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173&local_id=10020190
의류설계를 위한 3차원 인체측정 치수 및 의류치수규격의 한미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의류설계를 위한 3차원 인체측정 치수 및 의류치수규격의 한미 비교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경화(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C0013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3차원 여성 인체치수 데이터의 국제 비교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의류업체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데이터는 SizeUSA와 Size Korea project로 부터 수집된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치수 정보의 분석에 의한 것이다. 이 연구의 피험자는 만 18세 이상의 6,306명의 미국인 여성과 1,988명의 한국인 여성이었다. 의류 제작에 필수적이라고 사료되는 30개의 측정치와 14개의 계산치 총 44개의 인체측정치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초 통계량, 퍼센타일과 t-test등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여성은 한국여성에 비해 어깨 경사각을 제외한 전체항목에서 치수가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미국 여성의 비만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드롭치와 지수치 및 BMI의 비교에서 보면, 미국여성의 신체형태가 한국여성에 비해 굴곡이 큰 형임을 알 수 있고, 미국여성이 엉덩이가 높고 다리가 긴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한국여성의 등 형태가 미국여성보다 편평하고, BMI지수로 볼 때 미국여성이 한국여성에 비해 과체중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가슴둘레 집단에서 주요 인체치수를 비교할 때, 한국여성의 인체치수 즉 허리둘레, 샅앞뒤둘레, 등품 등의 치수가 미국여성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국여성은 한국여성에 비해 키가 크고 보다 드라마틱한 인체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3차원 남성 인체치수 데이터의 국제 비교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의류업체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데이터는 SizeUSA와 Size Korea project로 부터 수집된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치수 정보의 분석에 의한 것이다. 이 연구의 피험자는 만 18세 이상의 3,691명의 미국인 남성과 1,945명의 한국인 남성이었다. 의류 제작에 필수적이라고 사료되는 30개의 측정치와 14개의 계산치 총 44개의 인체측정치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초 통계량, 퍼센타일과 t-test등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남성은 한국남성에 비해 어깨 경사각을 제외한 전체항목에서 치수가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미국 남성의 비만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드롭치와 지수치 및 BMI의 비교에서 보면, 미국남성의 신체형태가 한국남성에 비해 굴곡이 큰 형임을 알 수 있고, 미국남성이 엉덩이가 높고 다리가 긴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한국남성의 등 형태가 미국남성보다 편평하고, BMI지수로 볼 때 미국남성이 한국남성에 비해 과체중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가슴둘레 집단에서 주요 인체치수를 비교할 때, 한국남성의 인체치수 즉 허리둘레, 샅앞뒤둘레, 등품 등의 치수가 미국남성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 영문
  • 1.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3D Scanned Female Anthropometric Dat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useable data for application in American and Korean apparel industry. This data was developed by analyzing information on Korean and American boy sizes obtained from "SizeUSA Project" and "Size Korea Project".
    The Subjects were 6,306 American females and 1988 Korean females over 18 years old. Thirty different types of measurements and 14 computed values that were considered critical in making garments were selected based on applicability. In addition, descriptive analysis, percentile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measurements and computed valu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 are larger and bigger than Korean women in all measurement and computed values except for "Shoulder Slope". We verified American women had a distinct tendency towards obes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drop values, ratio values and BMI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determined that American women’s body figures were more shapley than Korean women. American women had risen hips and long leg length for their height compared Korean woman. Furthermore, Korean women’s back shapes were flatter than American women, BMI values indicated American women were relatively over-weighted than Korean women.
    Finally, t-test of principal body dimension in the same Bust Girth Groups revealed that some of Korean females’ body measurements such as "Waist Girth", "Crotch Length Total", "Cross Back Width", etc. were larger than Americans in same Bust Girth Groups. American women were relatively tall and dramatic in shape of body while Korean women were short and flat in shape of body.

