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28&local_id=10014883
민족미학의 기초개념 연구 -한국미의 범주 체계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민족미학의 기초개념 연구 -한국미의 범주 체계론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지하& #40;영일& #41;(& #40;사단& #41;민족미학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6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연구는우선우리민족예술의미의식에관한연구성과들을포괄적으로수렴한다.그리고이를토대로 한국적미의식의구조를조명할수있는미적범주들의체계를세움으로써서구미학의미적범주론에 대응할수있는한국미의범주론정립을목표로한다이를위해민족미학의기초개념들에대한선행연구에서다음의여덟가지를제시하였다동아시아미학을서구미학과구별할수있는특징적개념으로서의자연풍류에근원을두고있는한국적미적범주의대표개념의하나인멋한국적미의식의특질로서한과함께하면서웃음을낳는해학민중적정서의역사적그늘이긴하지만서구예술에서얘기되는비극의비장미와는구별되는한enthousiasmos나영감과도비교되면서동학의모심과도연관되어기화신령과도통하는신명한민족의사상우주리듬인율려와연관되어논의되면서한과신명을포괄하는고차원적미의식인흰그늘동아시아예술학에서중핵적기초개념으로멋의근원이기도한풍류신화제의예술의연결고리로서작용하고있는치유로서의씻김이그것들이다위의여덟가지기초개념들은다각도로다층적으로서로연관된다이러한미적범주들은풍류를지향하는예술과씻김을지향하는예술이라는두차원으로대별될수있다본연구에서는자연멋해학을풍류계의미적범주로신명흰그늘한을씻김계미적범주로규정한다물론그구분을절대적인것으로고집하지는않는다이와같이민족예술의미의식을종합적으로다룰수있는미적범주들이멋해학한흰그늘이다1차년도연구에서는이러한네미적범주들을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을위한중심축으로설정하였다2차년도연구는1차년도연구에서밝혀진여덟가지의기초개념들상호간의교차연구를통해이들기초개념들을좀더심화시켜나가고또한본연구가목표로하는한국미의범주론정립에기여하고자했다2차년도연구는크게아홉가지의연구로구성된다1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총론으로멋해학한흰그늘의네가지기초개념들이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을위한중심축이되고나머지기초개념들의상관관계가도식적으로구성된다2서구미학과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방법론연구로한국의미적범주론에끼친서구미학의영향을살펴본다이를위해서구의미적범주론중네가지방법론즉일원적방법론으로피셔다원적방법론으로폴케르트복합적방법론으로하르트만원환적방법론으로데스와르의이론을정리하고각방법론의장단점을살핀다3동아시아범주체계연구방법론연구다동아시아삼국의미의식에서의유사성과차별성연구와함께중국과일본의범주체계연구를통해우리민족의미적범주와어떻게차별화되는것인가를밝힌다4풍류계범주들자연멋해학의연관성연구다인식방법과생태적삶의양식으로서풍류는자연의개념과미적실천으로서풍류는멋과그리고놀이정신으로서풍류는해학과연관된다는점을확인한다5씻김계범주들신명흰그늘한의연관성연구다한씻김신명흰그늘의네범주는비분리성에기초한미학적개념들이라는사실그리고씻김신명흰그늘의관계는한을인정하는것에서부터시작한다는점을밝힌다6신명과자연범주의상호교차연구다신명과자연은각각動과靜세속과탈속이라는측면에서대비되지만양자모두일체감몰입쾌락용해초월등으로체험됨으로써몰아망아를특질로한다는점에서공통적속성을가진다7멋과흰그늘범주의상호교차연구다멋은비애나한과같은미적정서를배제하는반면흰그늘은그렇지않다는점에서두개념은서로대극점에서있다멋은단순한조화의미가아니라격식에맞으면서도격식을뛰어넘는초격미이며흰그늘도한과신명의초극즉부정의부정으로서의미의식으로서지고의생태적미감이다8해학한범주의교차연구다한과해학은일반적으로울음과웃음으로대별되어구분되지만한국의미적범주로서의한의의미함축은깊고다양하다한은울음을노골적으로드러내지않고그것과함께흐르고함께춤추면서삭여낸다삭여낸다함은그슬픔을웃음으로해학으로껴안음이다그점에서한은서구에서의비장함이나우울멜랑콜리와는다르다9미적범주체계론의유목적정착에관한연구이다한국적미적범주는우리민족의역사적현재의경험들을담아내고있으며또한미래를위한새로운가치체계를창조하는민족의미적삶의해석학적지평이된다이러한연구결과미적범주들사이의다양한연계를포섭하는체계가여러모습으로변형되어있고또그러한변형들이한국인미의식의본래살아있는모습에근접해있었음을확인하였다.이와같은범주들의복합성이역동적으로상호작용하면서극과극이이중교호적으로얽혀상생하는통일된미의식을이루고있다는것이다.이연관성과대극적통일성이한국인의살아꿈틀대는미의식의실질내용을이루는것이다이렇게한국미의범주체계를구성함으로써이를아시아의미적범주들나아가세계보편의미적범주들과서로껴안고밀치는가운데인류의보편적미의식으로승화될것이라믿고있다이번연구프로젝트는민족미학의기초개념과한국의미적범주의체계를정립함으로써세계미학의보편적특수성탐구를향한한국의미적범주체계론의정착적유목또는유목적정착을겨냥하고있다
  • 영문
