미지뿐만 아니라 향후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적 패러다임을 창출하는데 크게 일조할 것이라 생각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maximize the cultural potential of Korea to establish the national image and show initiative cultural brand strategy by utilizing various cultural analyzing methodology that are accumulated from the field of semiology and culture theory. In other words, we intend to find national image and cultural code of Korea and appeal to Europe's major countries that attach much importance to cultural tradition. By this, we hope to construct an efficient and differentiated cultural bran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country's competitive power.
    In this study, we set the subject to 5 countries of Europe(Britain, Germany, France, Spain, Russia) and tried to grasp the individual country's cultural tradition and sensibility. This way, we try to find an intiniative cultural brand value of Korea that can sympathize with their culture, and derive to a detailed strategic task and carry out plan to promote a cultural brand of Korea.
    For this, we have went through 3 strategic steps. In summary, the first was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in the five European countries, the second was analyzing the details on the base of semiology, and the last was developing an initiative cultural brand of Korea(inventing an 'OCB model' on our own).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we have built a database of related data from on-the-spot survey and media research to understand recent trend of Korean cultural brand that is reflected in the 5 European countries. For sampling we mainly referred to the country's textbooks, media, and the internet, and we used on-the-spot survey and media research to gather the materials. In the second step we analyzed the basic information more thoroughly with various methods that are based on semiology and culture theory. From this we intended to draw a mapping of Korea's culture image and present a value assesment model. Firstly, we took a basic quantitative and technical analysis by using 'comparative cultural on-the spot observation' and 'social science based substance analyzing method'. Then, we took a deeper analysis in quality by using 'semiological methodology', 'text-based analyzing method' and 'narrative analyzing method', and thus deduced to cultural brand and national image value-standard mapping of Korea. Lastly, in the third step we set the cultural code of Korea and an original narrative structure. We focused on presenting Korea's own culture brand and developing a communication strategy that are based in regional differences of the European countries. The final step was put into practice as the following. First, we divided Korea's cultural image mapping in 5 European countries into 'strengthening area' and 'reinforcing area'. With this we set an unique national image and cultural brand value of Korea according to the 5 countries' cultural tradition and sensibility, and came up with 'Korean cultural brand's core concept'. Second, we formulated a creative 'Culture brand shaping plan' that can show the core concept of the cultural brand and invented an original 'Narrative'. Moreover we tried out a modeling for culture-sector core strategy. Lastly we worked on developing a communications strategy that can help spreading Korea's cultural brand concept to the five European countri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ulture code of the countries(Korean movies for Britain, Korean literature for France, traditional Hangul culture for Germany, traditional dish of Korea for Spain and Korean landscape for Russia).
    With this study, we have invented an 'OCB(Optimal Cultural Brand) Model', a 'semiological valuation model' of Korea's cultural brand, by combining various methodology that are based on semiology and cultural theories. We believe that this will not only contribute to improving our cultural brand image, but also help create a new methodological paradigm that can strengthen the nation's competitive pow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에서 축적된 다양한 문화 분석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잠재력을 국가이미지 수립의 관점에서 새롭게 발굴하고 극대화하고 효과적인 문화브랜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이 같은 과제의 수행을 위해 연구자들은, 일차적으로 유럽 5개국(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러시아)에서 수집된,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언론ㆍ미디어 자료, 각급 교육 기관의 교과서, 각국 공공기관의 웹 사이트 등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수용 현황을 평가하였다.
    2차년에는 이러한 1차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과 문화 코드를 추출하고, 나아가 유럽 5개국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하는 체계적이고 일관된 장기적 비전의 문화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① 영국에서 한국 문화브랜드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중점적인 강화영역은 영화로 도출되었다. 전통문화에 대한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가 부재한 가운데 최근 그나마 영국인의 문화적 관심을 끌고 있는 영역이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국인의 가장 핵심적인 문화적 감수성은 전통에 대한 존경과 경험적 현실성의 존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국 영화는 그러한 문화적 감수성과 무관하지 않은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국의 영화적 전통과 감수성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한국의 영화 브랜딩 전략으로 전통적인 문화의 품격을 유지하면서, 한국 현실의 영화적 알레고리를 표현할 수 있는 작가주의적 성향의 영화를 제안하게 되었다.
    ② 프랑스의 경우 한국 문화이미지에서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예술성’이었다. 따라서 한국은 프랑스의 문화적 감수성에 호소하고 기대에 부응하는 한국 문화이미지의 핵심 코드로서 ‘예술성artistic value’을 상정하고,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특히 OCB 모델을 토대로, 프랑스에서의 한국문학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삼각형 모델, 즉 ‘소개Extro', '유입Intro', '교류Exchange'에 토대를 둔 ‘수용 및 재창조Reception & Recreation' 모델을 제기해 보았다. 이는 문화 간 교류 프로그램에서 문학과 영화, 문학과 공연 등과 같은 통합형 문화브랜드의 추진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③ 독일의 경우는 한국의 전통 문화 예술, 특히 한글이 한국의 문화브랜드 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의 중심 대상이 되었다. 이를 위한 주된 작업 가설은 전통 문화별 맞춤형 서사Storytelling 전략과 한글 재코드화를 통한 브랜딩 전략이었다. 이는 우리민족의 삶의 보편 문법이자 문화적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전통 문화를 서사의 틀로 들여다봄으로써 향후 외국인들과 교감할 수 있는 핵심적인 문화 코드를 재구성해내자는 의도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 한글을 내세웠다. 여기에는 한글이 우리의 고유 사상인 한사상의 기호 작용을 온전히 담지하고 있다는 내재적인 이유 외에도, 타자에 의한 인정 및 평가 척도가 이미 어느 정도 보편화 되어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다.
    ④ 스페인의 경우는 ‘한국음식’(Food)이 문화브랜드 전략의 중심 대상이 되었다. 디지털화된 오늘날 모든 것을 인터넷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하여도 채울 수 없는 것이 입으로 씹어 미각으로 만나게 되는 문화영역이 ‘음식’(Food)이라고 볼 때 한국음식의 문화브랜드로서의 가능성은 실로 거대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스페인은 ‘한국음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천지인 합일 사상이라는 역사적 사상적 맥락 위에 형성된 한식의 기호론을 우주론(음양론, 오행론), 자연론(신토불이, 풍류도), 인간론(홍익인간, 약식동원)으로 체계적으로 설명하였고 재료와 양념의 ‘섞임’과 ‘발효’를 통해 제3의 맛이 창조되는 상승효과 즉 ‘시너지즘’(Synergism)을 한식의 심층코드로 보았다.
    ⑤ 러시아는, 특별히 한국의 경관에 관한 분석을 정밀히 수행하였다. 경관은 자연 환경에 인간의 다양한 문화 활동이 장기간의 집적된 과정을 통하여 여러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었고, 따라서 경관을 크게 Hardware(물질)와 Software(정신)로 나누어 퍼스의 삼부모형과 경관의 유비를 하였다. 이 후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변형에 기대어 경관의 기호학적 사변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제시된 사변형에 따라 한․중․일의 경관 포지셔닝과 경관의 주요한 세부 요소인 건축물의 포지셔닝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 한국 경관의 관광화와 차별화를 위한 전제 요건을 추출하였다.