    2.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3D Scanned Male Anthropometric Dat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useable data for application in the American and Korean apparel industries. This data was developed by analyzing information on Korean and American body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SizeUSA" and "Size Korea" projects.
    Measurement data was gathered for 3,691 American and 1,945 Korean male subjects over 18 years of age. Thirty different types of measurements and 4 computed values that were considered critical in making garments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based on applicability. In addition, descriptive analysis, percentile analysis, and t-tests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for comparing the measurements and computed val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was determined that American men were larger and bigger than Korean men in all measurements and computed values, except for Shoulder Slope. Based on BMI values, we determined that American men had a distinct tendency towards being overweight.
    Through the comparison of drop values (i.e. the difference between Hip and Bust Girths or Hip and Waist Girths), Body Mass Index (BMI)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determined that American men’s figures were shapelier than Korean men’s. American men had higher hip heights and longer leg lengths for their height compared to Korean woman. Furthermore, the back shapes of Korean men were flatter than American men and BMI values indicated American men were relatively more overweight than Korean men.
    Finally, t-tests of principal body dimensions in the same Bust Girth Groups revealed that some of the Korean males’ body measurements such as Waist Girth, Crotch Length Total, Cross Back Width, etc. were larger than Americans in the same Bust Girth Groups. American men were relatively tall and dramatic in shape of body while Korean men were short and flat in shape of bo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Size Korea 사업을 통해 축적된 국내 신체 치수 자료 및 2004년에 제•개정된 KS 규격을 국제 규격을 다인종 국가로 대표되는 미국인의 신체 치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의류의 수출입시 이들 신체 치수 데이터를 활용한 제품의 생산으로 의복의 치수 적합성을 향상하고, 생산 기획시 재고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등 국내 의류 업체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목적은 아래와 같음
    ㅇ Size Korea 결과에 의거한 한국인 신체치수와 최근에 Size USA사업을 통해 측정된 미국인의 신체치수의 비교를 통한 양국 성인 남녀의 인체측정치 및 체형특성의 파악
    ㅇ 2005년에 제개정된 KS 의류치수규격과 미국 의류치수 체계(ASTM)와의 비교 분석
    ㅇ 국가간 의류 무역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미국 의류 치수 규격과 KS 의류 치수 규격의 호환 참고 호칭표(비교 치수표) 제안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국 3차원 인체 측정치수의 비교
    본 연구에서는 한미 성인 남성과 성인여성의 3차원 인체치수를 비교하였다. 비교에 사용된 인체치수 항목은 모두 동일한 인체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인남성과 성인여성 집단 모두에서 국가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의 둘레항목 및 길이와 은 미국인의 치수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밑위앞뒤길이 등의 항목은 한국과 미국인 인체치수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미 양국 국민의 주요 측정치간의 상관분석, 요인분석 및 군집 분석을 통해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치수의 특성 및 체형 군집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인과 미국인의 체형 집단을 분류하였다.

    2) 양국 의류 치수 규격의 비교
    최근 ASTM D13.55 committee에서는 의류 및 의류 치수와 관련된 전체 규격을 개정하기 위해 지난 5년간 회의를 계속해오고 있으나 이 위원회가 정부나 기관 주도로 운영되기 보다는 회원의 자율적 참여의지로 결성되었고 committee member들의 대부분이 업계의 제품 생산 담당자로 구성되어 있어 치수 규격의 개정에 대한 전문성 결여 연령대별 인체 측정 자료의 부족 등으로 규격의 제개정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2006년 6월 13일부터 6월 16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된 ASTM Committee D13.55 sub group에서 다루어진 의류 치수 관련 토의 사항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ASTM 규격 개정 사업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Task group on Terminology
    의류 관련 치수 용어의 개정 필요에 따른 sub committee
    2. Task group on How to measure garments
    이 위원회에서는 의복의 치수 측정만이 아닌 인체측정방법도 함께 다루고 있다. 가장 논란이 된 측정방법은 허리둘레로 미국인의 급속한 비만화 경향으로 허리둘레를 식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의 모색이 주된 토의 내용임
    3. Task group on children’s
    이 소위원회는 유아 및 소년 소녀의 의류 호칭별 신체치수의 제시를 목적으로 구성되었으며 단순한 신체치수 이외에도 체형 구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4. Task group on Men’s standard review
    현행 규격에 사용되고 있는 인체치수의 update요청에 따른 것으로 전체적인 틀의 변화보다는 각 호칭별 참고 인체치수의 제시에 목적이 있다. 또한 체형구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포함되었다.
    5. Task group on Misses standard review
    현행 규격에 사용되고 있는 인체치수의 update요청에 따른 것으로 전체적인 틀의 변화보다는 각 호칭별 참고 인체치수의 제시에 목적이 있다. 또한 체형구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포함되었다.

