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87&local_id=10013323
미래지향형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의 토대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래지향형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의 토대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주형일(영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016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디어교육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인간이 만든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미디어가 오히려 인간을 지배하게 된 모순적인 구조를 인간이나 수용자 중심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는 문제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미디어교육내용에 대한 기존연구가 명확한 원칙이나 준거 없이 피상적이고 일반론적인 수준에만 머무르고 있는 현실속에서 이 연구는 미디어교육내용을 수용자들의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이라는 세 가지 원리로 구분해 제시하고자 했다. 미디어교육내용과 관련해서는 수용, 제작, 활용이라는 세 가지의 큰 줄기 속에서 미디어교육 담당자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했다. 항상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미디어교육 담당자들의 역할은 수용자들에게 미디어를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와 더불어 살아가는 의미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결국, 미디어교육내용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용자 의식을 토대로 수용자들이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하고 창의적으로 제작하며, 그 미디어 콘텐츠를 실제 삶에서 활용할 줄 아는 주체적 미디어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 영문
  • Media literacy starts from the idea according to which we should not accept the situation in which media control and govern the human being. Media literacy is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accessing, analyzing, evaluating and creating messages in various forms of media. Media literacy education is a means of developing media literacy. This research has three purposes. The first is to elucidate some philosophical problems concerning media literacy. The second is to elaborate th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Media literacy education develops human capacities dividing into three groups : critical thinking capacity, creative thinking capacity and problem solving capacity. The third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the tool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at will be very useful in the education field. The tools will be examined in three domains : media contents reception, media contents production and media contents u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를 단순히 받아들이고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정보나 지식을 분석, 조직, 종합 관리하여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다원화, 세계화되고 각종 매체를 통해서 정보나 지식이 쏟아지는 사회에서는 어느 정보를 취해야하고 또 버려야 할지, 그 선택된 정보가 과연 올바른지,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고 재검토해야한다. 이 연구는 참다운 인간관계는 바로 커뮤니케이션 질서 회복으로부터 비롯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된 인간의 미디어능력과 커뮤니케이션능력의 확장을 추구하는 통합리터러시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미디어교육내용에 대한 기존연구가 명확한 원칙이나 준거 없이 피상적이고 일반론적인 수준에만 머무르고 있는 현실속에서 이 연구는 미디어 교육담당 실무자들이 미디어교육내용을 스스로 발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원리와 원칙을 수용자들의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이라는 분석틀을 통해 제시하고자 했다. 뿐만 아니라, 미디어교육내용을 수용, 제작, 활용이라는 세 가지의 영역으로 나누어 미디어교육 담당자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했다. 항상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미디어교육 담당자들의 역할은 수용자들에게 미디어를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와 더불어 살아가는 의미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결국, 미디어교육내용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용자 의식을 토대로 수용자들이 비판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하고 창의적으로 제작하며, 그 미디어 콘텐츠를 실제 삶에서 활용할 줄 아는 주체적 미디어능력을 배양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수용자들의 비판적, 창의적, 문제해결적 미디어교육은 합리적인 정보 선택 및 활용에 필수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디어 교육은 삶의 문제이고 필수의 문제이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미디어교육이란 미디어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시키고, 미디어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기 위한 모든 의도적인 노력을 말한다. 즉, 미디어 교육은 여러 가지 매체들이 전달하는 활자, 동영상, 그림, 그리고 소리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올바로 이해, 분석,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literacy)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을 말한다.
    미디어교육은 전통적인 교육구조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위계적인 관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교육공학의 발전으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변화는 교육현장에서 구성주의적 교수원리와 방법을 활발하게 도입시키고 있다. 이러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는 미디어교육의 개념을 확장시키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직접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수원리와 방법의 변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미디어교육의 교수원리와 방법은 교육대상의 연령과 개인적 특성 및 매체의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교수, 학습 활동의 관찰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되며, 연령별, 매체 특성별 교수방법 또한 개별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수원리와 방법은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의 원리, 발문 중심적 상호작용 원리, 의미 지향적 활동의 원리, 반성적 추상화의 원리를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 탐구학습, 프로젝트학습 방법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미디어교육,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미디어교육내용, 미디어교육 교수법, 대화미디어, 신문 잡지 미디어, 방송 영상 미디어, 인터넷미디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