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68&local_id=10020752
근대 교육 현장성 위기와 지성의 대응: 중국 간도와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대 교육 현장성 위기와 지성의 대응: 중국 간도와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민남(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10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한국교육에 대해 역사적 조망
    첫째, 식민지 교육정책(권력)에 의한 현장성 숙고의 차단
    둘째, 가르치는 자(교육의 주체)에 의한 현장성 숙고의 복원
    한국 교육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준거는 "교육주체의 현장성 숙고는 정치사회에서 훼절되기 일쑤였지만 그러나 현장성 숙고는 어떤 난관에도 꺾이지 않고 이어진다."는 것이었다.

    2. 연구과제 설정
    이 역사적 조망에 따라 과제 중심으로 우리의 연구주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과제 1> 야학 투쟁에 나타난 현장성 숙고의 성격과 전개양상을 추적.
    <과제 2> 일제의 「시험제도」에 의해 현장성 숙고가 약화되고 그 자리에 관료행정 지배가 강화된 경로 분석.
    <과제 3> 학교의 현장성 숙고의 배경으로서
    소과제 ① 인적 물적 낭비구조
    소과제 ② 인문적 환경과 도덕적 분위기
    소과제 ③ 행정우위

    3. 심포지엄 개최
    연구과제 수행을 위해 ‘지역문화연구 사람대사람'(구 교육문화연구소)는 매년 1회씩 모두 3회에 걸쳐 학술심포지엄을 주최하였다.
    1차 학술심포지엄: "교육현장성 개념과 중국 간도지역 자료 분석"(2006.6.24)
    2차 학술심포지엄: "근현대 한국교육의 이론과 실천"(2006.12.16)
    3차 학술심포지엄: "근대 교육현장성 위기와 지성의 대응"(2008.8.23)

    4. 간도지역 사료 수집
    우리는 간도․만주지역의 야학에 대한 사료를 수집하는데 집중하였다. 구술과 문헌사료 수집을 위해 우리 팀은 4차례 간도를 방문하였다.

    1차 간도 방문 및 면담조사: 서간도 통화, 유하, 매화구, 반석, 교하, 액목 노인 57명
    액목현 학교사진 10점(2006.8.1-8.15)
    2차 간도 방문 및 면담조사: 서간도 단둥, 신빈, 환인, 관전 노인 28명
    (2006.10.2-10.13)
    3차 간도 방문 및 면담조사: 액목현 학교사진 심층 면접(2007.4.19 -5.2)
    4차 간도 방문 및 면담조사: 북간도 왕청, 연길 노인 및 전문가 20여명(2008.2.1-2.12)

    5. 연구 성과
    3년간 우리는 아래와 같은 연구성과를 생산했다.
    1) 공동 성과: 전문학술저서 3권, 자료집 2권
    2) 과제별 성과
    <과제 1. 지역의 야학운동>, 논문 4편, 학술발표대회 4회
    <과제 2. 시험제도와 사회적 대응> 논문 7편
    <과제 3. 학교의 현장성 숙고> 논문 5편, 학술발표대회 7회
  • 영문
  • 1. The historical perspective to Korean Education

    First, the isolation of considering the field of education by the colonial education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Second, the restoration of considering the field of education by the educators.

    These theoretical criteria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affairs in Korean education suppose that even though the consideration is easily surrendering, the considering of educational field by the subject of education is continuing in front of any kind of difficulty.

    2.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task

    We established our research theme centering on the task according to the historical perspective.
    <Task 1> The tracing of character and unfolding appearance of the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field embedded in the struggle of Yahak.
    <Task 2> An analysis of the tracks that the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field was weakened and the administrative ruling of officials was reinforced by the test institut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Task 3> As the background of consideration of the field of school,
    A small task ① The wasting structure of Korean schooling
    ② 'Humanistic' environment and moral atmosphere
    ③ Administrative superiority

    3. The holding of symposium

    The 'a corporation, Man to Man'(the Institute of Education and Culture) held the academic symposium three times for 3 years(one time per each year) under the joint auspices.

    The first academic symposium: "The concept of educational field and an analysis of materials about 'Gando' region in China""(2006.6.24)
    The second academic symposium: "The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in the modern times"(2006.12.16)
    The third academic symposium: "The crises of educational field and responses of the intellectuals"(2008.8.23)

    4. The collection of materials about Gando

    We centered our concern and energy to collect materials about Yahak in Gando-Manchuria. We visited Gando 4 times to collect oral history and documents.

