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70&local_id=10013255
독일 생태공동체의 비판적 적용을 통한 한국형 생태공동체의 모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독일 생태공동체의 비판적 적용을 통한 한국형 생태공동체의 모델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국중광(한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5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크게 3과제로 나뉘어져 있으며, 개별 과제에 따라 3-4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생태공동체의 운영모델을 연구하는 첫째 과제의 세부 1과제인「갈등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비폭력적 커뮤니케이션」은 현대사회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사소통이 생태공동체의 공동체적 성격을 유지하는데 역시 아주 중요하다는 관점하에 한국 생태공동체들의 구성원간 의사소통 모델을 분석 조사하는 동시에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 생태공동체내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학습 가능성을 모델화하려고 시도한다. 세부 2과제인 「한국 생태공동체에서의 노동」은 돌봄, 협력, 보전, 유대강화, 지속 가능성을 담보로 하는 생태공동체야 말로 21세기의 대안 사회일 수 있다고 판단한 연구자는 한국 생태공동체에서의 노동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조사, 분석한다. 그 결과 노동을 통한 공동체의 발전 가능성과 공동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세부 3과제인「생태공동체 경제」는 생태공동체는 지속가능한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연구자는 판단하고 구체적으로 생태공동체가 실시하는 지속가능한 사업의 종류, 생산과정의 경제적,생태적 효율성, 생산물 유통의 지속가능성의 문제와 생태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천착해서 생태공동체의 운영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세부과제 4인「생태공동체의 에너지활용 및 제로웨이스트」에서 연구자는 녹색대학에서의 체험과 주변 생태공동체의 사례들을 에너지 자립을 시도하는 다른 외국의 공동체들과 비교해서 생태건축과 대안 에너지 생산 문제 등을 조사,분석한다. 또한 생태 친화적 에너지 생산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인 절약정신으로 에너지 자체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쓰레기 없는 공동체와 사회가 더 중요함을 강조한다. 2과제인 "생태공동체의 교육 문화 모델"의 첫 번째 세부주제인 「한국 생태공동체의 체험학습의 실태와 발전방안」은 생태공동체내에서의 체험학습이 생태공동체 운동의 확산을 위해 중요하다는 판단하에, 외부사람들의 생태공동체 방문과 체험으로 공동체의 가치와 생활양식을 홍보할 수 있고, 체험학습으로 생태공동체와 외부세계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생태공동체의 운용과 재생산에도 일정한 경제적 보완수단일 수 있다는 실질적 의미를 지적한다. 세부2과제인「생태공동체의 생활교육」은 생태적 삶을 산다는 것은 기존 삶의 의미, 목표, 방법 등을 철저히 부정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보할 수 있는 개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 추동하는 적극적이며 현실적인 삶의 변환을 의미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이 연구는 한국형 생태공동체의 참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예부터 꾸준히 전해 내려온 그러나 지금은 거의 망각된 진정한 생태적 삶에서 찾으려고 시도한다. 세부 3과제인「문화활용을 통한 생태적인 마을 만들기」은 지역생활문화를 활성화하여 고유문화 아이템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문화활용’에 관한 지식과 운영시스템이 절실하다는 판단하에 실제 방문한 공동체들을 조사,분석해서 한국의 토색적 생태의식을 간직한 한국형 문화활용의 가치와 목표, 역할을 밝혀 바람직한 ‘생태공동체 만들기’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3과제인 "생태공동체의 확산 방안"의 세부 1과제인 「생태공동체와 지역사회와의 공존방안」은 생태공동체가 지역운동이 되어야 하는 이유, 한국 지역사회의 현실, 한국 생태공동체와 지역사회의 공존의 현실 등이 조사,분석되고, 이 분석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의 공생방안을 위한 조건들과 지역사회와 공존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생태공동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세부 2과제「한국 생태공동체의 네트워크화」은 기존 사회 간접망 투자에 근거한 지역발전 이론에서 사회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네트워크이론을 통해 생태공동체에서의 의사결정 및 전략 수립의 주체와 특정한 형태의 인프라, 즉 물적 기반, 지식 및 노하우등 사회적 요소와 함께 여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집단적 학습과 능력을 자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관행과 제도를 마련하려고 시도한다. 세부 3과제인 「생태공동체 확산을 위한 기반제도」는 사회적 변화의 폭과 깊이를 담아내는 사회적 기반제도를 조사,분석하여 생태공동체의 발전과 확대를 위한 요소와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부록」은 현재 국내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40여개의 공동체들의 설립목적 및 운영방향 등에 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더불어 주요 공동체 연구기관들에 대한 현황을 제시하고 있다.
  • 영문
  • Study of Korean Eco-community Model through the Critical Application of German Eco-community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ubject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to four detailed subjects respectively. The first major subject, "Operating Model of Eco-community," has four detailed subjects. Its first detailed subject, "Nonviolent Communication as a means of resolving conflicts," emphasize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udies and analyzes communication models among community members, on the base of which modelling the capability of acquiring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Eco-community is to be studied. The second detailed subject, "Labor in Korean Eco-community," argues that eco-community as a 21th alternative society be secured of such basic qualities as care, cooperation, preservation, continuity, studying and analyzing in what way labor in Korean eco-communities has been done, on the result of which way of developing and consolidating community through labor is to be studied. The third detailed subject, "Eco-community Economy," lays the most basic and primal emphasis in eco-community economy on continuity, studying the sorts of continuable business, their possibility of continuity in product distribution and the economic and ecological efficiency in the producing process. The fourth detailed subject, "Energy Utilization in Eco-community and Zero-waste," compares concrete examples of Green College and other Korean eco-communities trying to become independent of energy with those of foreign eco-communities, studying and analyzing the problems concerning ecological building and alternative energy.

