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97&local_id=10017971
현대 러시아 문화 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 가치관의 충돌과 변형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현대 러시아 문화 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 가치관의 충돌과 변형을 중심으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윤희(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M002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문화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현대 러시아 정체성의 문제를 가치관의 충돌과 수용, 변형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정치, 경제, 사회, 종교, 예술의 각각의 영역에서 새로운 러시아의 문화정체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정치문화 영역은 주로 러시아인의 정치의식, 국가상징과 의례의 의미, 국가와 교회 관계의 변화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새로운 국가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경제문화 영역은 시장경제로의 전환과정에 대한 러시아인의 적응과 대처방식을 일반시민, 기업가, 노동자 의식의 세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도입과 달라진 경제 질서가 현 러시아 사회에 어떠한 특성을 부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사회문화 영역은 ‘소수자’로 구분되는 여성과 청년을 중심으로 이 사회집단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그 특징,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용여부, ‘지배문화’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특히 소수자 문화에 대한 달라진 사회인식은 문화적 다원주의의 실현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작용하였다. 대중문화는 오늘날 러시아가 경험하고 있는 가치관의 충돌이 가장 첨예하게 드러나는 영역이다. 포르노그래피와 공연문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토대로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전환기 러시아 대중문화의 본질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었다. 영역별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는 궁극적으로 ‘러시아적인 것’의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으로 총괄되었다.
    1년차 개별연구의 결과물은 총 12개의 논문으로서 현재까지 모두 게재 완료되었다. 즉 제1주제: 현대 러시아 정치문화의 탐색: 모스크바 시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제2주제: 국가 상징과 현대 러시아의 국가정체성; 제3주제: 포스트 소비에트 러시아의 국가-교회 관계의 변화와 형성; 제4주제: 러시아 생산직 노동자들의 가치관과 기업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제5주제: 러시아 중소기업가 의식 연구: 모스크바 기업인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제6주제: 자본주의 시장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러시아 기업인의 계약 및 권리의식 변화; 제7주제: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에서의 페미니즘 수용 과정 고찰; 제7주제: 현대 러시아인의 페미니즘 인식 연구; 제8주제: 클럽문화를 통해본 현대 러시아 청년의 서구적 가치의 수용과 변형; 제9주제: 포스트소비에트 공연문화의 변화상: 연극을 중심으로; 제10주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포르노그래피 연구; 제10주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섹슈얼리티 연구 등이다. 또한 2년차 공동연구 과정에서 4편의 논문(제3주제: 스타일을 통해본 러시아 청년하위문화집단 정체성 형성: 바이커족, 스킨헤드족, 고트족을 중심으로; 제4주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문학장의 변화와 대중문화; 제4주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서구 뮤지컬의 수용과 그 명암; 제4주제: 교육공간에서 욕망창조 공간으로: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에서 광고)이 게재 완료되었다. 현재 2편의 공동논문(제1주제: 편의적 국가주의의 대두: 현대 러시아인의 국가와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 제2주제: 러시아 국민들의 시장경제에 대한 의식과 태도)이 투고되어 심사 중이다. 전체 연구의 결과물은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 영문
  • This project on "Russian Culture and Identity" is an attempt to analyse how the Russian cultural identities have been reformulating through the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soviet and western values, which the Russian people inherited or import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contemporary Russians are compelled to reexamine their values and reevaluated old ways, and in doing so they are searching for a new identity both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nation. This inevitably resulted in the reformulation of the Russian cultural identities.
    Our interdisciplinary project drew on the resources of both the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which allowed for a cross-pollination of ideas. Our team included historians, political scientists, sociologists, lawyer, folklorist, and literary critics. The participants used a wide range of methods to explore their subjects, including opinion surveys, personal interviews, and analysis of Russian literature, advertisement, and popular magazines. In particular, opinion surveys, conducted in Moscow and St Petersburg in 2006 and 2007 by the Levada Analytical Center upon our request, provided precious information on how contemporary Russians perceive their ow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ass culture.
    In the first year, each participant explored 10 different subjects such as the perceptions of democracy, the state symbols and state identity building, the state-church relations, production workers' perceptions of their work, business elites' perceptions of law and economy, women's perceptions of gender and feminism, youth's perceptions of western culture, and the changing natur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rama and pornography. In the second year,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4 research teams, each exploring four cultural domain-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ass culture.
