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31&local_id=10014869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와 변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와 변용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종명(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7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은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와 변용이라는 주제로 2개년(2005-7)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1차 년도에는 한국종교의례가 어떠한 구조와 원리로 짜여 있는지를 한국의 주요종교인 불교, 유교, 그리스도교, 신종교로 나누어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한국종교의례들은 각각 고유한 원리와 체계를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여 각 종교전통 내에서 의례가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 구조를 밝혔다. 제2차 년도에는 한국종교의례의 역사적 변용 과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불교의 예불, 유교의 제사, 기독교의 예배, 신종교 중에서 천도교의 시일식을 다루었다. 관련 문헌과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첫째, ‘공시적 접근’ 방법에 의거하여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통시적 접근’ 방법에 의거하여 한국종교의례의 변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1차 년도에는 현대 한국예불과 유교 조상제사, 감리교 주일예배, 천도교 시일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구조와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제2차 년도에는 전년의 연속선상에서 동일한 연구 대상을 가지고 역사적인 변용 과정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연구가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 종교의례의 구조를 분석하는 작업과 역사적 존재 양상을 추적하는 작업을 함께 병행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2년 동안 발표된 연구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차 년도에는 "현대 한국예불의 구조와 의미"(김종명), "유교 조상제사의 구조와 의미"(하정현), "감리교 주일예배의 구조와 의미"(박상언), "천도교 시일식의 구조와 의미"(고병철), 그리고 2차 년도에는 "일상예불의 역사적 변용"(김종명), "유교 제사의례의 역사적 변천"(조현범), "천도교 의례의 변용과 특성-시일식을 중심으로"(고병철), "개신교 주일예배의 변용과 특성"(박상언)이다. 그 결과, 한국의 종교의례들은 구조적으로는 유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결과, 시간적, 공간적 양면에서 계층화되어 있었으며, 역사적으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학 분야에서 종교의례 및 관련 분야 연구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함으로써 한국학의 기초학문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국 종교의례의 특징들은 의례학 나아가 종교학 분야에서 일정한 학문적 기여 또한 기대 된다.
  • 영문
  • This research entitled "The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of Religious Rituals of Korea" was conducted by five researchers for two years from 2005 to 2007. In the first year of research, the research team examined the structure of rituals of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and the Religion of the Heavenly Way. In the second year of research, the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ritual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religious traditions of Korea. Primarily based on both textual criticism and field research, the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was of two kinds: Firs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religious rituals of Korea was based on the synchronic approach; and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ir historical transformation was conducted by the diachronic metho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Buddhist Daily Rituals in Korea: Their Structure and Meaning Focusing on the sasi Bulgong" by Jongmyung Kim, "Confucian Sacrificial Rites (jesa) in Korea: Their Structure and Meaning" by Ha Jeonghyeon, "The Sunday Service of the Religion of the Heavenly Way in Korea: Its Structure and Meaning" by Byoungchul Ko,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Focusing on the Sunday Worship at a Methodist Church" by Sang-Un Park in the first year;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Buddhist Daily Rituals in Contemporary Korea" by Jongmyung Kim,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Confucian Ancestral Worship" by Hyenbeom Jo,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endogyo's Sunday Service" by Byoungchul Ko, and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Sunday Service" by Sang-Un Park in the second year. In conclusion, religious rituals of Korea are highly stratified both spatially and temporally, indicating Confucian influences, in structure and they have been neither homogeneous, nor static, but diverse in history.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religion are well represented by its ritual. However, conventional scholarship has focused on thought or doctrine, thus neglecting ritual.