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338&local_id=10014549
한국과 미국 중년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시각효과를 위한 의복디자인 비교조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과 미국 중년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시각효과를 위한 의복디자인 비교조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순천(조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4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8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실험물에 대한 지각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실험연구방법으로,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5, 2,3 ,2의 요인설계로 독립변인은 네크라인(5), 하의스타일(2), 체형(3), 문화(2)이며, 종속변인은 신체적 시각효과와 심리적 시각효과, 의복디자인선호도였다.
    첫째, 마른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전체자극물의 선호도에 대해 한국인은 라운드네크라인에 팬츠차림과 브이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미국인은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을 가장 선호하였다. 각 자극물 선호도 차이에서 미국인이 한국인보다 브이네크라인에 스커트차림과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표준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각 자극물의 선호도 차이에서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차이나칼라에 팬츠차림과 라운드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미국인은 한국인보다 브이네크라인에 스커트차림,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 브이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더 선호하였다.
    셋째, 비만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한국인보다 미국인이 자극물의 어깨가 더 넓어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는 편이었다. 네크디자인의 경우 차이나칼라는 허리가 가늘고 골반이 작아 보이고, 브이네크라인은 목과 허리가 가늘어 보이고 골반이 작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의스타일과 네크디자인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어 팬츠는 스탠칼라일 때, 스커트는 차이나칼라일 때 가장 배가 덜 나와 보이는 시각효과가 있었다.
    넷째, 심리적 시각효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어 단정한, 여성적, 세련된, 현대적인, 활동적인 시각효과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마른체형에서 심리적 시각효과의 경우 한국인은 차이나칼라와 브이네크라인을 가장 여성적이지 않은 차림으로 평가하여 문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테일러드 칼라일 때 가장 현대적인 시각효과로 평가하여 문화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영문
  • This study used the method that measure the participants' responds on the experiment, and the measurement means is a survey. The primary factor plan is 5,2,3,2. The independent variable are neckline(5), trousers or skirt style(2), somatotype(3), culture(2), and the dependant variables are physical visual effect and the favor of clothe design.
    In cases of Korean, thin somatotype had better were V-neckline suit for looking shoulders wide because they have too narrow shoulders, and were pants suit than skirt suit for looking pelvis major. thin somatotype person who wants to look tall should wear china collar or tailored collar suit with pants. If she wears round neckline suit with skirt, the lower part of body and the height look tall. Pants suit with V neckline and skirt suit with china collar make standard somatotype looked having wide shoulders. Standard somatotype person with wide shoulder should avoid this style. In case of American, thin somatotype in pants suit looks much taller than in skirt suit when she wears round neckline and stand collar suit. Standard somatotype has no difference because it is the basic shapes. Generally, it goes with all kinds of suit design. The belly and pelvis of American's obesity look fatter and bigger than Korean's obesity. The same with Korean, round neckline suit makes obesity looked belly and pelvis fat and big.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sychological visual effect and clothes preference by clothes designs for the mid-aged Korean and American women's somatotypes. The psychological visual effects of each somatotypes' clothes are like these.
    The primary factors for psychological visual effect were analyzed into 5, neat, feminine, polished, modern and active.
    Thin somatotype, Korean evaluated that china collar and V-neckline are the least feminine, and stand collar is the most polished and the modernest. American evaluated that V-neckline is the most feminine, and tailored collar is the modernest. It shows that there's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standard somatotype, Korean thought stand collar with pants is the neatest, but tailored collar and china collar with pants are not neat. Contrary, they though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stand collar with skirt is not neat. American though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modernest. The neat visual effects ar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lothes' styles of bottom. In obesity, Korean evaluated tha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modernest, but stand collar with skirt is not modern. Stand collar with pants is the modernest, but tailored collar with pants is the least modern and active. American evaluated that round neckline with pants is not neat, modern and active, and round neckline with skirt is the modernest and the most active. So neckline's visual effects are differently showed by culture and the clothes' styles of botto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에서 이제는 패션도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고, 움직여야하는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비중 있는 하나의 산업이 되었으며 나아가 글로벌 패션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중대한 산업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시점이다. 국내소비자들의 소비성향과 행태는 더욱 성숙해져서 소비의 고급화, 감성화, 개성화, 다양화를 촉진시키는 감성표현 소비패턴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중년 여성복 분야의 연구는 다른 의류분야에 비하여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4~5년간 국내의 어패럴 시장은 급격한 브랜드 팽창에 따른 과열경쟁으로 업체의 어려움이 확대되고 그로 인하여 소비자의 층도 매우 세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과거 불특정 다수의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어패럴 사업은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는 형편이다. 또한 국내의 의류수출도 저가품 위주의 시장이 중국에 잠식당하면서 이제는 고가의 의복디자인으로 승부를 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최근 사회 경제적 구조의 변화는 중년여성의 외모와 의복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중년여성 의복에 대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증가 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중년여성들은 체형변화를 극복하고 좋은 인상관리를 위하여 의복의 사용이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더욱 적극적인 추세이므로, 중년여성들의 체형에 보다 효과적인 의복과 연계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중년여성의 체형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해서 그들의 신체에 적합한 의복디자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보여 진다.
