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02&local_id=10016650
주자학의 귀신론 연구: 자연학과 인간학의 통합적 구도와 그 해체 과정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AS0043 |
선정년도 |
2005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8년 02월 27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8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주자의 귀신론은 주된 목적이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하는데 있다. 이러한 귀신론은 주자학을 받아들인 조선시대의 시대적 문제의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함으로써 주자학의 우위를 보여주는데 각별한 노력을 했다. 이로써 기존의 ...
주자의 귀신론은 주된 목적이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하는데 있다. 이러한 귀신론은 주자학을 받아들인 조선시대의 시대적 문제의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함으로써 주자학의 우위를 보여주는데 각별한 노력을 했다. 이로써 기존의 불교적 세계관인 낡은 세계는 새로 등장한 주자학의 합리주의적 귀신론에 의해 비판되었다. 이러한 비판의 핵심적 이론적 도구는 기철학의 이해에 따른 것이었다. 영혼불멸의 관념을 제거 되었고, 기의 불멸이 그것을 대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귀신론은 시간이 흐르자 주자학 자체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자 기가 아닌 리에 의해서 보다 분명한 이론적 토대가 구축되었다. 조선의 중후기에 접어 들자 서학의 세계관에 핵심적 사안이었던 영혼불멸이라는 관념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여기서 불교적 세계관은 다른 모습으로 다시 등장하게 된다. 귀신의 존재를 긍정하는 유귀론과 그것을 부정하는 무귀론이 대립하게 된다. 이 결과 자연학과 인문학을 통합했던 주자학의 구상에 대한 의혹이 증가되면서 구상 자체를 벗어나려는 철학적 기획들이 시도되었다. 귀신론이 가진 자연학과 인문학의 두 해석 축에서 인문학의 축이 강조되면서 귀신의 초월적 존재의 측면이 부활한다. 이 부활은 서학의 세계관과 원시 유학의 종교적 성격이 강조가 되면서, 결과적으로는 주자학 비판이 되었다. 주자학의 통합적 구상을 가능하게 했던 귀신이 주자학의 구도를 붕괴시키는 아이로니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귀신론이 가진 역설적 측면이다.
연구의 주 목적은 귀신론의 이론구조를 조선사상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파악하여, 자연학과 인문학의 통합적 구상이 비판-해체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자연학과 인문학이 분열되어 있는 지금의 학문 구조에 대한 의미 있는 철학적 성찰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나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한국사상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도 모색한다. 이에 따라 4개의 연구 주제로 주자학의 귀신론을 탐구했다.
1. 기의 불멸과 귀신: 화담 서경덕의 귀신 해석
2. 조선 후기 귀신론의 양상: 17~18세기 유귀론과 무귀론의 대립과 균열
3. 서학의 세계관과 귀신론의 변화 양상-다산을 중심으로
4. 귀신론의 현대적 함의
-
영문
-
The Neo-Confucian's theory of ghosts and spirits aims to criticize the Transmigration of Buddhism. This theory of ghosts and spirits corresponds to the Zeitgeist in Choson dynasty, which have received the Neo-Confucianism. Early periods in Choson dyna ...
The Neo-Confucian's theory of ghosts and spirits aims to criticize the Transmigration of Buddhism. This theory of ghosts and spirits corresponds to the Zeitgeist in Choson dynasty, which have received the Neo-Confucianism. Early periods in Choson dynasty eagerly has strived to exhibit the superiority of the Neo-Confucianism through the critic on the Transmigration of Buddhism. Hereby the old-fashioned picture of the world has been criticized by the new coming rationalistic theory of ghosts and spirits of the Neo-Confucianism. The understanding on the Ki(matter-energy) philosophy plays mainly roles, which struggle with counterpart idea-Buddhism. Being eliminating the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 idea of the imperishability of Ki replaced with it. Gradual understanding on the Neo-Confucianism itself definely makes the Li(the principle) construc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it. middle and later period in Choson dynasty, the idea of the Transmigration appears again, which is the key concept in the Western Learning-Christian world view. Also in some ways it is equal to the Transmigration of Buddhism. The affirming the existence of the ghosts and spirits conflicts with the denying the existence of the ghosts and spirits. In result, as the structure of the Neo-Confucianism, integrating the physics and humanities, aroused suspicion, many alternative thinking has made an attempt. emphasis on the humanities has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 of the ghosts and spirits revive. This revival makes the religious nature of the Wester Learning and the original Confucianism criticize the Neo-Confucianism. The idea of the ghosts and spirits is the paradoxical concept. Because it could integrate the physics and the humanities, but disintegrate the two.
Through these study, we'll find the significant counsels on the modern philosophical problems, that is to say, in our world physic and humanities have been separated. These study consist of four parts, as follows.
1. The perishability of Ki and the ghosts and spirits 2. Some aspects of discourses about the ghosts and spirits 3. The Western Learning world view and Some aspects of changes about the ghosts and spirits 4.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ghosts and spiri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주자의 귀신론은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하는 시대적 소임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비판적 철학은 조선시대의 시대적 문제의식과 상응한다. 주자학의 철학적 귀신론은 조선시대 사상사의 지형을 변모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존의 불교적 세계관은 주자학의 합리주의적 ...