    우리는 대외적인 국가이미지 수립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문화브랜드 제고 전략을 생각해 보고, 여기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국가이미지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I. 학문적 결과 활용방안

    본 연구가 학문적으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전통적인 분과 학문 속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이론들과 방법론들 간의 긴밀한 학제성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인문학 이론들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넘어서 학문 상호간의 소통 연구의 모범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1차년도 연구에서 구축한 기호학기반의 인문학적 정성평가 모델은 문화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적 패러다임으로서 향후 기타 다른 문화권의 문화 연구나 관련 연구에 적용하여 연속적이고 생산적인 연구 결과물을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1차년도의 연구 성과에서가 보여주듯이 본 연구가 기대고 있는 기호학기반의 학제적 접근방법론은 기존의 고답적이고 사변적인 문화 해석이나 순수 이론적 담론과는 달리 국가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이며 창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창발적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최적의 문화브랜드(Optimal Cultural Brand)>라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연산법((ET1+ET2)☓AT/ (OT1+OT2)/NT=OCB)은 향후 다양한 문화 관련 논증을 보다 구체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II. 사회적 결과 활용방안

    문화적 차원의 국가브랜드 이미지는 사람들의 인지 및 심상과 관계되는 심미적 상징 가치로서 순수창작과 지식에 기반을 두는 고부가가치의 무형적 자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갖는 사회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독창적인 문화브랜드를 개발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사회의 유형자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산업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라는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연구결과의 모든 성과물들을 토대로 구축된 DB는 향후 한국의 문화브랜드 와 관련해서 일종의 ‘정보뱅크’ 마련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산-학 연계차원에서 기업의 이미지전략수립, 브랜드가치설정, 마케팅 및 소비자 조사 등의 분야에서 매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도 본 연구과제는 유럽 각국에 대한 한국의 문화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에 중요한 방법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유럽에서 제공되는 언론매체, 인터넷 사이트, 교과서 등에 대한 모니터링작업을 통해 한국 관련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문화브랜드 이미지를 소개 및 재현하는데 본 연구과제의 방법론 및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넷째, 기호학기반의 학제적 접근방법론에 기초한 한국의 문화브랜드 전략의 ‘프레임웍’이 성공적으로 작동될 경우, 유럽 문화권 뿐 만아니라 동아시아, 미국, 남미 등 세계의 다른 문화권에서도 공명(共鳴)될 수 있는, 명실상부한 한국의 국가이미지 전략의 ‘로드맵’을 완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III, 교육적 활용방안

    본 연구가 교육과 연계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내외적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함은 물론 '문화기호학과 한국적 문화브랜드 이미지’ 혹은 '문화브랜드 개발을 위한 기호학기반의 학제적 방법론' 등의 문화 전문 강좌를 대학에 개설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교과서나 해외의 교과서에 실린 한국의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여, 해당국의 문화의식에 효과적으로 호소할 수 있는 한국의 문화브랜드 이미지를 개발,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들 국가의 학문 후세대들에게 한국의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색인어
  • 유럽, 문화브랜드, 국가이미지, 기호학, 학제적 접근, 문화적 특수성, 한국이미지, 역사적 표상,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러시아, 미디어, 교과서, 인터넷, 문화, 범주화, 모델링, 가중치 모델, 포지셔닝, 전통문화유산, 자연경관, 현대예술, 영화, 인물, 민족성, 한국문화 핵심코드, 한국문화 심층코드, 강화영역, 보강영역, 한국 브랜드 이미지 플래닝 모델, 한국 국가브랜드 이미지 평가 모델, 한국 국가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 문화홍보, 커뮤니케이션, 최적의 문화브랜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