    또한, 국내의 패션산업은 환경의 변화와 소비자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글로벌 브랜드들과 국내의 내셔널 브랜드들과의 각축전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체결에 따른 미국시장 진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미국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산업의 급진적인 발달로 인해 타문화 간의 통신판매나 전자상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다른 문화권내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의복디자인의 비교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지각은 사회의 문화에 깊은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도 개개인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즉 의복은 지각자의 성별, 인종, 성격, 가치관 등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므로(강혜원, 2003), 각 문화와 환경에 알맞게 의복을 디자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신체적 변화가 다양하고 의복에 대한 자신의 외모향상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한 세대이며 또한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미국시장에서 백인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의복디자인과 체형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절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의복디자인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년여성이 외출복으로 가장 많이 착용하는 정장스타일의 슈트를 선정하여 의복디자인의 디테일이 다르게 조합된 슈트의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인 시각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이와 관련된 슈트 디자인에 따른 시각적인 평가가 다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스커트, 팬츠, 체형(마른형, 표준형, 비만형)에 따른 다각적인 시각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슈트 착용에 대한 심리적인 시각효과의 차원을 비교한다.
    둘째,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의복디자인과 체형에 따른 신체적 시각효과의 차이를 비교한다.
    셋째,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의복디자인과 체형에 따른 심리적 시각효과의 차이를 비교한다.
    넷째,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체형별 의복 디자인의 신체적 시각효과의 선호도를 알아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체형별 의복 디자인의 신체적 시각효과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의복디자인과 체형에 따른 신체적 시각효과와 심리적 시각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른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전체자극물의 선호도에 대해 한국인은 라운드네크라인에 팬츠차림과 브이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미국인은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을 가장 선호하였다. 각 자극물 선호도 차이에서 미국인이 한국인보다 브이네크라인에 스커트차림과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표준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각 자극물의 선호도 차이에서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차이나칼라에 팬츠차림과 라운드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미국인은 한국인보다 브이네크라인에 스커트차림, 테일러드칼라에 팬츠차림, 브이네크라인에 팬츠차림을 더 선호하였다.
    셋째, 비만체형에서 신체적 시각효과의 경우 한국인보다 미국인이 자극물의 어깨가 더 넓어 보이는 것으로 평가하는 편이었다. 네크디자인의 경우 차이나칼라는 허리가 가늘고 골반이 작아 보이고, 브이네크라인은 목과 허리가 가늘어 보이고 골반이 작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의스타일과 네크디자인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어 팬츠는 스탠칼라일 때, 스커트는 차이나칼라일 때 가장 배가 덜 나와 보이는 시각효과가 있었다.
    넷째, 심리적 시각효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어 단정한, 여성적, 세련된, 현대적인, 활동적인 시각효과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섯째, 마른체형에서 심리적 시각효과의 경우 한국인은 차이나칼라와 브이네크라인을 가장 여성적이지 않은 차림으로 평가하여 문화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스탠칼라일 때 가장 세련되고 가장현대적인 차림으로 평가하였다. 미국인은 네크디자인에 대해 브이네크라인이 가장 여성적 시각효과를 나타낸다고 평가하였으나, 테일러드 칼라일 때 가장 현대적인 시각효과로 평가하여 문화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여섯째, 표준체형에서 심리적 시각효과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의식구조가 정장차림이라고 하면 테일러드에 스커트차림을 가장 단정하고 현대적인 것으로 고정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테일러드칼라를 가장 현대적인 칼라로 지각하여 문화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단정한 시각효과는 하의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었다.
    일곱째, 비만체형에서 심리적 시각효과의 경우 한국인은 정장이라고 하면 무조건 테일러드칼라라고 인식하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디자인을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미국인은 팬츠차림의 경우는 라운드네크라인일 때 가장 단정하지 않고, 현대적이지 않고, 활동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라운드네크라인의 스커트 차림일 때는 가장 현대적이고, 활동적인 이미지로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문화와 하의스타일에 따라 네크라인의 시각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중년여성은 네크라인과 하의스타일 변화에 따라 체형별 수트의 시각적 효과를 다르게 파악하였고, 자극물의 의복선호도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체형을 균형감 있고 매력적인 분위기가 되기 위한 착용형태미를 향상 시키는 의복디자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네크라인 및 하의스타일변화에 따른 중년여성의 적절한 의복차림은 보다 효과적인 외모를 만드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복의 시각효과와 선호도에 대한 문화적 차이의 결과는 미국 중년여성소비자의 미적 지각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그들을 대상으로 한 의복디자인 상품기획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렇듯 한국과 미국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절한 의복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므로서 의복디자인 및 착용행동 계획에 이바지할 것이며, 본 비교 연구의 기초 자료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연구 자료들을 축척한다면 국내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의류업체 측면에서는 매력적이며 맞음새가 편안한 고품질의 중년여성복 제품생산으로서 성공적인 미국 진출을 위한 의복선호디자인, 구매 및 재고부담에 관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visual effect(시각적 효과), physical(신체적), psychological(심리적), thin somatotype(마른체형), standard somatotype(표준체형), obesity(비만체형) 단정한(neat), 여성적(feminine), 세련된(polished), 현대적인(modern), 활동적인(activ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