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60&local_id=10013452
한국 유아(幼兒)의 신체적 경험에 의한 은유 습득과 발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유아& #40;幼兒& #41;의 신체적 경험에 의한 은유 습득과 발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종열(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8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유아의 은유 습득과 발달에 대한 연구는 은유가 우리의 신체적 경험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하는 인지언어학의 중심적인 생각을 가장 강력하게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된다. 또한 국어학에서 소외된 언어습득 분야에 대하여 중요한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경험적 연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해 밝혀진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은유 유형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은유 능력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모든 연령에서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도가 추상적인 대상에 대한 이해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의 발달은 3세부터 시작되지만, 상대적으로 4세와 5세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즉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은 3세부터 나타났지만, 4세 때부터 두드러지게 향상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추상적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계적 유사성에 의한 은유 이해 능력은 5세부터 비로소 유의미하게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은 3세와 4세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유의미하지도 않지만, 5세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감정개념을 포함하는 개념적 은유에 대한 이해 능력은 비로소 5세부터 점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4세와 5세가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과 언어능력은 매우 긴밀한 상관성을 맺고 있는데, 은유 유형에 대한 이해 능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이해 언어 능력과 표현 언어 능력 사이의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표현 언어 능력 보다는 이해 언어 능력과의 상관성이 더 긴밀하게 나타났는데, 유아들의 은유 이해 능력은 은유 표현에 나타나는 어휘 의미에 대하여 이해 능력의 수준이 표현 능력의 수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유아의 은유 능력은 대체로 형용사 습득의 시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명사가 가지고 있는 어휘적 정보가 형용사 습득에 영향을 주는 데 대부분 유아의 은유 표현은 명사와 관련된 표현에 생산적이기 때문이다. 즉 은유 표현이 서로 다른 두 개념들 사이의 속성들에 대한 추론적 사고와 관련되며 대상의 속성은 형용사를 통해 드러나는데, 구체적인 대상의 개념적 속성은 대상의 형태지각적 특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하며, 그러한 추론적 능력이 언어 형태로 직접 나타나는 시기는 명사 습득 시기를 거쳐 그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습득 시기와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 즉 형용사를 습득하게 될 무렵, 비로소 대상 사이의 관련된 속성을 연결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인지능력이 발달되는 것이다.
    여섯째, 유아들은 일차적으로 사물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이차적으로 그 사물의 위치나 공간적 경험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공간에 대한 경험은 유아들의 은유표현에 있어서 사물에 대한 개념과 융합될 때 더 생산적으로 나타난다.
    일곱째, 유아의 감정은 성인의 그것만큼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사랑’이나 ‘화’ 등과 같은 감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은유적 표현을 관찰할 수 있지만, 미움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에 대해서는 은유적 표현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감정과 관련된 유아의 은유 표현을 조사하게 되면, 아마도 특정 감정에 편향된 은유 표현이 더 잘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감정과 관련하여 유아들이 사용하는 근원영역의 특징을 살펴보면, 그 시기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경험적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덟째, 유아의 은유표현에 나타나는 경험적 구조 즉, 이미지도식은 물리적 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데, 그 중 유생성의 개념은 어린 나이에서부터 유아는 그 자체로 움직이는 실체(자체-유발적 이동(self-instigated motion))와 움직이도록 강요되거나 만들어지는 사물(사역이동(caused motion) 또는 강요(compulsion)) 사이의 차이를 알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유아는 그들이 지각한 것을 경험에 의해 공유되는 추상적 자질로 표상하여 일반화함으로써 이미지도식을 사용하는 데 몇 가지의 이미지도식이 유생성에 대한 유아 이해의 기초로 제공된다. 그 예로 LINKED PATHS(연결 경로), 봉쇄(BLOCKAGE), 전환(DIVERSION)도식을 기초적인 이미지도식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유아의 은유표현에 나타나는 이미지 도식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도식의 유형은 그릇도식이며 그 외에 안-밖 도식, 사물도식 등이 나타났다. 경로도식이나 연결도식등은 위계적으로 그릇도식의 하위 도식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실제 연령별 은유표현들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young children's metaphor comprehension and metaphor types with the function of age, attempting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metaphor comprehension and language compet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children, with 41 3-, 42 4-, 40 5, 40 6-year-olds subjects in each group, respectively. The metaphor comprehension measurement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omprehension using metaphor tasks which include concrete metaphors involving perceptual and functional similarity as well as abstract metaphors involving abstract conceptual and emotional domains.