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65&local_id=10017903
아동기 성학대 발생과 전개과정에 관한 기초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아동기 성학대 발생과 전개과정에 관한 기초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인영(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08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아동기 성학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정책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먼저 일차년도의 연구는 1) 아동기 성학대 발생률에 관한 전국조사, 2) 성학대 관련 기관에 접수된 사례 조사라는 두 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아동기 성학대 경험과 발생률을 파악하기 위한 전국규모의 조사에서는,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전국을 대표하는 표본을 구성하여 총 2,037명을 대상으로 18세 이전의 성학대 경험유무 및 관련변인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동 성학대 관련기관에 신고된 피해 아동 사례에 대한 조사에서는 관련 기관에 접수된 225사례에 대해 구조화된 조사표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학대 경험이 피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특성, 가해자의 특성, 성학대의 유형 등에 따라서 피해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기 성학대 경험과 발생실태에 관한 전국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어른 5명 중 한 명(20.8%)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아동기 성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 사회에서도 아동기 성학대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28.4%)의 경우 아동기에 성학대를 경험한 비율이 남성(13.5%)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성학대 피해에 대한 대응방법으로는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도움도 받지 않음’이 모든 유형의 성학대에 있어 가장 주된 대응방법이었으며, 도움을 받았던 경우도 부모, 가족, 친척, 친구 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도움에 의존했던 것으로 나타나 아동 성학대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 방안의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아동 성학대 관련기관에 신고된 피해아동의 사례조사 결과에 의하면, 성학대 피해의 부정적인 영향(신체, 심리, 행동, 학교적응, 외상후증후, 성행동)에 있어서 성별, 피해당시의 나이, 피해시점으로부터의 경과기간 등에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는데,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심각한 영향을 받으며, 피해아동의 나이가 11세보다 많고, 피해시점으로부터의 경과기간이 1년 이상 된 아동일수록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2차년도의 연구는 1차년도에 진행된 아동기 성학대/성폭력 발생에 관한 전국 실태조사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성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의 적응과정과 경험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연구분석을 하였다. 특히 성학대/성폭력 발생과정, 성학대/성폭력으로 인한 심리, 정서적 영향, 성학대/성폭력 노출과정에서 가족 및 주변환경의 반응, 쉼터에서의 경험 등 성학대/성폭력과 관련된 본질적인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성학대 피해 후 쉼터에서 생활하는 만 8세부터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0)이 개발한 근거이론 방법과 해석학적 현상학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아동성학대 피해아동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남과 다른 것에 대한 불편함’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은 ‘친모의 양육부재’,‘부의 상식이하의 행동’,‘강압된 성관계’,‘외부로 알려짐’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벗어날 수도 가까이 갈 수도 없는 가족체계’,‘외부로 알려진 것을 후회함’, ‘발설하지 못함’3가지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쉼터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폭력기억의 후유증’과 ‘상황개선을 시도함’ 두 가지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는 ‘희망의 엿봄’과 ‘미래에 대한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 및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모든 정책개발 및 개입을 위한 실천의 지침들은 기초적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립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일차 년도 결과는 향후 아동 성학대 문제에 대한 정책개발이나 개입방향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차 질적인 분석자료는 성학대 피해아동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봄으로써 공급자적 관점에서의 서비스가 아니라 주체적 관점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성폭력에 대한 시각이 피해자에게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드러냄으로서 성폭력 피해자를 타자화하거나 성폭력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의 태도를 요구하는 사회적 인식의 검증을 요구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two-year nationwide research on child sexual abuse in Korea to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social interventions against the problem.