    1. 양국 여성복 치수 규격의 비교 및 치수 호환표 제시

    미국 호칭 10이면 가슴둘레가 33.5inch 허리둘레가 24.5inch 엉덩이둘레가 35.5inch정도이나 호칭의 표기가 자율화 되어 있기 때문에 호칭과 사이즈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미국 ASTM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여성의 의류 치수 규격과 한국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여성복의 치수 규격의 특징 등을 비교하였고, 이 두 국가간의 치수 호환표를 제시하였다.

    2. 양국 남성복 치수 규격의 비교 및 치수 호환표 제시
    미국 ASTM 호칭과 한국 KS 호칭의 의류 치수 규격에 대한 치수 규격표와 이에 대한 국가별 치수 호환표를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Size Korea 사업을 통해 축적된 국내 신체 치수 자료 및 2004년에 제•개정된 KS 규격을 국제 규격 및 다인종 국가인 미국인의 신체 치수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의류 업체들의 의류 수출입 업무 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는 미국인의 3차원 인체 치수 자료의 가공을 통해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 치수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다인종 국가인 미국인 인체 치수의 특성과 한국인 인체 치수의 특성을 추출하고 외국인 체형 및 신체치수에 대한 한국인 체형 및 신체치수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즉,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치수의 비교를 통해 한국인의 인체치수 및 형태가 다른 국가 및 인종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의류 및 기타 인체치수가 활용되는 제품의 수출입 업계의 제품 기획 및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신체치수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함.

    본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ㅇ 양국의 치수규격 비교를 통한 KS 의류치수규격의 국제 규격과의 부합성 및 호환성 증대
    ㅇ 한국인의 신체치수 및 체형특성과 타국가인의 비교를 통해 한국인 신체치수 및 체형 특성 결과를 객관화할 수 있음
    ㅇ 한국 수출상품을 구입하는 국가별 소비자의 체형특성 및 치수체계를 비교•분석을 통한의류수출업체의 제품 기획력 증대
    ㅇ 미국의 현지 소비자의 신체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외 소비자의 한국製 의류의 신체 적합성 향상 효과
    ㅇ 미국의 의류치수와 한국 의류치수의 치수 호환표 제시를 통한 국외 소비자의 한국의류제품의 선택 편의성 제공
    ㅇ 외국산 의류제품의 한국 유통시 KS 의류치수 호칭의 반영이 용이해 짐에 따른 국내 소비자의 치수 혼동 방지 효과
    ㅇ 대미 의류수출업체에 미국 소비자의 체형특성 및 치수체계의 비교,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의류의 신체적합성의 향상을 도모함.
    ㅇ 수입의류의 care label에 표기되던 KS 의류 치수 호칭은 종전까지 권장사항이었으나, 2005년부터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이 개정되어 2006년부터는 수입 의류에도 KS의류 치수 규격의 호칭을 반드시 표시하여야 함(의무사항으로 변경)
    ㅇ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의류 수입업체에 배포하여 미국제 의류의 호칭 표기법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해 짐
    ㅇ 다인종 국가인 미국인의 신체치수측정치에 대한 연구는 세계 각국 의류 치수 체계의 통일화 및 표준화 방안을 모색하여 전 세계인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치수 체계 제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색인어
  • 의류설계, 3차원, 인체측정, 인체치수, 의류치수규격, 한미비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