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and Language Competence Test are assessed by the unexpected location change and unexpected content change tasks. Th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age in metaphor comprehension by revealing that 3-year-olds were poor in all the metaphor tasks(perceptual similarity, functional similarity, abstract conception, emotional expression task), leading to lower performance outcomes. Among given tasks, the young children scored highest in perceptual similarity, followed by functional similarity. Also, abstract metaphors were found to be more difficult task than concrete ones and the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with age. Finally, the understanding of metaphors was closely tied to understanding of vocabulary meaning, with increases in language competence leading to better comprehension of metaph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만 3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幼兒)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일상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은유 표현들의 의미적 특징과 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한 유아들의 은유 표현에 대한 이해와 생산의 과정이 발달 초기의 신체적·감각적 경험과 밀접한 상관성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조사 단계에 따라 세 가지 세부적인 주제를 설정하였다. ■ 1차 조사 : 유아의 은유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은유 목록화 연구 / ■ 2차 조사 : 유아 은유 표현의 발달 및 습득 과정 연구 / ■ 3차 조사 : 유아의 은유 이해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러한 조사 단계에 따른 연구 내용 개요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은유 이해도 측정을 위한 은유 이해 과제 목록 : 유아들의 은유 이해도를 측정하기 유아용 동화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첫째, 각 은유 유형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를 측정(연령별, 성별에 따른 발달적 경향)하고, 둘째, 은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이미지적 요인, 개별적 경험 요인, 맥락적 요인 등) 하기 위하여 은유 이해 과제 목록을 개발하였다. 이 과제 목록은 총 27과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체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 측정-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구체적인 개념 대상인 경우 12개 과제와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 측정-목표영역이 추상적인 대상인 경우 15개 과제를 포함한다. (2) 유아 은유 이해 능력과 습득과 발달 양상 : 첫째, 모든 은유 유형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은유 능력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모든 연령에서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도가 추상적인 대상에 대한 이해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의 발달은 3세부터 시작되지만, 상대적으로 4세와 5세와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즉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은 3세부터 나타났지만, 4세 때부터 두드러지게 향상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추상적 대상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계적 유사성에 의한 은유 이해 능력은 5세부터 비로소 유의미하게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은유 이해 능력은 3세와 4세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유의미하지도 않지만, 5세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감정개념을 포함하는 개념적 은유에 대한 이해 능력은 비로소 5세부터 점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4세와 5세가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유아의 은유 이해 능력과 언어능력은 매우 긴밀한 상관성을 맺고 있는데, 은유 유형에 대한 이해 능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이해 언어 능력과 표현 언어 능력 사이의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표현 언어 능력 보다는 이해 언어 능력과의 상관성이 더 긴밀하게 나타났다. (3) 유아의 신체적 경험에 따른 이미지 도식의 양상과 은유적 확장 : 사물 개념의 은유적 확장-유아의 초기 은유적 표현의 양상은 주로 구체적인 사물의 개념적 속성을 통한 형태지각적 특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은유가 많다. 이러한 추론적 능력이 언어 형태로 직접 나타나는 시기는 명사 습득 시기를 거쳐 그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습득 시기와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형용사를 습득하게 될 무렵, 비로소 대상 사이의 관련된 속성을 연결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인지능력이 발달되는 것이다. 은유 표현이 서로 다른 두 개념들 사이의 연결을 통해 성립된다고 볼 때, 속성 간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은유적 표현은 유아의 언어 습득 과정에 있어서 형용사 습득의 시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공간개념을 나타내는 위치어의 습득은 전체 습득 어휘 가운데에서 나타나는 순서가 밖(53.6%)→앞(46.3%)→위(45.5%)→뒤(44.0%)→안(43.3%)→밑(36.8%)→옆(35.3%)→아래(35.1%)로 나타난다. 이는 신체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공간개념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미 확립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의 의문사의 습득 순서가 ‘무엇→어디→왜’의 일정한 순서로 습득된다는 사실(장유경, 2004: 102)로 미루어 볼 때, 유아들은 일차적으로 사물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고, 이차적으로 그 사물의 위치나 공간적 경험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공간에 대한 경험은 유아들의 은유표현에 있어서 사물에 대한 개념과 융합될 때 더 생산적으로 나타난다. 