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broadening scholarly horizons in two ways. First, this research will provide momentum causing scholars in Korean studies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rituals and related research. Second, it also hopes to write a new chapter in the field of ritual studies, and by extension, religious studies in gener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와 변용이라는 주제로 5명의 연구진이 2개년(2005. 9. 1-2007. 8. 31)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년도에는 의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불교 의례, 유교 의례, 그리스도교 의례, 신종교 의례의 연구사, 의례의 편성 원리, 기본 의례, 대표 의례 등을 분석하여 각 종교의 의례문화가 지닌 특성들을 추출하였으며, 2차 년도에는 ‘변용’의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각 종교별로 대표적인 종단과 교파를 선정하여 한국종교의례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현대적 양상, 그리고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종교의례의 구조에 대한 분석은 ‘공시적 접근’ 방법에 의거하였다. 종교의례의 구성 요소에는 의례의 대상, 의례가 행해지는 시간과 공간, 집례자와 참여자, 의례 절차, 의례 행위, 장식과 성물, 금기와 정화, 의례 복식, 부적과 주문, 수련 등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 종교의례의 전반적인 구조를 분석하였다. 즉, 종교의례의 구성 요소들은 어떠한 규칙과 질서 속에서 조합되는지, 종교의례는 어떠한 의례적 과정으로 설정되고 있는지, 종교의례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효과는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종교의례를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종교의례의 변용에 대한 분석은 ‘통시적 접근’ 방법에 의거하였다. 이것은 공시적 접근을 통해 종교의례의 구조와 그 양태를 분석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각 종교의 의례들이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종교의례의 변용을 일으킨 역사적․사회적 조건은 무엇인지, 그리고 변용의 정도는 어떠한지를 고찰함으로써 종교의례의 구조와 성격을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① 한국종교의례의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② 한국종교의례의 변용 양상에 대한 종교사적인 해석으로 나뉜다. 1차 년도에는 한국종교의례가 어떠한 구조와 원리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한국의 주요종교인 불교, 유교, 그리스도교, 신종교로 나누어 다루었다. 여기서는 한국종교의례들은 각각 고유한 원리와 체계를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여 각 종교전통 내에서 의례가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 구조를 밝혔다. 2차 년도에는 한국종교의례의 역사적 변용 과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불교의 예불, 유교의 제사, 기독교의 예배, 신종교 중에서 천도교의 시일식을 다루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 1차 년도에는 "현대 한국예불의 구조와 의미"(김종명) / "유교 조상제사의 구조와 의미"(하정현) / "감리교 주일예배의 구조와 의미"(박상언) / "천도교 시일식의 구조와 의미"(고병철), 그리고 2차 년도에는 "한국 일상예불의 역사적 변용"(김종명) / "유교 제사의례의 역사적 변천"(조현범)/ "천도교 의례의 변용과 특성-시일식을 중심으로"(고병철)/ "개신교 주일예배의 변용과 특성"(박상언)이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사상이나 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개별 종교 연구에서 의례의 영역을 다룸으로써 종교 현상에 대한 총체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구조’와 ‘변용’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종교의례를 분석함으로써 종교의례가 지닌 다양한 의미의 층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한국종교의례에 대한 인문학의 기초 연구를 보다 심화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한국의 종교의례들은 구조적으로는 유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결과, 시간적, 공간적 양면에서 계층화되어 있었으며, 역사적으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학 분야에서 종교의례 및 관련 분야 연구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함으로써 한국학의 기초학문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국 종교의례의 특징들은 의례학 나아가 종교학 분야에서 일정한 학문적 기여 또한 기대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팀의 1차 년도 연구 성과물들은 세계 최고 권위의 종교학회인 미국종교학회(AAR: American Academy of Religion)에서 발표되었으며, 그 개정본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를 통해 출판되었다. 그리고 2차 년도 연구결과물들의 일부도 주요 아시아 학회인 ASPAC(Asian Studies on the Pacific Coast) 및 한국종교학회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그 개정본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인 『불교학연구』 및 『종교교육학연구』에 이미 게재되었다. 나머지 일부도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이상의 자격을 지닌 유명 학술지에 게재를 준비 중에 있다. 또한 본 연구팀은 2개년의 공동 연구를 수행한 결과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함께 한국 사회의 문화적 성숙을 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의례문화에 대해 모색하였다. 나아가 바람직한 의례문화 양성을 위해 개별 한국 종교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팀의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종교의례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델 개발, 의례학 연구의 계기 조성, 소외된 학문 분야의 연구 활성화, 연구전임인력의 연구 활동 보장, 연구전임인력의 교육 활동 후원 등에 의한 학문적 기여, 한국인의 행위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공을 통한 사회적 활용 방안이 기대된다.

    1
  • 색인어
  • 감리교, 공시적 접근, 구조, 그리스도교, 변용, 불교, 시일식, 신종교,예불, 유교, 의미, 조상제사, 종교의례, 주일예배, 천도교, 통시적 접근, 특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