    So far, the project has produced 16 individual articles. Two more joint papers are waiting for the publication. A collection of 14 articles will be published as a book this yea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현대 러시아의 정치, 경제, 사회, 대중문화 정체성의 문제를 가치관의 충돌과 수용, 변형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정치, 경제, 사회, 종교, 예술의 각각의 영역에서 새로운 러시아의 문화정체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정치문화 영역은 주로 러시아인들의 정치의식, 러시아 국가상징과 의례의 의미, 국가와 교회 관계의 변화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새로운 국가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개별적인 연구결과를 새로운 러시아의 국가정체성과 민주주의라는 보다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물음으로 확장하여 그 해답을 모색하였다.
    경제 영역은 시장경제로의 전환과정에 대한 러시아인의 적응과 대처방식을 생산직 노동자의 가치관과 기업 인식, 중소기업가의 경영관, 중소기업가의 법 및 계약 의식이라는 세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대 러시아 기업가와 노동자의 특성, 달라진 시민들의 법의식을 포함하여,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도입과 달라진 경제 질서가 현 러시아 사회에 어떠한 특성을 부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사회문화 영역은 ‘소수자’로 구분되는 여성과 청년을 중심으로 이 사회집단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그 특징,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용여부, ‘지배문화’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현대 러시아인의 젠더 관념과 페미니즘 인식, 청년들의 유희문화, 스타일을 중심으로 본 여성과 청년의 정체성 문제를 다루었다.
    대중문화는 오늘날 러시아가 경험하고 있는 가치관의 충돌이 가장 첨예하게 드러나는 영역이다. 포르노그래피와 공연문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토대로 보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전환기 러시아 대중문화의 본질에 대한 분석이 시도되었다. 또한 러시아 대중문화, 뮤지컬, 광고 등의 제반 영역에서의 문화의 생산과 소비 메커니즘을 다루었다.
    영역별 개인연구와 공동연구는 궁극적으로 ‘러시아적인 것’의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으로 총괄되었다. 모든 영역의 연구들은 각 분야에서 러시아인들이 전통적인 가치, 소비에트적 가치, 서구적 혹은 자본주의적 가치라고 할 수 있는 것의 혼재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국 '러시아적인 것'의 내용과 형식은 계속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현대 러시아 문화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주제 하에 현대 러시아의 새로운 사회적 특성,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정체성의 문제를 문화의 차원에서 고찰, 분석하였다. 현대 러시아의 특성은 정치, 경제, 사회, 대중문화 영역별로 나뉘어 개별, 또는 공동연구의 형태로 고찰되었다. 그 결과 현대 러시아 정치, 경제, 사회, 대중문화에 대한 16편의 개별논문과 2편의 공동논문이 집필, 게재되었으며, 그 결과를 총괄한 단행본이 출판 준비단계에 있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1. 본 연구는 ‘실천으로서의 문화’라는 코드로 정치, 경제, 사회, 대중문화 각 영역에서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급격한 체제변화와 더불어 심화되고 표면화된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의 생활양식 및 가치관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조명해줄 것이다. 2. 다양한 사회적 가치들이 갈등, 충돌, 협력하는 역동적 공간으로서 현대 러시아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지금 그곳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능케하는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3. 본 연구는 포스트소비에트 상황이 빚어낸 특수성을 부각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시공간에서 나타나는 문화현상의 일반적 양상을 통해 후기 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시대의 보편적 고민의 형태와 그 극복과정을 조망해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북한 사회의 변화가능성을 염두에 둘 때, 이 연구는 향후 북한에서의 체제전환 시 북한이 겪게 될 정체성의 위기와 문화의 재구성 과정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4. 본 연구는 러시아지역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러 우호관계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피상적 수준을 넘어선 러시아 문화의 연구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 예술 다방면에서 이루어지는 한러 교류에 있어 실제적인 러시아, 러시아인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아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5. 본 연구의 결과물인 단행본은 대학에서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현대, 러시아, 정체성, 문화, 정치문화, 국가, 민주주의, 국가상징, 의례, 정교회, 시민사회, 법의식, 기업가의식, 노동자 가치관, 자본주의 관념, 여성, 젠더, 페미니즘, 청년, 클럽문화, 하위문화, 청년하위문화그룹, 대중문화, 포르노그래피, 섹슈얼리티, 연극, 극장, 뮤지컬, 대중소설, 광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