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71&local_id=10013411
제2외국어교육 담론활성화를 위한 간문화적 토대이론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2외국어교육 담론활성화를 위한 간문화적 토대이론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기식(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M005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금까지의 제2외국어 교육 담론은 신자유주의라는 메타담론의 하위 담론으로서 ‘경쟁력’을 최우선에 두는 담론이었다. 이러한 교육담론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2외국어 교육담론의 근본적인 전환 틀을 구성하려는 연구 목적에 맞게 전체 연구는 우선, 신자유주의라는 메타담론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데올로기 비판과 오리엔탈리즘, 생태주의의 이론적 틀 속에서 조명하고, 한 사회의 지배담론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서 출발한다. 또 기존의 제2외국어 교육담론이 간과하고 있는 상생과 다양성, 상호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간문화적 세계화에 기여하는 제2외국어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간문화적 문화연구 방법론과 실증적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했다.
    제1과제 문화적 층위의 세계화와 제2외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동종화되면서 동시에 차별화되는 역동적인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적 차원의 세계화 현실에서 제2외국어 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강조하며, 제2과제 생태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상호의존 관계와 제2외국어 교육에서는 문화적 상생과 다양성의 의미를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제3과제 문화제국주의와 언어의 다양성부분에서는 문화적 전체주의가 바탕으로 하고 있는 문화적 지배담론을 문화와 제국주의라는 틀에서 고찰하고 있으며, 제4과제 제2외국어 위기상황과 번역후속세대 절대부족의 문화적 의미에서는 제2외국어 분야의 학문후속세대 부족과 번역 전문가 양성의 문화적 함의를 다루며, 제5과제 비판적 미디어 읽기와 제2외국어 교육은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의미와 그것의 선행과제로서 다양한 외국어 교육의 타당성을 논하고 있다. 제6과제 문화소통의 관점에서 본 제2외국어의 가치는 문화소통을 위한 전제로서 외국어교육의 불가피성을 지적하며, 제7과제 언어와 문화 그리고 기업경쟁력의 접점으로서 제2외국어 능력에서는 언어 속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들과 그것들이 기업 경쟁력확보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 영문
  • 1. Globalisierung der Kultur und Fremdsprachenausbildung. Diese Arbeit setzt sich die Aufgabe, den ?English only?-Fremdsprachendiskurs kritisch zu untersuchen, der auf neoliberalen Globalisierungsvisionen fu?t, und die Notwendigkeit und Wichtigkeit der mehrsprachigen Fremdsprachenpolitik theoretisch zu best?tigen.
    2. Das kulturelle interdependente Verh?ltnis und die zweite Fremdsprache in Anlehnung an ?kologischem Diskurs. Im vorliegenden soll die Erscheinungslogik der einzelnen Kulturen mit Rekurs auf den Begriff ?Interdependente Zusammenh?nge' untersucht werden, wobei sich die Funktions?hnlichkeit zwischen Kultur und ?kologie auf der Ebene des Organismus theoretisch verdeutlichen l?sst.
    3. Kulturimperialismus und die Verschiedenheit der Sprache. Diese Studie betrachtet den Zusammenhang zwischen Kultur und Imperialismus und untersucht danach die Sprache und den Imperialismus. Aus der Studie "Kultur und Imperialismus" ergibt sich, dass die Kulturen verschieden, gemischt und unrein sein sollten. Die Herrschaft einer m?chtigen Kultur auf der Erde kann dazu f?hren, dass die Kultur der Menschheit monoton und einseitig wird.
    4. Der Wert der Zweitfremdsprachen in Bezug auf die Kulturverst?ndigung. Die vorliegende Arbeit hat den Versuch unternommen, den Wert der Zweitfremdsprachen in Bezug auf die Kulturverst?ndigung aufzuzeigen.
    5. Eine kritische Analyse der Berichterstattung in den deutschen Massenmedien ?ber Korea und zur Problematik des Zweitfremdsprachenunterrichtes in Korea. In dieser Arbeit wird kritisch untersucht, welches Bild die deutschen Massenmedien vom Thema 'Korea" zeichnen. Als Grundlage f?r die Untersuchung werden die Nachrichtenmeldungen ?ber Korea aus den Bereichen Politik, Wirtschaft und Gesellschaft in 4 ?berregionalen deutschen Zeitungen und einem Nachrichtenmagazin ausgew?hlt.
    6. Die Krisensituation der zweiten Fremdsprache in Korea und die kulturelle Bedeutung des Fehlens von Nachwuchs?bersetzern. Als Gegenstand untersucht diese Arbeit die kulturelle Bedeutung des ?bersetzer-Nachwuches, da die subjektive Krise der Germanisten bzw. Romanisten als objektive Krise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zu kl?ren ist.