감정 개념의 은유적 확장-대체로 유아의 감정은 성인의 그것만큼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사랑’이나 ‘화’ 등과 같은 감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은유적 표현이 나타난다. (예) F11858 : 아빠 엄마 사랑에 빠졌나봐요.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이제까지 은유 및 환유에 대한 비유 연구가 이론 중심의 기술적 연구 흐름에서 벗어나 이를 인간의 비유 습득과 인지 발달 단계에서 직접 확인하고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로 심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유아의 은유 습득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는 최근 Johnson(1997)이 은유를 습득하는 연령을 찾고 은유 습득과 관련된 기제를 찾아내기 위해 ‘Shem’이라는 어린이의 성장 과정에서 기록된 발화들을 조사 관찰한 연구가 있다. 은유 습득에 대한 연구는 인지언어학, 심리언어학, 발달심리학, 뇌과학 분야 등과 같은 학제적인 성격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진행되어 왔던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모두 검토해 봐도 은유 습득에 관한 전면적이고 직접적인 연구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구축된 유아용 입말자료는 아직 한국 유아들의 모국어 습득에 대한 기초 자료가 없는 실정에서 영어의 초기 어린이 언어 습득에 대한 정밀한 전사 자료인 CHILDS에 버금가는 의미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인간 마음의 본질을 탐구함에서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학문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좋은 학제적·경험적 연구 사례로서 한 차원 높은 설명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체적 기반에 바탕을 둔 유아들의 은유 습득 과정은 인간의 신체화와 체험주의적 철학과 관련된 학문적 담론을 활발하게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상관성은 뿌리 깊은 철학적 문제로서 서양철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몸과 마음은 무관하거나 대립하는 것으로 여겨왔다. ‘객관주의(objectivism)’ 철학에서는 ‘사고’를 추상적이며 신체와 분리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 까닭은 사고가 우리의 신체, 지각체계, 신경계통의 어떤 제약과도 무관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 결과 ‘마음’은 인간의 이성을 특징짓는 고상한 역할에 관여되는 것인 반면, ‘몸’은 동물과 같은 수준의 낮은 차원으로 취급하였다. 하지만 ‘체험주의(experientialism)’철학에서는 우리의 상상력, 의미, 그리고 이성과 관련된 정신 능력은 모두 유기체인 우리의 몸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며 몸에 의해 적절하게 제약되어 있다고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Lakoff & Johnson(1999)은 『몸의 철학(Philosophy in the Flesh)』에서 마음은 본유적으로 신체화되어 있으며, 사고는 대부분 무의식적이며, 추상적 개념들은 대체로 은유적이라고 하는 세 가지 인지과학적 발견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체험주의 담론은 전통적으로 논외에서 경시되거나 무시되어 온 신체의 역할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인간의 이성과 이해에 관한 좀더 포괄적이고 적절한 해명을 시도하려는 새로운 학문적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셋째, 유아들의 은유 습득에 대한 경험적 연구 결과와 그 자료, 그리고 이를 기초로 작성된 은유 목록 등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철학, 심리학, 아동학, 언어병리학, 교육학, 뇌과학, 신경과학 등과 같은 인접학문에 직접적인 파급효과를 미치게 될 것이다. 특히 언어학에서는 최근 생생한 언어 자료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입말(구어 말뭉치) 자료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데 비해 구축된 입말 자료는 소규모로 신문이나 방송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가 대부분이고 실제 유아 및 아동의 실제 발화 자료를 모아 구축한 입말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언어 연구, 특히 의미 습득에 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자료로서 그간 소외되어 왔던 언어 습득 연구를 위해 자료적 효용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유아들의 어휘 및 개념 습득과 발달 양상이라든지 유아들의 의미 확장 과정 연구, 그리고 유아들의 화법 능력에 대한 연구 등은 이러한 자료를 통해 파생될 수 있는 연구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제 간 적용 가능한 연구 과제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언어학 : 유아의 개념 확장 과정과 그 특징적 양상 탐색, 유아들의 대화 특징과 담화 구조 연구, 어휘 습득 및 문법화 과정에 대한 연구 등.■ 철학 :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실증적 자료, 마음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탐구 등. ■ 심리학 : 은유 사용과 이해의 심리적 특성, 이미지 도식의 심리적 실체 분석. ■ 아동학 :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와의 관련성, 유아 및 아동의 이미지도식의 습득 및 발달적 과정, 유아 및 아동의 개념 발달 과정. ■ 뇌과학 및 신경과학 : 은유 습득과 발달에 관여하고 있는 뇌영역의 fMRI 검사 ■ 교육학 :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창의성 증대를 위한 교수법 개발 등.
    넷째,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유아 교육프로그램이나 성장 발달프로그램 등 다양한 목적에 따른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환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색인어
  • 은유 습득(metaphor acquisition), 은유(metaphor), 환유(metonymy), 지각적 유사성(perceptual similarity), 인지영역(cognitive domain), 인지사상(cognitive mapping), 구체적 은유(concrete metaphor), 감정은유(emotion metaphor), 공감각은유(synaesthesia metaphor), 이미지 도식(image schema), 은유이해능력(metaphoric comprehension ability), 동기화(motivation), 신체화 경험(embodied experience), 부각화(highlighting), 언어능력(linguistic capacity), 인지능력(cognitive capac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