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82&local_id=10013631
미디어 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중등학교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디어 능력 촉진을 위한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와 교과과정 모델 연구: 중등학교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정춘(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16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1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미디어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미디어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틀 내에 미디어교육 과정이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바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범주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첫째는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이다.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는 미디어능력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도출하는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미디어능력은 단순히 기술적 훈련과 도구적 숙련성이라는 제한된 개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미디어에 대한 성찰적 접근과 이용의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즉, 미디어능력이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이용하며,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구성/제작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미디어능력의 구성범주는 지각/지식, 비판/비평, 이용, 구성/제작이라는 네 가지 차원에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능력의 범주를 바탕으로 미디어교육이 목표가 제시될 수 있다.
    둘째는 해외 주요 선진국들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현황 분석이다. 해외 미디어교육의 흐름과 특징에 대한 이해는 국내 미디어교육의 모델을 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캐나다, 호수, 미국, 독일 등 5개 국가의 미디어교육 사례를 분석했다. 해외 현황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면 1) 미디어교육의 목표가 미디어 독해, 비평/비판, 제작/활용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미디어교육의 제도화가 각 국가별 특성에 맞추어 실시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80년대 말에는 중등학교 졸업시험에 미디어교육을 포함했으며, 90년대에는 미디어교육을 교과과정으로 공식화 하고 전문선택과목의 형태로 대학입학 시험에 반영하고 있다. 호주, 캐나다, 미국의 경우 각 주마다 독자적 커리큘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3) 미디어교육의 제도화를 토대로 공교육 내에서 미디어교육 교과과정 방식은 통합교과 교육의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가별 교육체계에 따라 구체적인 교과과정은 서로 상이함을 보여주지만, 공교육 내 미디어교육의 방법은 통합교과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셋째, 국내 미디어교육의 실천적 경험을 종합하고 있다. 국내 미디어교육의 발전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시민사회단체는 사회운동 및 시민교육의 일환으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 미디어교육의 주요 주체로서 그 역량을 축적해 왔다. 시민사회단체와 더불어 미디어교육에 참가하고 있는 영역으로는 공공단체 및 교사자율단체들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미디어교육의 실천 및 풍부화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학교교육 내 미디어교육 필요성이 확산되면서 시민사회단체의 출장교육이 학교 특별활동과 연계되어 실시되는 등 시민사회단체와 학교교육의 결합이 확산되고 있고, 학교 내부에서는 교사자율단체들이 그 역량을 축적하면서 학교 미디어교육의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국내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접목가능한 미디어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앞서 살펴본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사례분석, 그리고 심층 및 포커스 그룹인터뷰,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고 있다. 국내 교육과정은 교과과정,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나누어지며, 정규교육과정 외로는 특기적성교육과 동아리활동이 있다. 요컨대, 미디어교육은 이 다섯 영역에서 접목 가능한 것이다. 현실적인 면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선택형 독립교과형과 통합교과형 미디어교육 모델이라는 두가지 차원을 제시한다. 하지만, 미디어교육이 공교육의 틀 내에서 정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독립교과형 교육형태를 지향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영문
  • This study purpose to establish theoretical systematization of media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curriculum model which focus on secondary school media education curriculum for media competence promotion. The major premi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at media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public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develop juvenile's media competence.
    For this, the study discuss below four topics which had accomplished research investigation of wide range. The first thing is about th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of media education. It consists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edia competence and taking the aims and subjects out of this conceptualizing. Media competence means that one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media with criticism, utilize the media with activeness, and construct or produce the media contents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The category of media competence consists of four abilities to the media: perception/knowledge, criticism, utilize, construction/production.
    Second, this study analyse the present status of advanced countries for media education, which can give us some useful ideas to construct the media education model of schooling. So, this study examine the media education model of five countries: England, Canada, Germany, Australia, and USA. The current features from abroad are below: 1) the purpose of media education has expanded into wide range which include the literacy, criticism, production/utilization of media, 2) the institutionalize of media education has initiated with relation to their education system traits. For example, in England, media education was formulated as the regular curriculum of schooling in 1990' and included among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3) The main stream of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is integrated curriculum system which combine media education with the independent subject of regular curriculum.