    The second major subject, "Education Culture model in Eco-community" has three detailed subjects. Its first detailed subject, "the Realities of Personal Experience Study in Korean Eco-community and Way of its Development," describes the importance and advantage of personal experience study that eco-community provides in many ways. By way of outsiders' visiting eco-community and experiencing various programs eco-community provides, eco-community makes widely known the value of the ecological life styles and extends and solidifies network with the outside world, also bringing additionally financial help for operating the community. The second detailed subject, "Living Education in Eco-community," tries to find out the true face of Korean eco-community in the continually and traditionally handed down but now nearly forgotten ecological life in this country, Korea. The third detailed subject, "the Making of Eco-village through Cultural Utilization," studies the value and role of the utilization of Korean culture to play of making a desirable eco-community.

    The third major subject, "Way of Spreading Eco-community" has three detailed subjects. Its first detailed subject, "Way of Coexistence of Eco-community with Local society," makes a definition of what local society is in Korea in view of where eco-community should be located, studying the various ways of economical, cultural, ecological coexistence with the local society surrounding the eco-community. The second detailed subject, "the Networking of Korean Eco-community," tries to apply the network theory for social development based on socially indirect investment to the construction of eco-community. The third detailed subject, "the Basic System for Spreading Eco-community," studies and analyzes the social systems to make more easier and efficient the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spread of eco-commun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형 생태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는 다음가 같이 3과제로 나뉘어 진행된다.
    세부1과제인 생태공동체 운영모델은 생태공동체의 내부적 운영방식과 공동생산과 공동소비가 이루어지는 삶의 터전으로서의 생태공동체가 지니는 경제적 측면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공동체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운영에 필요한 의사결정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모색되고, 생태공동체의 노동문제, 자족적 살림 문제, 대안 에너지의 사용 및 에너지 자립문제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주거 문화를 위해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않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방법에 대한 연구가 행해진다.
    세부 2과제 생태공동체의 교육 문화 모델은 생태공동체 내의 교육과 문화활용이 현대인의 질적 삶을 위한 실존적이고 실천적 측면들을 살펴 보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농교류 체험학습을 실증적으로 진단하여 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체험학습을 위한 민․관․학의 역할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녹색대학의 경험을 중심으로 생태공동체의 대안교육 모델과 생활교육 모델을 통해 생태적 삶과 실질적 진리를 탐구할 수 있는 생태공동체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독일 생태공동체가 활성화시킨 생명존중 정신문화활용과 이른바 웰빙과 같은 생태활용문화를 분석하여 세계적 보편성 속에서 우리 생태문화가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새로운 세기의 한국형 생태학적 생활문화양식을 제시한다.
    세부 3과제인 생태공동체의확산 방안은 생태공동체가 확산되기 위한 바람직한 지역간, 단체간 상호관계와 연대, 그리고 제도적 조건에 관한 연구다. 생태공동체가 확산되기 위한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상호간의 바람직한 공존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NGO, 언론기관 그리고 생태마을 내외의 구성주체들 사이에 전략적인 협력구조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생태공동체의 사회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생태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조건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제 생태문제는 더 이상 소수의 담론이나 지식인의 연구 분야가 아닌 대안문명으로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생태(공동체)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 지속적인 관심은 시대의 요구이며, 누군가가 담당해야 할 필연적인 과제로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형 생태공동체 모델에 관한 본 연구는 대안문명으로서 생태공동체를 현실에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대중과 연구자들에게 생태공동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을 위한 안내 자료이자 체계적인 분석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구체적 사례에 대한 연구와 모델의 제시는 생태공동체에 관심을 가지거나 모색하는 개인이나 모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둘째, 연구 결과물은 제도적 차원에서 기획과 수행, 평가 등의 정책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교육, 문화, 예술, 토지와 주거, 지역개발, 생태공동체와 기존 단위 지자체간의 교류와 균형발전, 주민참여, 지역 환경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과정의 기초 자료로 쓰임새가 있다. 국가 차원뿐 아니라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많은 아이디어와 자료정보를 제공하며, 정책 평가의 잣대로도 활용될 수 있다. 자치단체 혹은 마을단위의 생태적 지역개발이나 생태문화체험과 같은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환경운동 등 사회운동과 지역운동, 직접 생태공동체를 모색하는 단위에게 이 연구의 결과물은 중요한 활동 지침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성과를 재구성하여 생태공동체를 소개하고 그 모델과 지침을 제시하는 지침서를 발간하여 대중적 확산에 활용할 것이다. 또한 국내의 공동체 운동이 해외에 거의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결과물을 외국어로 번역 소개하여 생태공동체의 국제적 교류활동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이 모든 학문적, 사회적 기여가 가능한 것은 독일과 한국 사례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 성과에 힘입은 것으로 한국형 생태공동체 모델을 제안하는 단계는 일련의 연구 성과의 완결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해 인문, 사회분야의 연구 활동이 학문적 이론과 사회적 실천을 연계하고 미래지향적인 사회적 문제의식을 확산하는 모범을 찾을 수 있다.
  • 색인어
  • 생태공동체, 한국 생태공동체, 독일 생태공동체, 생태운동, 생태건축, 생태운동, 생태적 삶, 생태공동체 운영, 생태공동체 교육, 생태공동체 확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