    7. Und bei der letzten These geht es um Sprache, Kultur und 2. Fremdsprachen als der Treffpunkt der Unternehmenskompetenzen. Die sprachliche Kenntnis und die damit verbundenen oder dadurch erhaltenen kulturelle Kenntnisse erleichern also uns ein gutes Verst?ndnis der ?u?erngen und Verhaltensweisen von Individuen, Gesellschaften, weil die Spache und Kultur der Denk-, F?hl- und Handlungsmuster und der Menschen und somit nicht nur der T?tigkeiten, sondern auch der allt?glichen Dinge des Lebens, wie gr廻en, essen, Gef?hle zugrunde liegen. In diesem Sinne setzt eine gute Kenntnis ihrer Spache voraus, um mit Menschen anderer L?nder oder Kulturen erfolgreich zu kommunizieren, bzw. zusammenarbeiten. In Bezug auf Unternehmen wird die ausreichende Kenntnis derjenigen Sprache - neben Fachkompetenz - unbedingt voraussetzt, die in L?ndern gesprochen wird, wenn sie in denen ihre Waren verkaufen oder die M?rkte erweitern m?cht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연구는 외국어 교육의 다양성 확보와 국가 주도의 제도적 토대구축을 촉진하기 위해 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담론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할 ‘간문화적 제2외국어 교육담론’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미국(영어) 중심의 전지구적 산업재편’과 ‘문화적 단일화’로 요약되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교육경제주의에 의해 구성되고 실행되고 있는 기존의 제2외국어 교육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간문화적 제2외국어 교육 정책으로의 질적 전환의 필요성과 긴급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을 주요 연구과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 기존의 제2외국어 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언술활동을 ‘담론’의 틀 속에서 재구성함으로써 현재의 ‘제2외국어 교육 담론’ 지형이 시장원리라는 단일한 기준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밝히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제2외국어의 경쟁력 논쟁과 교육공학적 접근은 실질적으로 90년 중반부터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침투한 신 자유주의적 세계화 이데올로기의 연장이자 실질적인 전개양상이며, 최근의 제2외국어 담론 역시 이런 교육경제주의 담론을 확대, 재생산,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것은 경쟁력과 국가 미래적 전망에 대한 근시안적 정책방향에 따른 것이며, 이런 잘못된 전제에서 출발한 제2외국어 담론은 미래적 관점에서 볼 때 ‘문화 및 인간 지향적 교육철학’, ‘문화적 상호이해의 통로로서의 제2외국어론’의 틀 속에서 근본적인 방향전환을 이루어야 한다.
    다양한 제2외국어 교육의 활성화는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고 상호 문화적 접촉을 통해 거짓정체성, 다시 말해 경제 및 문화 제국주의자의 시선과 편의적인 자기합리화에 의해 형성된 자기이해가 아니라 자기 반성적 정체성에 이르는 가능성을 넓혀준다. 또한 다양한 문화의 수용과 변용을 통해 전통은 상호 문화적 문화로 거듭나고, 자기 주도적 혹은 주체적 문화접촉의 지평을 넓혀준다. 따라서 ‘다양한 제2외국어 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생존요건이며, ‘제2외국어 교육’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제도 개선 및 교육 공학적 접근, 즉 활성화 방안 및 교육방법론 연구의 차원을 넘어 새로운 차원의 담론의 구성을 통해 전 국민적 의식 변화를 유도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일부에서는 세계화 이데올로기의 대항담론으로서 신 지역주의를 말하기도 하나 진정한 대안은 주체적인 문화적 다양성 확보에 있다. 이렇게 본다면 ‘제2외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대연구’는 현재의 세계화 이데올로기와 효율성 및 생산성을 기반으로 하는 인문학의 문화적 획일주의에 대한 안티테제이자 대항담론을 제공할 수 있고, 제2외국어 활성화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간문화적 제2외국어 담론의 주요방향은 1. 오도된 세계화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항담론으로서 제2외국어 교육 담론의 구성, 2. ‘오리엔탈리즘’과 ‘생태주의’관점에서 본 영어 중심의 문화적 전체주의의 폐해와 문화적 다양성 확보의 미래적 의미, 3. 번역과 미디어를 통한 주체적 문화수용과 소통기제로서 제2외국어 교육의 역할과 의미, 4. 기업 활동 등을 통한 간문화적 문화접촉과 기업경쟁력의 문화적 토대로서 제2외국어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진은 근시안적인 경쟁력 지상주의와 시장경제에 내맡겨진 제2외국어 정책의 허구성과 실질적인 비경쟁력을 드러내고, 기존 ‘제2외국어 활성화 담론’이 놓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의 다양성 및 문화적 다양성의 상관관계와 국가 미래적 의미에 대한 국민적 의식변화의 필요성과 긴급성을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상생과 다양성이라는 상호 공존적 철학에 기반을 둔 ‘제2외국어 교육담론’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1)근시안적인 쟁력 지상주의와 시장경제에 내맡겨진 제2외국어 정책의 허구성과 실질적인 비경쟁력을 부각시켰고,
    (2) 기존 ‘제2외국어 활성화 담론’이 놓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의 다양성 및 문화적 다양성의 상관관계와 국가 미래적 의미에 대한 국민적 의식변화의 필요성과 긴급성의 이해를 증진했으며,
    (3) 궁극적으로 상생과 다양성이라는 상호 공존적 철학에 기반을 둔 ‘제2외국어 교육담론’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특히 언어란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이 아니라 문화 이해의 필수 요소라는 사실이 부각되었다.
