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166&local_id=10017627
유권자들의 정책지향 의식에 관한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권자들의 정책지향 의식에 관한 비교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송근원(경성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8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에서 수집한 "제16대 대통령 선거 관련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와 2004년 미국 선거조사(2004 American National Election Survey: 이하 ANES) 자료, 2005년 영국 선거조사(British Election Study 2005: 이하 BES) 자료, 2002년 아일랜드 선거연구회의 조사 자료(The Irish National Election Study 2002: 이하 INES), 2002년 스웨덴 총선에 관한 스웨덴 통계청(Statistiska Centralbyrån)에서 수집한 선거조사 자료(Election Study 2002: 이하 SCB), 2004년 캐나다 총선 선거조사 자료(2004 Canadian Election Study: 이하 CES) 및 2002년 뉴질랜드 총선 선거조사 자료(2002 New Zealand Election Study: 이하 NZES)를 사용항여, "자신의 정책입장과 투표 행위가 일치하는가, 일치하지 않는가 "를 판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유권자들을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로 나누고,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 수준을 정책투표자의 비율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친 정책 이슈들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 나타난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를 종속변수로 삼아 로짓분석을 함으로써 정책 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찾아내었다.
    분석 결과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 수준은 한국 69.4%, 미국 88.3%, 영국 78%, 아일랜드 56.5%, 스웨덴 75.7%, 캐나다 66.1%, 뉴질랜드 74.8%로 나타났으며,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친 정책 이슈들의 수는 4개부터 18개로 파악되었으며, 이들 정책 이슈들이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미친 영향력을 고려할 때 정책 의식을 구성하는 선거아젠다는 "우뚝 선 한 봉우리 형"과 "고만고만한 봉우리 모임 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편,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에 영향을 미친 공통적인 변수로서는 학력, 정치적 관심도, 정치적 지식 등이며, 일부 나라에서는 이 이외에도 소득, 직업, 지역 변수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음을 밝혀내었다. 이를 일반화시켜 말한다면, 학력이나 정치적 지식이 많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확률이 높아지고, 정치적 관심이 많고 정치적 활동이 많으며, 선거의 효능감이 높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정책 선거를 지향하는 선거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곧, 정책 선거를 지향하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 기간 동안에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이 던지는 한 표의 효능감을 일깨워 주며, 정치나 정책에 관한 지식을 전달해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을 시사해준다. 다시 말해서 유권자들의 정책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고,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은 더 높아질 것이고, 정책투표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다.
    이 연구는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찾아내는 데 판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점과 그 결과 나타난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를 종속변수로 삼아 로짓분석을 함으로써 정책 의식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찾아내었다는 점에서 선거 연구, 특히 정책투표 연구에 다양한 방법론을 접목시켜 준 하나의 보기이다. 앞으로 정책투표에 관한 더 많은 연구 결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조사 자료의 한계 때문에 이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제약을 받는다. 예컨대, 조사 항목이 이들 일곱 나라에서 모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것이나, 국가마다 다른 선거 제도나 정당 제도 등이 다른 것 때문에 나타나는 한계는 분명히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유권자 개인을 분석 단위로 삼는 미시적 분석인 까닭에 유권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정치심리적 행태 변수들을 중심으로 정책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국가를 분석 단위로 하는 거시적 분석, 예컨대, 각국의 선거 제도나 정당 제도, 정치문화적 특성 등이 정책 의식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분석은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남겨 놓는다.

  • 영문
  • The Voters' Policy-Oriented Consciousness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ng, Keun-Won
    (Kyungsung University)

    Policy-oriented consciousness level is measured in terms of policy voting rate using discriminant analysis, which classified voters into policy voters and non-policy voters, with the variables of voters' policy stands as discriminating variables and the voting variable as a group variable. After discriminant analysis log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formation of policy-oriented consciousness of the voter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voters' policy-oriented consciousness level is 69.4% in Korea, 88.3% in USA, 78% in Britain, 56.5 in Ireland, 75.7 in Sweden, 66.1% in Canada, and 74,8% in New Zealand, and four to 18 policy issues are found to affect vote choice, of which electoral agendas consisted. The electoral agenda affecting vote choice is categorized into two types: "One highly peak with some small peaks" type and "similar size peaks" type. Also,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voters' policy consciousness: education level, political concerns, political knowledge, and voting efficacy in general, with an exception of income, job, and regional variables in some countries. In general, the more educated, the more politically sophisticated, and the more equipped with political knoowledge, the voter has a more chance to show the policy oriented voting behaviou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영국, 아일랜드, 스웨덴, 캐나다, 뉴질랜드의 선거조사 자료를 가지고, "자신의 정책입장과 투표 행위가 일치하는가, 일치하지 않는가 "를 판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유권자들을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로 나누고,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 수준을 정책투표자의 비율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그 결과 나타난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를 종속변수로 삼아 로짓분석을 함으로써 정책 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찾아내었다.