  •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eight fundamental concepts of Korean National Aesthetics according to those standards. 'Nature', a characteristic concept as an Asian aesthetic category distinguished from Western Aesthetic one. 'Mut', one of the representing Korean Aesthetic categories sourced from Poongnyuh. ‘Haehak’, a humorous concept accompanying 'Hahn’ as a characteristic quality of Korean aesthetics. 'Hahn’, a sensitive state before a highly expressed feeling such as laugh and sadness, but distinguished from the Western sublime of tragedy. ‘Shinmyong', a concept compared with a Western enthousiasmos or inspiration, but related with 'Moshim' or Giwhashinryurg. ‘White Shade', a highly comprehensive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discussed with 'Bak' thought and 'Yulnyo' of cosmic rhythm. 'Poongnyu', a source of 'Mut' concepts as a core fundamental concep of East Asia Aesthetics. 'Sitgim', a purification of catharsis related with Poongnyu, myth, ritual, and arts. The research in the first year divided broadly the fundamantal concepts of Korean aesthetics into 8 ones, and integrated them into two genre categories;fundamental concept of the Poolnyu such as Nature, Mut, and Haehak as well as the Sitgim such as Hahn, Shinmyong, and White Shade, studying separately. The research in the second year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f the first year's 8 fundamental concepts of Korean aesthetics had more intensive understanding those fundamental concepts, and then tri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The research in the second year is composed of 9 studies. First, in "Introduction to consfituting Category System of Korean Asthetics" four basic concepts of Mut, Haehak, Hahn, and White Shade can be central exis to constitute category system of Korean asthetic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conceps. Second, in "A Research on the Methods for Category Systems of Western Aesthetics and Korean Aesthetics" the study suggested Western influence on the theory of category for Korean Aesthetics. Third, The study revealed how different does the aesthetic category of Korean people lay out comparing with those of Chinese and Japenese one, suggesting its resemblance and difference amo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es of three countries : Korea, Japan, and China. Fourth, the research done in the first year was on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Mut and Haehak in the category of Poonnyuh. Fifth, the research was done on the relationship with Hahn, Sitgim, Shinmyong and White Shade in the category of Sitgim. Four concepts such as Hahn, Shinmyong, Sitgim, and White Shde is based on the inseparability. Sixth, the research was done on the mutual crossing study on the category of Mut and White Shade. Although Shinmyong is contrast