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275&local_id=10016143
캐나다와 한국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 비교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캐나다와 한국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 비교분석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영남(대구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32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식ㆍ정보화 시대 정보화 강국인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같은 정보화 강국이면서 좁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높은 한국과 넓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낮아 상대적인 두 국가의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ICT 교육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의 필요성과 인지도에 대부분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필요성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교육의 연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양국 교사들 모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관련 연수 경험은 한국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평균 연수 회수는 캐나다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경우 1회성의 형식적인 연수에 거친 반면, 캐나다의 경우 관심있는 교사들이 여러 번 반복 연수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교육에 대한 정보는 양국 교사들 모두 주로 연수와 인터넷을 통해 입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에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생들의 정보화 마인드 고취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학습 현장에서 ICT 활용교육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양국 모두 교과지도를 들고 있으며, ICT 활용에 대한 자신들과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CT 활용 수업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양국 교사들 모두 인터넷을 선택했으나 캐나다의 경우 전통적인 매체로 분류되는 OHP가 2위로 선정되었다. 양국 교사들 모두 한 시간 수업에서 대개 10-20% 정도가 ICT의 바람직한 활용 정도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양국의 초등교사들은 ICT 관련 연수에 대해서 정기적, 체계적인 연수 기회 제공, 실습 위주의 연수, 소양교육보다 활용교육 중심, 주기적인 연수, 강좌당 연수생 비율 감축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CT 관련 충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희망했으며, 인터넷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ICT를 위한 ICT 수업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과 최신 기자재 구입과 접속 불량을 해소해 줄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정보화 마인드 고취와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를 비롯하여 ICT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수 기회 확대, ICT 활용을 위한 인적, 물적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정에 컴퓨터를 보유하고 인터넷 선에 접속되어 있었으나, 캐나다의 비율이 한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반응하였으나, 캐나다의 경우 부모라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의 영향으로 컴퓨터 학원 수강 경험은 한국이 캐나다의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강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이유로 한국 초등학생들은 게임을 선정했으나 캐나다 초등학생들은 숙제하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양국 모두 채팅어와 이모티콘을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경우 국어의 어문규범을 크게 벗어나거나 왜곡된 채팅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캐나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한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ICT 활용 수업에 대해서도 캐나다의 학생들이 한국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임교사의 시간당 ICT 활용 정도와 시간당 바람직한 ICT 활용 정도에 대해서는 한국의 학생들이 캐나다 학생들보다 더 높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국의 초등학생들도 인터넷을 수업시간에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ICT 활용교육의 순기능과 장점을 강화하고, 역기능과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보다 효율적인 ICT 활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actice of ICT using education Canada and Korea ICT education means to teach how to collect, analyze, and use information needed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ffectively. It is composed of ICT literacy and ICT using educ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almo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CT using education and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They mainly use ICT to teaching, and collect ICT relevant information from in-service education and internet. It is revealed that they need the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and database for ICT using education, and prefer ICT using education to ICT literacy education during ICT relevant in-service education.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almost have computer connected internet at home. It is revealed that the main reasons for using internet are to play game, do homework, see animation, and chat etc. They use various chatting languages and emoticon. They still have lower recognition on the ICT using education but recognize high the importance of ICT using education. Similar to teachers, they also choose the internet as the most useful media in ICT usi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ducational efforts to enhance the benefits and reduce the malfunctions of ICT using education are need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식ㆍ정보화 시대 정보화 강국인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같은 정보화 강국이면서 좁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높은 한국과 넓은 국토에 인구밀도가 낮아 상대적인 두 국가의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ICT 교육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의 필요성과 인지도에 대부분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필요성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교육의 연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양국 교사들 모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관련 연수 경험은 한국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평균 연수 회수는 캐나다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경우 1회성의 형식적인 연수에 거친 반면, 캐나다의 경우 관심있는 교사들이 여러 번 반복 연수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교육에 대한 정보는 양국 교사들 모두 주로 연수와 인터넷을 통해 입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양국 교사들 모두 ICT 활용교육에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생들의 정보화 마인드 고취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학습 현장에서 ICT 활용교육이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양국 모두 교과지도를 들고 있으며, ICT 활용에 대한 자신들과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캐나다 교사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CT 활용 수업시 가장 필요한 매체로 양국 교사들 모두 인터넷을 선택했으나 캐나다의 경우 전통적인 매체로 분류되는 OHP가 2위로 선정되었다. 양국 교사들 모두 한 시간 수업에서 대개 10-20% 정도가 ICT의 바람직한 활용 정도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양국의 초등교사들은 ICT 관련 연수에 대해서 정기적, 체계적인 연수 기회 제공, 실습 위주의 연수, 소양교육보다 활용교육 중심, 주기적인 연수, 강좌당 연수생 비율 감축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CT 관련 충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희망했으며, 인터넷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ICT를 위한 ICT 수업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과 최신 기자재 구입과 접속 불량을 해소해 줄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정보화 마인드 고취와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를 비롯하여 ICT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수 기회 확대, ICT 활용을 위한 인적, 물적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정에 컴퓨터를 보유하고 인터넷 선에 접속되어 있었으나, 캐나다의 비율이 한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초등학생들은 주로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반응하였으나, 캐나다의 경우 부모라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의 영향으로 컴퓨터 학원 수강 경험은 한국이 캐나다의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강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주된 이유로 한국 초등학생들은 게임을 선정했으나 캐나다 초등학생들은 숙제하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양국 모두 채팅어와 이모티콘을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경우 국어의 어문규범을 크게 벗어나거나 왜곡된 채팅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CT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캐나다의 긍정적인 반응 비율이 한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ICT 활용 수업에 대해서도 캐나다의 학생들이 한국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임교사의 시간당 ICT 활용 정도와 시간당 바람직한 ICT 활용 정도에 대해서는 한국의 학생들이 캐나다 학생들보다 더 높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국의 초등학생들도 인터넷을 수업시간에 가장 필요한 매체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ICT 활용교육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ICT 활용교육의 순기능과 장점을 강화하고, 역기능과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보다 효율적인 ICT 활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따른 보다 효율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해, 정보화 강국인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학교 현장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자료에 대한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ICT 활용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결과의 구체적인 교육적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화 선도국인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통해 ICT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양국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 능력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교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의 교수-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에 비추어 효율적인 ICT 활용을 위한 h/w와 s/w를 비롯한 인적, 물적 환경을 정비함으로써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수-학습 환경의 질적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 한국과 캐나다 초등 교사교육과 초등 교수-학습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에 따라 효율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양국의 초등 교수-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과 캐나다의 교육대학과 초등학교의 ICT 관련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자료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초등 예비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의 교육과정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 교육과정간의 연계성을 강화함으로써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한국과 캐나다 초등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활용교육(ICT usingeducation), ICT 소양교육(ICT literacy education), 구성주의(constructivism). 사이버 리터러시(cyber literac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