    분석 결과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 수준은 한국 69.4%, 미국 88.3%, 영국 78%, 아일랜드 56.5%, 스웨덴 75.7%, 캐나다 66.1%, 뉴질랜드 74.8%로 나타났으며, 각국의 정책 지향 의식에 영향을 미친 공통적인 변수로서는 학력, 정치적 관심도, 정치적 지식 등이며, 일부 나라에서는 이 이외에도 소득, 직업, 지역 변수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를 일반화시켜 말한다면, 학력이나 정치적 지식이 많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확률이 높아지고, 정치적 관심이 많고 정치적 활동이 많으며, 선거의 효능감이 높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책 선거를 지향하는 선거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곧, 정책 선거를 지향하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 기간 동안에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이 던지는 한 표의 효능감을 일깨워 주며, 정치나 정책에 관한 지식을 전달해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을 시사해준다. 다시 말해서 유권자들의 정책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고,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은 더 높아질 것이고, 정책투표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는 첫째, 판별분석을 통해 자신의 정책입장에 따라 투표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유권자들을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로 나누고, 정책투표자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각국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찾아내었으며, 둘째, 각국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을 형성하는 정책아젠다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셋째, 판별분석 결과 분류된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를 종속변수로 삼아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정치심리학적 행태 변수들을 가지고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국의 정책 의식 수준은 한국 69.4%, 미국 88.3%, 영국 78%, 아일랜드 56.5%, 스웨덴 75.7%, 캐나다 66.1%, 뉴질랜드 74.8%로 나타났으며, 4개부터 많게는 18개의 정책 이슈들이 각국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 정책 이슈들이 유권자들의 투표 선택에 미친 영향력을 고려할 때 정책 의식을 구성하는 선거아젠다는 "우뚝 선 한 봉우리 형"과 "고만고만한 봉우리 모임 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각국의 정책 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친 공통적인 변수로서는 학력, 정치적 관심도, 정치적 활동, 선거의 효능감, 정치적 지식 등이며, 일부 나라에서는 이 이외에도 소득, 직업, 지역 변수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변수들을 가지고 일반화시켜 말한다면, 학력이나 정치적 지식이 많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확률이 높아지고, 정치적 관심이 많고 정치적 활동이 많으며, 선거의 효능감이 높은 유권자일수록 정책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책 선거를 지향하는 선거 관리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곧, 정책 선거를 지향하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높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 기간 동안에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이 던지는 한 표의 효능감을 일깨워 주며, 정치나 정책에 관한 지식을 전달해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을 시사해준다. 다시 말해서 유권자들의 정책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고, 정치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면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은 더 높아질 것이고, 정책투표 확률은 더 높아질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유권자들의 정책 의식 수준을 찾아내는 데 판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는 점과 그 결과 나타난 정책투표자와 비정책투표자를 종속변수로 삼아 로짓분석을 함으로써 정책 의식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찾아내었다는 점에서 선거 연구, 특히 정책투표 연구에 다양한 방법론을 접목시켜 준 하나의 보기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정책 투표 연구의 시발점이 되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 등은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정책투표 이론의 발전을 자극할 것이다.
  • 색인어
  • 정책투표, 정책 지향 의식, 정책입장, 판별분석, 로짓분석, 선거, 한국, 미국, 영국, 아일랜드, 뉴질랜드, 스웨덴, 캐나다, 정치적 관심, 지역, 정치적 지식, 선거효능감, 선거관리, 어린 백성들, 정책투표자, 비정책투표자, 정책 공약, 정책 이슈, 선거아젠다 유형, 아젠다 구조, 정치문화, 정치체제, 정당 제도, 선거 제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