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59&local_id=10011922
자연 언어의 비정규적 주어에 대한 통합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자연 언어의 비정규적 주어에 대한 통합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동석(대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8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10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논문1> 자연 언어의 비정규적 주어에 대한 통합적 연구 (I)--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정규적 주어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여러 언어들에 나타나는 비정규적 주어들이 형식적ㆍ문법적으로 타당한 주어인지를 고찰하고, 이들이 보여주는 다양성을 통틀어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려는 시도의 일부로서, 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여격 주어가 주된 분석 대상이다. 이들 언어의 여격 주어를 다루면서 본 연구가 추출한 핵심적인 문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비정규적인 주어가 과연 타당한 주어인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격이 아닌 다른 격을 가진 비정규적 주어에 어떤 방식으로 일치와 격 점검 같은 작용이 일어나는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찰적 층위에서의 통사 행태로 보아서는 비정규적 주어가 타당한 주어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이 두 문제의 궁극적인 해답은 두 번째 문제의 해결에서 올 수 있다고 본다. 이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정규적 주어가 정규적인 격을 부여받거나 정규적인 격이 더해지는 이른바 격 중첩 현상과 존대 일치 현상이다. 이 두 언어에서 비정규적 주어가 정규적인 격을 부여받을 수 있거나 혹은 정규적인 격이 중첩될 수 있다는 것은 Chomsky(2000,2001)의 의미에서 추가적인 구조격이 이들의 기격에 더하여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인 구조격이 이들과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은 이들이 일치와 같은 문법 작용에 대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여격 주어가 왜 일치에 참여할 수 있는지 그 근거가 확보된다. 한편 존대 일치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φ-자질이 가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침묵 자질이지만, 문법적 성 자질의 변이를 가진 존칭 명사가 주어로 나타나는 경우에 한해 존대 형태소가 동사에 접미(혹은 접두)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한국어의 명사에 대한 여격 형태론과 일본어의 여격 명사구에 대한 범주 구분에 의해 증명되는 것이어서 주로 여격이 기격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두 언어에서 비정규적 주어가 일치를 일으키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결정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즉 비정규적 주어도 형식 자질의 일치/점검을 겪으므로 정규적 주어에 버금가는 타당한 주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

    <논문2> 자연 언어의 비정규적 주어에 대한 통합적 연구 (2)-- 여격 경험자의 가시성을 중심으로--

    이 논문의 목적은 상승구조에서 여격 경험자의 가시성에 대한 통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는데 있다. 부합층(Match level)과 일치층(Agree level)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Boeckx (2001)의 제안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는 부합과 일치가 각각 독립된 국부성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부합층에서는 비활성화된 여격 경험자가 게재할 때 탐색자와 목표자 사이의 부합을 차단하지만, 일치층에서는 일치를 차단하지 않는다. 독립된 부합층이 존재하는 아이스랜드어, 이태리어, 불어 등이 부합에 대한 국부성 조건을 준수하는 언어유형에 속하는 반면, 독립된 부합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어, 한국어, 일본어 등이 일치에 대한 국부성 조건을 준수하는 언어유형에 속한다. 이와 같은 분석은 기격주어(quirky subject) 구문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독립된 부합층을 가진 언어에서는 부합조건을 충족하는 여격 명사구가 이동하여 기격주어가 될 수 있으며, 주격 명사구가 여격 명사구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은 결함범주간섭조건(DIC)을 위배하게 된다. 부합층이 없는 언어에서는 일치조건을 충족할 때 이동이 유발되므로 여격 명사구가 구조격을 추가로 부여받아 활성화되지 않는 한 주어위치로 이동하여 기격주어가 될 수 없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영문
  • <논문1> An Integrated Study of Quirky Subjects in Natural Languages (I)-- Focusing on Quirky Subjects in Korean and Japanese--
    This study is part of the effort to present an integrated explanation for the diversity that quirky subjects in various languages show. Dealing with the quirky subjects mainly in Korean and Japanese, we have picked up two core questions. One is whether the quirky subjects are adequate as subject, and the other is how such grammatical operations as Agree and Case checking can occur with these subjects that are assigned non-canonical structural Case. Given the fact that the quirky subjects in the two languages can serve as adequate ones in light of their syntactic behavior, we believe that some ultimate answers should come from the solution to the second question. What we pay attention to with regard to solving the second question are the honorific agreement and Case stacking phenomena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quirky subjects in the two languages can bear canonical structural Case. The fact that the quirky subjects in Korean and Japanese can be assigned structural nominative Case or have it additionally via Case stacking means that additional structural Case could be assigned to these subjects in the sense of Chomsky 2000 and 2001. This in turn means that these quirky subjects are activated with regard to grammatical operations like Agree. Thus, we came to secure a basis for why quirky subjects in Korean and Japanese are able to participate in Agree. On the other hand, the conclusion we have reached with respect to the honorific agreement is that whereas φ-features in Korean and Japanese usually are silent feature in the sense of Sigurðsson 2003, an honorific marker is affixed to the verb when an honorific noun appears as a subject. As this is proved by the dative morphology of Korean noun and by the categorial status of dative noun in Japanese, we are given definitive evidence that shows why the quirky subjects in the two languages trigger Agree despite their apparent dress of inherent Case. Consequently, this study seems to be successful in characterizing why the quirky subjects can serve as almost canonical and adequate ones.