    First visit of west Gando and survey of personal conversations: 57 old persons who live in Tonghwa, Yooha, Maehagoo, Bansuk, Gyoha, Aekmok-hyun. Ten pictures of Gyoha elementary school in Aekmmok-hyun.
    Second visit of west Gando and survey of personal conversations: 28 old persons who live in Dandong, Sinbin, Hwanin, Guanjeon-hyun.
    Third visit of west Gando and survey of personal conversations: Deep interview about school pictures in Aekmok-hyun with some old persons.
    Fourth visit of north Gando and survey of personal conversations: 20 or more old and professional persons who live in Wangchung, Yenji.

    5. The outcome of research

    We produced the outcome of research for 3 years as follows:
    1) Cooperation outcomes: 3 professional academic books and 2 data books
    2) Task outcomes:
    <Task 1 Yahak movements of region> 4 journal papers and 4 Conference papers.
    <Task 2 Test institution and social response> 7 journal papers.
    <Task 3> 5 journal papers and 7 conference pap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 목적 및 배경
    1) 공교육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사적개입에 무방비로 노출된 교육현장, 이 모순은 역사적 조건의 산물이다. 역사적 조건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다면 이 모순을 극복할 수 있다. 이것이 우리의 문제의식이다.
    2) 어떻게 우리의 인식을 철저하게 할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하면서, ‘온 마을이 함께 참가하고 함께 운용하는 공교육 전통이 우리문화에 붙박여 있다’고, ‘이 공교육 전통은 어떤 역사적 난관 앞에서도 살아남아 계승되고 있다’고 신념했다. 이 신념은 우리연구의 방법론적 단서가 되었다.
    3) 우리는 일단 다음과 같은 개념틀로 재진술하여 우리교육을 읽어내려고 했다.
    (1) 사적개입을 허용하는 내부기제가 작동하고 있다. 그 기제의 성격은 ‘정답-진도-성적’이라는 도식적 규칙
    이다.
    (2) 사적개입을 강화하는 외부기제가 작동하고 있다. 그 기제는 입학, 입직의 성적우수자 중심의 선발방식을
    포함한다.
    (3) 역사적으로, 국가개입이 사적개입을 유인 확대하는 직접적 원인이었다.
    (4) 침략교육정책을 가지고 우리의 ‘공’교육전통을 파손시키고 ‘사’교육을 확장시켰듯이, 다시 ‘공’교육정책
    을 가지고 사적개입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우리의 공교육전통을 되살리는 결과에 이르게 될 것이
    다.
    4) 우리는 분석을 위한 ‘이론적’ 준거를 명확하게 하는 일을 고민했다. 연구주제를 설정할 때 제시된 다소간 불명료한 분석준거를 연구참여자 모두가 세미나를 통해 세련시켰다. 역사적 탐색을 위한 분석의 준거를 설정하고자 했다. 우리가 정립한 분석의 이론적 준거는 이러하다.

    “교육주체의 현장성 숙고는 정치사회에서 훼절되기 일쑤였지만
    그러나 현장성 숙고는 어떤 난관에도 꺾이지 않고 이어진다.”

    5) 우리는 이렇게 설정한 분석의 준거를 가지고, 우리교육을 능히 역사적으로 조망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
    다. 이 분석의 준거는 우리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이 역사적 조망을 가능케 했다.
    첫째, 식민지 교육정책(권력)에 의한 현장성 숙고의 파손
    둘째, 가르치는 자(교육의 주체)에 의한 현장성 숙고의 복원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첫째, 대구・경북 지역과 간도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우리의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이 연구는 무엇보다 우리 교육현장성에 대한 인식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근대교육을 서구 교육, 또는 일제 교육의 이식으로 보는 시각을 거부하고, 이 연구를 통해 ‘우리 교육학하기’의 방법론적 단서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기간동안 진행된 결과물을 이론서와 자료집으로 된 출판물로 묶어 내려고 한다.

    2) 인력양성 방안

    첫째, 연구기간 동안 간학문적 세미나를 운영하여, 구성원 모두에게 현장연구의 전문능력을 키워줄 것이다, 둘째, 학문후속세대의 경제적 안정과 학문적 능력을 증진시킬 것이다. 셋째, 지역 내 전문인력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문화사업의 기반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야학 시험 간도 만주 대구 경북 교육력 인문적 환경 근대 교육현장성 교직 만주국 한국독립군 사회주의 자본주의 소작쟁의 지주 마름 토지 농사 집단부락 귀툰 혁명 사진 노래 학교 낭비구조 관료 중앙 관치교육 지배구조 협화회 교장회의 교육연구회 학교조합 투쟁 이주 삶의 형태 안동 농민독본 천도교 프레이리 인문적 환경 교육문화 지원 회고록 이상룡 김동삼 구술 통계 우리교육론 학교설립 선전 학적부 시험지옥 객관식 문제 국가개입 새마을학교 천막학교 이중구조 교육비 조선족 항미원조전쟁 평생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