to Nature in that the concepts have show their differences in dimension of dynamics or stasis as well as secular or sacred, both the concepts has common disposition in that they can be experienced as the whole, the immersion, the pleasure, the solution, and transcendence. Seventh, the research was done on the mutual crossing study of the category of Mut and White Shade while the concept of Mut exclude aesthetic emotion such as tragic sorrow or Hahn, that of White Shade dose not such emotion, standing at contrast poles. Eighth, the research was done on the crossing study of Haehak and Hahn. While they can be distinguished as crying and laugh, the implication of the Hahn concept has diverse meanings. Hahn does not simply expose its crying, but flows with its crying with dance. The concept of Hahn is different from the sublime, the melancholy. and the sorrow of the Western category. Ninth, the research was done on the nomadic settlement of the systemic theory of aesthetic category. The aesthetic category of Korea incude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 people and it also can be hermeneutical horizons creating new system of value for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연구는우선우리민족예술의미의식에관한연구성과들을포괄적으로수렴한다.그리고이를토대로 한국적미의식의구조를조명할수있는미적범주들의체계를세움으로써,서구미학의미적범주론에 대응할수있는‘한국미의범주론정립’을목표로한다.그것을위해선행연구된민족미학의기초개념’들에대한연구에서다음의여덟가지를제시하였다.동아시아미학을서구미학과구별할수있는특징적 개념으로서의‘자연’,민족미학의풍류에근원을두고있는한국적미적범주의대표개념의하나인‘멋’,한국적미의식의특질로서‘한’과함께하면서웃음을낳는‘해학’,단순한기쁨과슬픔의감정처럼아직은 미의식으로고도화되기전의정서적상태이긴하지만서구예술에서얘기되는비극의비장미와는구별되는‘한’,‘enthousiasmos'나’‘영감(inspiration)’과도비교되면서,동학의‘모심[侍天主사상]’과도 연관되어기화신령(氣化神靈)과도통하는개념인‘신명’,한민족의‘’사상,우주리듬인‘율려(律呂)’와연관되어논의되는한과신명을포괄하는고차원적미의식인‘흰그늘’,동아시아예술학에서중핵이 되는기초개념으로‘멋’의근원이기도한‘풍류’,신화,제의,예술의관계를검토하면서그관계속의연결고리로서작용하고있는‘씻김’이그것들이다.앞서언급한여덟가지기초개념들은다각도로다층적으로서로연관된다.이러한미적범주들은풍류를지향하는예술과,씻김을지향하는예술이라는두차원과관련하여대별될수있다.본연구에서는자연-멋-해학을‘풍류’계의미적범주로,신명-흰그늘-한을‘씻김’계미적범주로규정한다.물론그구분을절대적인것으로고집하지는않는다.이와같이민족예술의미의식을종합적으로다룰수있는미적범주들이‘멋’‘해학’‘한’‘흰그늘’이다.본연구에서는이러한네가지미적범주들을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을위한중심축으로설정하였다.그리하여이연구는 다음과같은연구과제를수행하였다.(1)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총론(2)서구미학과한국미의범주체계구성방법론(3)동아시아범주체계연구방법론(4)풍류계범주들의연관성:[자연-멋-해학](5)씻김계범주들의연관성:[신명-흰그늘-한](6)풍류계및씻김계미적기초개념의교차관계:[자연-신명](7)풍류계및씻김계미적범주의교차관계1:[멋-흰그늘](8)풍류계및씻김계미적범주의교차관계 2:[해학-한](9)미적범주체계론의유목적정착위내용의연구결과미적범주들사이의다양한연계를포섭하는체계가여러모습으로변형되어있음을알수있었고,그러한변형들이한국인미의식의본래 살아있는모습에근접해있었음을확인하였다.다시말해이와같은범주들의복합성이역동적으로상호작용하면서극과극이이중교호적으로얽혀상생하는통일된미의식을이루고있다는것이다.이연관성과대극적통일성이한국인의살아꿈틀대는미의식의실질내용을이루는것이다.이렇게한국미의범주 체계를구성함으로써이를아시아의미적범주들,나아가세계보편의미적범주들과서로껴안고밀치는 가운데인류의보편적미의식으로승화될것이라믿고있다.