    <논문2> An Integrated Study of Quirky Subjects in Natural Languages (2)-- Focusing on the Visibility of the Dative Experienc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tegrated account for the visibility of the dative experiencer in raising constructions. Adapting Boeckx's (2001) suggestion that there are two separate levels, i.e., the Match level and the Agree level, we propose that each of the two is subject to a separate locality condition. In the Match level, an intervening inactive goal blocks further Match, and gives rise to the DIC effects. In the Agree level, Agree takes place serially between an activated probe and goals. Since inactive goals are invisible to Agree, no DIC effects arise.
    Given the separate locality condition on the two levels, we suggest that languages can be grouped into two types: the one in which the Match level is separated from the Agree level (Icelandic, Italian, and French, etc.), and the other in which Match is a part of Agree (English, Korean, and Japanese, etc.). In the former, Move takes place under Match in absence of Agree, and thus, raising across the experiencer is not allowed due to the DIC. In the latter, no DIC effects arise due to lack of the independent level of Match.
    The current approach can provide a natural explanation for the quirky subject constructions. In languages that have the Match level, a dative DP can move under Match to assume a quirky subject. Movement of a nominative DP across the dative will result in the DIC violation. In languages that do not have the Match level, Move takes place under Agree. Thus, a dative cannot move to the subject position unless it is reactivated by additioal structural Ca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논문1> An Integrated Study of Quirky Subjects in Natural Languages (I)-- Focusing on Quirky Subjects in Korean and Japanese--
    This paper seeks solutions to the problems with quirky subjects in Korean and Japanese. In doing this, we examine characteristics of quirky subject constructions in the two languages, and investigate what issues have been raised by such constructions. Focusing on the honorific agreement phenomenon in the two languages, we try to derive peculiarities of honorific nominals, and then use them for our explanation of quirky subjects. Though defective, φ-feature agreement does exist in Korean and Japanese with the so-called honorific feature as a gender feature. Adopting Sigurðsson's (2003) and Miyagawa's (2004,2005) Strong Uniformity Principle, which is essentially proposed by Chomsky (2001), we can successfully explain the gist of the phenomenon of quirky subject in Korean and Japanese.
    <논문2> An Integrated Study of Quirky Subjects in Natural Languages (II)-- Focusing on the Visibility of the Dative Experienc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tegrated account for the visibility of the dative experiencer in raising constructions. Adapting Boeckx's (2000) suggestion that there are two separate levels, i.e., the Match level and the Agree level, we propose that each of the two is subject to separate locality condition. In the Match level, an intervening inactive goal blocks further Match, and gives rise to the DIC effects. In the Agree level, Agree takes place serially between an activated probe and goals. Since inactive goals are invisible to Agree, no DIC effects arise.
    Given the separate locality condition on the two levels, we suggest that languages can be grouped into two types: the one in which the Match level is separated from the Agree level (Icelandic, Italian, and French, etc.) in the process of syntactic operations, and the other in which Match is a part of Agree (English, Korean, and Japanese, etc.). In the former, Move takes place under Match in absence of Agree, and thus, raising across the experiencer is not allowed due to the DIC. In the latter, no DIC effects arise since Agree is a prerequisite to Move. As a result, raising across the inactive experiencer is allowed. This explains the different behaviors of the experiencer in inducing the intervention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of languages.
    We believe that the current approach can provide a natural explanation for the quirky subject constructions. In languages that have the Match level, a dative can move to Spec,TP under Match to assume a quirky subject. Movement of a nominative DP across the dative will result in the DIC violation. In languages that do not have the Match level, Move takes place under Agree. Thus, a dative cannot move to the subject position unless it is reactivated by additional structural Case rendered visible by a probe that is capable of entering into multiple Agre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의의는 대략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언어 이론의 발전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학제적 성격을 띤다.
    둘째, 본 연구는 일반 언어 이론, 특히 생성문법의 이론적 발전에 공헌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국어학계와 영어학계, 그리고 일반 언어학계에서 후속 연구를 파급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의의를 고려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 또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정규격, 주어, 목적어와 같은 격 이론적 개념에만 그 논의가 국한되지 않고 일치 현상에 대한 연구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기 때문에 과연 인구어의 굴절과 한국어의 교착이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가 하는 문제에 대해 깊은 설명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편의 논문으로 발표하고 추후 더 많은 자료분석이 이루어지면 저서로 발간할 계회도 있음.
  • 색인어
  • 논문1: additional structural Case, Agree, DIC, EPP, feature inheritance, honorific agreement, nominative object, PCC, quirky subject, silent features, Uniformity Principle, φ-features 논문2: Match level, Agree level, Multiple Agree, DIC, PCC, nominative object agreement, locality, reprojection, quirky subjec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