    (4) 상대주의와 양방향성이라는 문화 교류의 특성상 상호 존중의 바탕위에 이루어지는 상생의 문화교류를 위해서는 상대국 언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라는 사실이 명확히 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인식은 특정 외국어 편식을 강요하는 주장에 반하는 대항 담론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며, 아울러 이를 통해 최근 고사위기에 처한 여타 제2외국어교육의 활성화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게 되었다.
    (4) 독일어권 문화연구소로서 기존의 사변적 독일/독일어/독일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안적 독일지역학의 방향을 설정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향후 연구 과제를 개발하는 데 초석이 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5)한국독일어교육학회, 한국독일어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언어문학연구회, 독어독문학교육학회, 한국독어학회등 독일어문학 관련 학회지에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여 제2외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담론 조성에 기여하고,문화의 다양한 소통과 문화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토대연구가 되었다.

    이런 결과물을 토대로,

    (1) <문화적 상생과 다양성의 의미: 생태주의 관점에서 본 제2외국어 교육>의 연구를 통해 ‘생태주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폭넓은 인식을 가능케 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2) <번역후속세대 단절의 문화적 의미>는 국가 정책 과제의 기본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간 연구로서 실질적인 학문후속세대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의식변화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 결과물은 대학교 강의 시간과 각급 고등학교 제2외국어 수업 시간에 교육교재로 활용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문화적 ‘상호의존’의 당위성을 인식시키고, 언어와 문화 간의 긴밀한 상관성을 교육함으로써 자국(自國) 문화의 발전에 필요한 교육의 길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3) 문화적 요소들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수출을 주로 하는 기업들에서 뿐만 아니라 수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업들에서도 경쟁력 있는 제품생산을 위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독일에서의 기업이 요구하는 외국어 능력과 필요성 그리고 임직원들의 외국어능력배양을 위한 기업들의 지원 등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우리의 기업들(특히 수출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확보차원에서 그들 임직원들의 외국어 지식의 습득과 배양을 위한 재교육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5) 특히 한국기업의 영어권이 아닌 지역에서의 해외법인에서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는 언어, 문화적 요소들에 관한 조사 결과는 한국에 있는 외국기업들, 한국기업들의 외국법인들에 서 뿐 만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들 있는 한국의 중소업체들에서 임직원의 통합과 이를 통한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6) 외국어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에 관한 독일의 사례를 통해 (시민대학과 학교에서의 외국어교육)세계화의 시대에 발맞추어 국민들의 외국어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직장인들의 그것을 위한 국가의 외국어정책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7) <비판적 미디어 읽기와 제2외국어 교육>의 연구를 통해서 얻은 한국에 관한 부정적이고 상투적인 이미지를 분석해서 각 분야 및 사안별로 정리를 해 해당 독일 언론사에 보도의 정확성 및 객관성을 요구하는 전자우편이나 서한을 발송하는 등의 구체적인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8) 또한 독일인들이 생각하는 한국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앞으로 정부의 대독일 정책을 수립하는 데 또는 기업이 독일과 무역계획을 세우는 데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색인어
  • 상호문화성, 제2외국어교육담론, 세계화이데올로기, 문화의 세계화, 언어제국주의, 언어생태주의, 미디어비판, 문화소통과 언어, 문화와 기업경쟁력, Interkulturalitaet, 2. Fremdsprache-Diskurs, Ideologie der Globalisierung,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Die Ausbildung der Zweitfremdsprachen, Globalisierung der Kultur und Fremdsprachenausbildung, ‘English only’-Fremdsprachendiskurs, Kulturimperialismus, Zweitfremdsprachenunterricht, Nachwuchs&uuml;bersetzer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