    The first year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a nationwide survey focusing on the prevalence of child sexual abuse and a survey targeted at children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themselves. For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we surveyed 2,037 persons aged 19-54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ir experience of sexual abuse during the childhood and related variables. For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we surveyed 225 cases of child sexual abuse that were reported to agencies related to child sexual abuse,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f sexual abuse on victimized children and how those effects would var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offenders and types of sexual abu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shows that 1) about one in every five person in the sample (20.8%) experienced at least one type of sexual abuse during their childhood, which indicates that the Korean society is not any more immune to child sexual abuse; 2) female (28.4%) is over twice as likely to experience child sexual abuse as male (13.5%); and 3) regarding follow-up measures for sexual abuse, "not informed to any one and did not get any help at all" is the most major one for all types of sexual abuse. Even those who got help were reported to depend heavily upon private routes such as parents, relatives, or friends, which indicates the urgency of establishing systematic intervention schemes for the problem.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reveals that 1) girls and victims older than 11 years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compared to boys and victims aged below 11, respectively; 2) victims who immediately reported sexual abuse are less seriously affecte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ho reported the experience after a year or later; 3) those who were victimized by the acquainted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and 4) victims of abuse associated with violence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The second year research is presen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victims of abuses by their biological and step fathers who had reported to and been protected by a shelter or their mother. The participants consist of 13 girls, in the age 8-17.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documents that written their stor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0) and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original material, we extracted 124 concepts and presented 43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of sexual abuse was 'inconvenience of difference'. The casual condition which invoke the central phenomenon was largely divided to 'family stability collapse', 'coerced sexual rel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which influenced the core phenomenon were ' keep a secret', 'I can not cop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ch accelerate or suppres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to central phenomenon were confirmed as 'good and bad feeling about shelter'.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entral phenomenon were ‘Endless cycle of violence', 'improvement of situation' and the result of these strategies was presented as a 'glimpse of the future', 'Helplessness’. Sexual abuse by fathers is humiliation not the fathers but also to the victims. Social services should be designed not to remind the abused children of their experience and not to allow the children to view themselves as a pitiful or humiliated exist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아동기 성학대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국가정책과 서비스 개발 등의 사회적 개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동기 성학대에 대한 체계적인 전국규모의 연구를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차 년도의 연구는 1) 아동기 성학대 발생에 관한 전국조사와 2)실제 보고된 성학대 사례에 대한 전수조사의 두 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아동기 성학대 경험과 발생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조사에서는, 비례 할당 추출에 의한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3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조사표를 이용하여 18세 이전의 성학대 경험유무 및 관련변인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아동 성학대 관련기관에 신고된 피해 아동의 전수조사를 목표로 한 성학대 사례에 대한 전수조사에서는 전국아동보호관련전문기관에 접수된 225사례에 대해 구조화된 조사표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학대 경험이 피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특성, 가해자의 특성, 성학대의 유형 등에 따라서 피해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기 성학대 경험과 발생실태에 관한 전국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표본의 20.8%(423명)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아동기 성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 사회에서도 아동기 성학대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28.4%)의 경우 아동기에 성학대를 경험한 비율이 남성(13.5%)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성학대 피해에 대한 대응방법으로는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도움도 받지 않음’이 주된 대응방법이었으며, 도움을 받았던 경우도 부모, 가족, 친척, 친구 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도움에 의존했던 것으로 나타나 아동 성학대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 