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129&local_id=10013111
중국의 에너지 수급정책과 한·중 에너지 산업협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의 에너지 수급정책과 한·중 에너지 산업협력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희문(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1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국은 경제성장을 지속하기위해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이 성장의 관건이라 보고 개혁·개방이후 에너지 안정공급을 위한 에너지 개발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시켜왔다.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을 확보하기위해 중앙 집중화된 에너지체제를 구축하고 중앙통제(국가 에너지국)의 에너지산업을 운영관리 해왔다.
    중국의 에너지 정책은 에너지 공급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전제로 한 안정적 에너지체제의 구축에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정책은 절약과 자원개발을 중심으로 하며 대체에너지원의 발굴, 에너지 소비효율의 증가, 청정에너지의 개발과 환경중시, 자원외교의 강화 등이 구체적인 정책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에너지자원 분포의 서북지역 편중화와 동남 연해지역 수요 집중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수급 불균형을 장기 과제로 해결해나가려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경제발전에 따른 에너지수요는 급증하고 있는데 비해 에너지 소비의 비효율성, 에너지 기술장비의 낙후성과 기업경쟁력 약화, 에너지 산업부문의 영세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생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절약을 추구하면서 에너지의 다각적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에너지 산업관리체제의 개혁과 산업조직의 재편, 기업관리구조의 개선, 에너지 가격체계의 시장화 도모, 에너지공급의 다원화를 위한 대외협력 등이 중국 에너지정책의 특징과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중국 에너지수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인구증가, 경제발전속도와 성장방식, 도시화와 공업화의 진전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에너지자원 분포를 볼 때 경제발전속도와 성장방식에 따른 산업별 에너지수급 불균형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석유를 포함한 동북아 에너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고성장에 따른 산업별 에너지 수급구조와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중간 석탄, 전력, 석유가스 및 원자력산업 부문의 협력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 영문
  • China’s policy primarily focuses on energy conservation and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It is also centered on discovering alternative sources, increasing more efficient consumption, developing environmentally-friendly energy sources, and strengthening diplomatic ties for energy dependence.

    One of the major long-term issues facing China is how to resolve the unbalanced supply and demand stemming from the disproportionately large concentr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and the rising level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s.

    Despite the increasing energy need accompanied by China’s economicgrowth, the country faces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inefficient consumption, dearth of up-to-date equipment for resource development, lack of business competitiveness, and general weakness of the energy industry.

    In order to meet the current demand, Chinaseeks to develop how to recycle energy resources and to discover multipurpose or diversified ways of energy use.

    In addition, China’s official policy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concerns: reforming the management of the energy industry, revamping the industrial organizations, improving the structure of business management, liberalizing the energy market, and diversifying the energy supply through foreign cooperation.

    Key factors that affect China’s future energy situation include population increase, the rate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al polic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natural resources in China, it is likely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energy among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driven by economic growth and policy, will become more uneven.

    In light of China’s current situation, research is needed not only to analyze the its industry-specific structures of the supply and demand for energy, but also to reevaluate and reformulate Korean government’s official stance toward the bilateral industrial cooper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의 에너지 정책이 경제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한국 경제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중국의 에너지 수급체제와 에너지 산업정책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한·중에너지 산업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정책을 수행하고 조직하는 정부조직과 정책결정과정을 파악하여 산업별 에너지 수요관계와 조직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석탄, 석유, 가스, 전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중 에너지 산업협력의 가능성 방안을 밝히고 있다.
    중국의 에너지 정책은 에너지 공급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전제로 한 안정적 에너지체제의 구축에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정책은 절약과 자원개발을 중심으로 하며 대체에너지원의 발굴, 에너지 소비효율의 증가, 청정에너지의 개발과 환경중시, 자원외교의 강화 등이 구체적인 정책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에너지 산업관리체제의 개혁과 산업조직의 재편, 기업관리구조의 개선, 에너지 가격체계의 시장화 도모, 에너지공급의 다원화를 위한 대외협력 등이 중국 에너지정책의 특징과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중국 에너지수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인구증가, 경제발전속도와 성장방식, 도시화와 공업화의 진전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에너지자원 분포를 볼 때 경제발전속도와 성장방식에 따른 산업별 에너지수급 불균형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석유를 포함한 동북아 에너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고성장에 따른 산업별 에너지 수급구조와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및 한·중간 산업협력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에너지협력에 있어 중국의 역할과 우리의 대응 방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한·중 에너지 산업 협력정책 수립방안을 제시하게 됨. 구체적으로 중국의 에너지 수급불균형에 대한 한국의 구체적 대응방안을 제공하면서 아래 3가지 측면의 정책적 활용효과가 있다고 기대됨.
    (1) 한·중 에너지정책 및 산업협력에서 정책방안의 수립 틀을 제공
    (2) 한·중 에너지 산업협력의 가능성과 문제점 제기
    (3) 동북아 에너지협력체를 대비한 한·중 협력구축방안
  • 색인어
  • 중국의 에너지 정책, 에너지 수급구조, 에너지 산업협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