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69&local_id=10017186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창우(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4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연구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능력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독어학, 국어학,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독어학 분야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대화분석 연구 결과를 의사소통의 한 영역인 의료분야에 적용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을 학술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교육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분야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증적 연구 자료를 구축하여 관련 있는 후속 연구에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이 연구가 추구하는 학술적 목표이기도 하다. 실용적 차원의 연구 목표와 관련하여 독어학 연구는 독어학 연구의 가치를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서 다른 연구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정초를 세우는 것이다. 의료 관련 연구분야의 실용적 목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 및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료인의 의사소통적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도 의료관련 연구 분야의 실용적 목표이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용적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3년 동안 순차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차 년도에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적 연구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개념규정과 대화유형학을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이란 연구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였으며, 개별 연구과제의 연구대상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유형에 대한 원형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제 2차 년도에서는 제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이론과 방법론 및 자료 그리고 대화의 원형을 통해서 실제로 수행된 다양한 의료 대화를 분석해 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료인들의 대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하였다. 제 3차년도 연구에서는 제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의 평가와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설정과 교육 방법론을 살펴보았고, 대화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교육 프로그램은 그 동안 의료 관련학회에서 4회에 걸쳐서 진행된 워크숍과 각종 학회의 연구 발표를 통해서 그 타당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교과목 개발’ 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고, 또 다른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 영문
  •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medical communication at which the researcher from the linguistics, medicine, nurse science and family therapy participated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typology, structure and progress pattern of the medical and therapy communication. The another purpose of this research ist the improving the competence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To understand and to improve the medical communication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linguistical dialog analysis adopted.
    In the first research year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es were established for the achievement of the academical and practical purposes. For the databases authentic medical communication was filmed and transcribed. Starting from the theory and method bases and databases we have defined the terms which relate with the medical communication and classified the various types of medical communication. And the structure and typical pattern of the some important types of medical communication were reconstructed.
    In the second research year we have analysed various authentic dialogs on the bases of the reconstructed and found out and classified the problems in the performing the medical communication.
    In the third research year the criteria were established for the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We have also considered concretely how we can mak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practitioner better.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basis of dialog analysis can be applicable and very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연구와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능력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독어학, 국어학,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독어학 분야에서는 그 동안 축적된 대화분석 연구 결과를 의사소통의 한 영역인 의료분야에 적용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을 학술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의료분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교육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분야 사이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증적 연구 자료를 구축하여 관련 있는 후속 연구에 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이 연구가 추구하는 학술적 목표이기도 하다. 실용적 차원의 연구 목표와 관련하여 독어학 연구는 독어학 연구의 가치를 확대재생산함으로써 사회적 위상을 제고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서 다른 연구분야와의 학제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정초를 세우는 것이다. 의료 관련 연구분야의 실용적 목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체적이고 세부적인 이해 및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료인의 의사소통적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도 의료관련 연구 분야의 실용적 목표이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용적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3년 동안 순차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차 년도에서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적 연구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개념규정과 대화유형학을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이란 연구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였으며, 개별 연구과제의 연구대상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유형에 대한 원형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제 2차 년도에서는 제 1차년도의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이론과 방법론 및 자료 그리고 대화의 원형을 통해서 실제로 수행된 다양한 의료 대화를 분석해 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료인들의 대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하였다. 제 3차년도 연구에서는 제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의 평가와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 설정과 교육 방법론을 살펴보았고, 대화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교육 프로그램은 그 동안 의료 관련학회에서 4회에 걸쳐서 진행된 워크숍과 각종 학회의 연구 발표를 통해서 그 타당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교과목 개발’ 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고, 또 다른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의료인들의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서 독어학 연구의 한 분파인 대화분석 연구가 다양한 사회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이해와 그것의 능력 개선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서 그동안 학제적이고 실용적인 가치를 충분히 부여받지 못하였던 독어학 연구의 사회적 위상과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음이 밝혀졌고 더 나아가서 인문학 연구의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 프로젝트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수립한 점과 동영상과 전사 자료로 이루어진 방대한 분량의 실증적 분석 자료가 구축되었다는 점도 본 연구 프로젝트의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성과로 꼽을 수 있는 점은 연구 대상에 대한 개념적이고 유형학적인 규정을 통해서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한 점이다. 의료 대화의 전형적인 구조와 전개과정 그리고 대화 수행의 규범 등이 기준이 되는 평가표를 바탕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수행의 질적 평가와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점도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이 평소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작동원리와 전체적인 진행과정을 이해하고 조망할 수 있고, 원활한 의사소통의 진행과정과 결과에 대한 예측과 커뮤니케이션을 준비하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의료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발견하고 체계화함으로써 한국인의 의료 상황에 적합한 교육방법과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데에도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일부는 이미 의과대학에서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강의로 활용되고 있고, 각종 학회의 워크숍과 강연을 통해서 의과대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의과대학의 교원들에게 교과목 개발과 교수법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와 후속 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개업의와 수련의 등이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도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대화분석, 의사소통, 의사소통 교육, 의료 커뮤니케이션, 학제간 연구, 의사 환자의 대화, 진료실 대화, 간호사 환자 대화, 좋지 않은 병명 통고 대화, 암성 통증 관련 대화, 가족치료, 상담대화 Dialoganalyse, Kommunikation, Kommunikationstraining, medizinische Kommunikation, Interdisziplinaere Forschung, Arzt-Patient-Gespraech, Pfleger-Patient-Gespraech, Familientherapie, Beratungsgespraech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