주자의 귀신론은 불교의 윤회설을 비판하는 시대적 소임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비판적 철학은 조선시대의 시대적 문제의식과 상응한다. 주자학의 철학적 귀신론은 조선시대 사상사의 지형을 변모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존의 불교적 세계관은 주자학의 합리주의적 귀신론에 의해 비판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기철학적 함의에 대한 심화에 의해서 달성되었으며, 영혼불멸로서의 귀신이라는 관념은 비판적으로 극복된 듯이 보였다. 특히 조선전기의 성리학전 전개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이후 주자학의 이해가 심화되면서 조선의 성리학은 다양한 입장으로 전개된다. 이기이원론의 틀 속에서 귀신에 대한 이해는 주자학의 이해가 표준이 되면서 전기와 같은 불교를 상대로한 이론적 우위를 강조하는 긴장감에서 벗어나, 주자학에 대한 이론적 세련화와 조선의 현실적 상황에 대한 고려로 인하여 귀신에 대한 논의도 변해 간다. 조선의 중후기에 접어 들면서 카톨릭적 세계관의 초월성과 대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불교적 세계관을 비판했던 논거가 다시 재생산되지만, 주자학의 통합적 구상에 대한 의혹이 증가되면서 구상 자체를 벗어나려는 철학적 기획들이 시도되었다. 귀신론이 가진 자연학과 인문학의 두 해석 축에서 인문학의 축이 강조되면서 귀신의 초월적 존재의 측면이 부활한다. 이 부활은 카톨릭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그 결과는 원시유학의 귀신론에 대한 재해석을 통한 주자학의 비판이 되었다. 주자학의 통합적 구상을 가능하게 했던 귀신이 주자학의 구도를 붕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귀신론이 가진 역설적 측면이다.
본 2차 년도의 연구목적은 귀신론의 이론구조를 바탕으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조선사상사의 스펙트럼을 규명하고 통합적 구상이 비판-해체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통시적 접근 속에서 주자학의 자연(天)과 인간(人)의 연속적 체계가 고정된 완성태가 아닌 인간의 역사 속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 체계라는 것을 확인한다. 아울러 귀신론이 현대 한국사회에서 지니는 의미를 검토하고, 앞으로 지향해야 할 한국사상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도 모색한다. 이에 따라 4개의 연구 주제로 주자학의 귀신론을 탐구했다.
1. 기의 불멸과 귀신: 화담 서경덕의 귀신 해석
2. 조선 후기 귀신론의 양상: 17~18세기 유귀론과 무귀론의 대립과 균열
3. 서학의 세계관과 귀신론의 변화 양상-다산을 중심으로
4. 귀신론의 현대적 함의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자연학과 인문학의 통합적 구도는 근대적 세계관의 입장에서는 과거적 사유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근대는 인문학 영역의 제반 문제들과 자연학 영역의 제반 문제들은 두 문화를 형성하여, 서로 공통된 기반이 없이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영역 속에서 자체의 논리를 가 ...
1) 자연학과 인문학의 통합적 구도는 근대적 세계관의 입장에서는 과거적 사유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근대는 인문학 영역의 제반 문제들과 자연학 영역의 제반 문제들은 두 문화를 형성하여, 서로 공통된 기반이 없이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영역 속에서 자체의 논리를 가지고 분화 및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인간의 가치와 윤리적 삶은 자연의 질서와 단절되고, 자연의 질서는 인간의 삶과 본질적인 연관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리에서 기인한 문제 상황들을 극복하는데, 전통적 사유의 통합적 구도가 주는 철학적 통찰을 탐구함으로써 문제해결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
2) 주자학의 귀신론이 지닌, 자연주의적 철학 경향과 초월주의적 철학 경향이 가진 근본적 함의를 조선사상사의 문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두 철학 경향은 역사적으로 동아시아 철학의 내재적 특성과 동아시아가 다른 문명과 교류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문명 속으로 외래적 세계관을 수용하는 보편적인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귀신론은 불교문명의 도전 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으며, 서구라파의 카톨릭적 세계관의 도전 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 것을 통해 상이한 철학적 사유의 대립과 융합의 보편적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동아시아의 고유한 철학적 입장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3) 귀신론의 전개를 통해 조선시대의 합리적 문화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예시할 수 있다. 귀신론의 전개와 심화는 주자학을 주도적 이념으로 하는 조선문명의 성숙한 합리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4) 귀신론의 심화에 따라 조선성리학의 이론적 주체적 성숙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성숙한 이론적 심화의 결과 주자학 자체의 이론적 구성물이 시대의 여건에 따라 분화하고 다양하게 변모하는 양상을 탐구할 수 있다. 특히 리(理)의 초월성에 무게중심을 둔 주리론의 철학적 경향이 서학을 위시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철학적 요청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유학의 새로운 시대적 적용문제를 성찰한다.
5) 전통사상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시대적인 효용을 상실했다는 현재의 회의적 견해를 불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귀신론이 제기하는 철학적 주제들은 동서와 고금에 한정되지 않는 인간의 고유한 문제라는 것을 환기함으로써, 전통사상의 보편성을 시사한다.
-
색인어
-
주자, 윤회설, 조선시대, 성리학, 카톨릭, 초월적 존재, 자연학, 인문학, 조선 사상사, 통시적 접근, 자연, 인간, 한국사상, 기의 불멸, 서경덕, 유귀론, 무귀론, 서학, 다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