방안의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아동 성학대 관련기관에 신고된 피해아동의 전수조사 결과에 의하면, 성학대 피해의 부정적인 영향(신체, 심리, 행동, 학교적응, 외상후증후, 성행동)에 있어서 성별, 피해당시의 나이, 피해시점으로부터의 경과기간 등에 차이가 존재함이 밝혀졌는데,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심각한 영향을 받으며, 피해아동의 나이가 11세보다 많고, 피해시점으로부터의 경과기간이 1년 이상 된 아동일수록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2차년도의 연구는 1차년도에 진행된 아동기 성학대/성폭력 발생에 관한 전국 실태조사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성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의 적응과정과 경험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연구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성학대 피해 후 쉼터에서 생활하는 만 8세부터 18세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0)이 개발한 근거이론 방법과 해석학적 현상학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성학대/성폭력 발생과정, 성학대/성폭력으로 인한 심리, 정서적 영향, 성학대/성폭력 노출과정에서 가족 및 주변환경의 반응, 쉼터에서의 경험 등 성학대/성폭력과 관련된 본질적인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남과 다른 것에 대한 불편함’으로 상정하였고 인과적 조건은 ‘친모의 양육부재’,‘부의 상식이하의 행동’,‘강압된 성관계’,‘외부로 알려짐’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벗어날 수도 가까이 갈 수도 없는 가족체계’, ‘외부로 알려진 것을 후회함’, ‘발설하지 못함’3가지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쉼터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으로 상정하였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폭력기억의 후유증’과 ‘상황개선을 시도함’ 두 가지로 나타났다. 결과는 ‘희망의 엿봄’과 ‘미래에 대한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아동 성학대 문제에 대한 정책개발이나 개입방향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2차년도의 질적인 분석자료는 성학대 피해아동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봄으로써 이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하는 개입방안을 논의하는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전국적 실태조사와 함께 실제로 성학대/성폭력이 일어나는 전개과정 및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 인터뷰와 분석을 통해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아동 성학대/성폭력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나아가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개입프로그램과 정책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1) 학문적 기여도 및 활용방안

    (1) 아동 성학대/성폭력 연구의 기초 자료 제공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의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시발점으로서 다양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2)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 제시
    본 연구는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관한 연구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양적분석이 일반적인 우리 학계에서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질적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성학대/성폭력 전개과정과 영향을 현상학적으로 밝히는데 기여할 것이며, 후속연구를 위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국가간 비교연구를 위한 자료 제공
    아동학대는 그 사회의 문화적인 특성이나 아동양육방식과 관련되는 문제이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결과는 한국적 문화에 적합한 아동학대 국가정책수립의 기초 데이터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다른 국가 및 문화와의 비교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도 및 활용방안

    (1) 아동 성학대/성폭력 관련 요인의 다각적인 탐색
    본 연구는 아동 성학대/성폭력의 전개과정에 대한 결과분석을 통해 아동 성학대/성폭력 발생과 이후 과정에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아동 성학대/성폭력 과정 및 관련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결과들은 실천현장에서의 개입이나 예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다분야간 연계 증진
    한국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아동학대의 문제는 아동복지 영역이며, 따라서, 이의 개입이나 해결에 있어서도 아동복지분야의 전문가들만이 관여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성학대/성폭력 아동의 치료나 개입에 있어서 요구되는 심리, 정서적 치료 및 사회적 개입에 있어서 다분야 전문가들간의 상호연계적인 협조체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 성학대 개입시 학문적, 실천적 연계성의 강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3) 아동 성학대/성폭력 관련 정책 개발의 자료 제공
    본 연구의 기초적 실태조사는 한국사회의 아동 성학대/성폭력 실태를 파악하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존정책의 보완 및 새로운 정책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2차 질적인 분석자료는 성학대 피해아동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봄으로써 공급자적 관점에서의 서비스가 아니라 주체적 관점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4)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 유도
    본 연구 결과는 아동 성학대/성폭력의 실태를 제시함으로써 아동 성학대/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시각이 피해자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드러냄으로서 성폭력 피해자를 타자화하거나 성폭력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의 태도를 요구하는 사회적 인식에 대한 검증을 요구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3)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성에 대한 기여도 및 활용방안

    (1) 아동학대 관련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의 활성화
    본 연구의 결과 성학대 피해아동들은 쉼터에 입소한 뒤 실무자들이 갖고 있는 성학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는 아동학대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요구하는 근거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시간의 강화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2) 교육기관과 연계된 전문프로그램 실시확대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실시와 관련하여, 아동학대와 관련된 각종교육은 매우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이므로 이는 지역사회의 대학이나 연구소 등 전문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소재의 대학내 관련학과 교수 및 대학원생을 활용하여 아동학대실무자들에 대한 정기교육, 세미나 및 Workshop 등을 개최하는 것은 교육내용의 전문성을 증대시킬 뿐 만 아니라, 교육기관과 실천현장의 연계성을 강화함으로써 실천학문으로서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아동 성학대, 전국조사, 성학대 경험, 성학대 발생실태, 성학대 영향, 적응 과정, 성학대 경험의 본질, 질적 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