말하자면이번연구프로젝트는민족미학의기초개념과한국의미적범주의체계를정립함으로써세계미학의보편적특수성탐구를향한미적범주체계론의정착적유목또는유목적정착을겨냥하고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소에서는 한국적 미의식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범주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이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프로젝트로 2002년 ‘민족미학의 기초개념 정립’에 따르는 제반 문제를 제기하면서, 민족미학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방법론을 발전시키며, 나아가 일반미학으로서의 세계적 보편성을 추구해 나가고자하였다. 두 번째 연구 프로젝트로 2005년부터는 "민족미학의 기초개념 연구-한국미의 범주 체계론"이라는 과제 명 아래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1차 년도에 민족미학의 여덟 가지 기초개념을 세웠는데 풍류,자연, 멋, 해학, 씻김, 한, 신명, 흰그늘이 그것들이다. 2차 년도에는 이 개념들을 크게 두 계열로 나누어 다루었다. 그 하나는 풍류계라는 미적 범주 계열로서 풍류, 자연, 멋, 해학이 이에 속한다. 다른 하나는 씻김계로서 씻김, 한, 신명, 흰그늘이 이애 속한다. 이 연구는 우리의 미적 정서를 오랫동안 규정해 온 것 중에서 유가적이거나 불가적인 전통에 영향을 받은 미의식을 제외한 우리 민족의 고유의 미의식이라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을 개념화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한국 민족미학의 토대를 구축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 한국의 미적 기초개념들과 미적 범주들을 보다 엄밀하게 규정할수록 다음의 측면에서 활용될 지점이 넓혀질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삶과 예술에 담겨 있는 미의식과 예술의식을 구체적 적용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국 미학 정립의 길에 초석으로 활용 될 것이다. 둘째, 서구중심의 사유구조를 모방하는 학문적 전통을 지양하고 새롭게 체계화된 한국미 범주론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예술 영역에 걸쳐 요구될 민족미학적 가치평가의 토대로서의 활용될 것이다.
    셋째, 개별 예술 장르별 특질론이란 형태로 진행되었던 이제까지의 선행 연구들은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한국 예술 특질론 일반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 국문학, 민속학, 연극학, 음악학, 춤의 영역에서 각자 수행된 예술 특질론들을 살펴보면 거기에는 미적 개념들과 비미적 개념들의 혼동,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들의 혼재, 예술이라는 동일 영역에서 따로 흩어져 있는 특질들 사이의 괴리감 등이 목격된다. 그 점에서 이들 개별 장르별 특질론은 한국 예술 특질론 일반으로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한국미의 기초개념을 입론하고 범주론을 설립 한 본 연구는 그러한 특질의 후속연구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바이다. 그것은 동아시아 상호간 나아가 세계 오러 민족 상호간 상호교류적인 비교미학으로 전개될 것이다.
    넷째, ‘세계화’(globalization)가 인류의 미래적 지표처럼 되어 버린 요즘 민족 문화와 예술의 자기 성격 규정과 그를 통한 정체성 확립은 오히려 그만큼 더 절실하다 할 수 있다. 나라와 나라, 민족과 민족 사이의 문화적 교류가 시대적 흐름이라면, 우리가 우리 자신의 것을 다듬고 정리하여 보여줌으로써 문화적 경쟁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민족 미학의 기초개념들을 한국예술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한국 미학의 미적 범주들을 다듬는 연구야말로 동아시아 미학의 정립과 교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학문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면서 그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 색인어
  • 미의식, 미적 범주, 한국미, 민족미학, 기초개념, 자연, 멋, 한, 해학, 영감, 신명, 율려, 흰그늘, 풍류, 씻김, 비극, 비애, 동아시아 미학, 서구 미학, 모심, 사상, 신화, 제의, 예술, 일원적 방법론, 다원적 방법론, 복합적 방법론, 원환적 방법론, 생태적 삶, 미적 실천, 놀이정신, 초월, 몰아, 초격미, 초극, 울음, 웃음, 삭임, 유목, 정착, 기화신령, 이중교호, 상생, 보편적 특수성,무위자연,무기교의 기교,무계획의 계획,소박미,고졸,산조,풍자,반어,역설,왜곡,변형,하얀길,정화,우아,숭고,아름다움,고움,한적,유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