    Third, this study colligate and also analyse media education practice in Korea. Civic institutions, in Korea, have done very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education. They have practiced media education as a social movement and civil education and accumulated their ability for media education. The public corporation and the autonomous groups which consist of teachers have also contributed the richness of media education from the late of 1990'. These days, civic institutions send media education instructor to the school for club activities, and teacher's autonomous groups make efforts and keep in touch with civil groups to establish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Fourth,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 the media education model which can graft into the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It is based on various analyses which mentioned above and researches. Research methodologies are case studies,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s interview. The curriculum of schooling in Korea contains regular subjects, discretion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In relation, this study suggest two kinds of models to initiate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especially for the secondary school: one is a multiple-choice independent curriculum model that student can choice media education as a independent regular subject. the other is an integrated curriculum model that combine media education into regular subjects. However, this study final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former model in order to accomplish the ultimate purpose of media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해지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미디어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가 특히 중등학교 공교육에 접목 가능한 미디어교육 모델에 주목하는 것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미디어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틀 내에 미디어교육 과정이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 둘째, 서구 미디어교육의 사례 검토, 셋째, 국내 미디어교육의 경험적 실천을 통한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했고, 넷째, 이를 토대로 국내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접목 가능한 교과과정 모델을 구성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수행했다. 첫째는 문헌분석 및 담론분석이다. 이를 통해 미디어 교육의 이론들을 종합했으며, 나아가 미디어능력의 촉진이라는 목표 아래 이론적 체계화를 모색했다. 둘째로 해이 및 국내 미디어교육의 경험적 실천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미디어교육의 목표, 주체, 교육과정,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세계적 흐름과 현황을 검토했으며 아울러 국내 미디어교육의 발전과정과 문제점들을 점검했다. 셋째로는 미디어교육을 다년간 수행해 온 현장 전문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는 현장 전문가들의 경험을 토대로 함으로써 우리의 연구내용이 추상적이고 이론적 차원을 넘어서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넷째로는 미디어교육 교사, 학생,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베이를 진행했다. 서베이는 각 단위별로 미디어 이용 행태분석, 미디어교육의 동기 분석, 미디어교육의 인식분석, 미디어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미디어능력에 대한 분석이 진행됐으며, 이를 토대로 공교육의 미디어교육은 어느 수준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구체화했다.
    조사 결과, 현재 국내 중고등학교에서 미디어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정규 교육과정은 교과교육,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세 영역을 기본으로 하며, 정교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으로는 특기․적성 교육과 동아리 활동이 존재한다. 교과교육에서는 국어, 사회, 도덕, 미술 등의 독립과목에서 미디어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단원과 결합한 통합교육의 형태로 미디어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재량활동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나누어지는데, 교과 재량활동은 정규 교과의 보충학습을 위한 것으로 진행되기에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미디어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특별활동에서는 계발활동의 차원에서 미디어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앞서 제시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토대로 본 연구가 결론적으로 제시하는 국내 중등학교 미디어교육 모델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독립교과형 교육 형태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립교과형 미디어교육은 전공 교과의 내용체계에 의존적이고 미디어를 교육활용도구로 제한시킬 수 있는 통합교과형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미디어에 관한’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미디어 교육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의 현실 교육구조를 고려한다면, 다음 두 가지 교과과정 형태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독립교과 형태의 장기적인 전망을 전제로 하여 미디어 교육 교과를 재량활동 시간이나 선택과목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존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전공교과에 미디어 교육을 결합시키는 통합교과 형태이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중심 목표 및 국내 중등학교 미디어 교육의 교과과정 모델을 구성,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미디어 교육 교과 과정의 전체적인 구성을 제시하고, 그 다음 각 과제별 구성 주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내용(주제, 학년별 수준, 적용 교과, 그리고 학습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미디어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미디어가 청소년 교육에 직접적이고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학교교육의 틀 내에서 미디어교육이 정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내에서 미디어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면서 20여년 동안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경험들이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공교육의 미디어교육 정착은 큰 진척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꾀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 미디어교육 과정에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미디어교육 교과과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간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했으며, 해외 선진국들의 미디어교육 사례 조사 및 국내 미디어교육의 경험 분석, 그리고 교사, 학생 및 학부모들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국내 공교육 교과과정에 접목 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그간 상대적으로 논의가 미비했던 미디어능력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를 모색함으로써, 미디어교육에 대한 학문적 진전을 이루어냈다는 점이다. 미디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는 미디어능력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도출하는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미디어능력은 단순히 기술적 훈련과 도구적 숙련성이라는 제한된 개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미디어에 대한 성찰적 접근과 이용의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즉, 미디어능력이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이용하며,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구성/제작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능력의 구성범주를 지각/지식, 비판/비평, 이용, 구성/제작이라는 네 가지 차원으로 정리함으로써 미디어교육의 교과과정 모델을 개발하는 이론적 근거를 정립했다.
    둘째는 해외 및 국내 미디어교육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향후 미디어교육의 후속연구를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외 미디어 교육의 사례는 5개 선진국(영국, 캐나다, 호주, 미국,독일)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각 국가별 미디어 교육의 사례를 독립적으로 분리한 후, 다음 세 가지 범주, 즉 미디어 교육 추진 배경, 미디어 교육 형태 및 지원 체계 그리고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에 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의 미디어교육 사례 역시 시민사회단체, 공공단체, 교사자율단체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그간의 경험들을 분석했다. 특히, 국내의 사례의 경우, 기존 자료 검토와 더불어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교육을 수행해 온 교/강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현장 중심적인 내용들을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기존 미디어교육의 문제점 점검과 향후 개선 방향등을 정리하고 있기에 후속연구들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가 최종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모델은 현실적으로 공교육의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중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공교육내에서 개별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미디어교육의 현황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독립교과형 미디어교육과 통합교과형 미디어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현실에 적합한 미디어교육의 교과과정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공교육 내 미디어교육의 정착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으며,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미디어교육 정착을 위한 방안 혹은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미디어교육, 미디어능력,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모델, 중등학교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 캐나다의 미디어교육, 호주의 미디어교육, 독일의 미디어교육, 미국의 미디어교육, 시민사회단체의 미디어교육, 공공단체의 미디어교육, 교사자율단체의 미디어교육, 독립교과형 미디어교육, 통합교과형 미디어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